이 글은 웅진기 백제 사원에 관한 문헌사학과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공주지역 웅진기 사원이나 이와 관련된 유적ㆍ유물들이 주변 국가의 불교문화와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95097
이병호 (동국대학교)
2024
Korean
大通寺 ; 水源寺 ; 西穴寺址 ; 舟尾寺址 ; 武寧王陵 ; 興輪寺址 ; Daetongsa ; Suwonsa ; Seohyeolsa site ; Jumisa site ; Tomb of King Muryeong ; Heungnyunsa site
KCI등재
학술저널
89-128(4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웅진기 백제 사원에 관한 문헌사학과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공주지역 웅진기 사원이나 이와 관련된 유적ㆍ유물들이 주변 국가의 불교문화와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이 글은 웅진기 백제 사원에 관한 문헌사학과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공주지역 웅진기 사원이나 이와 관련된 유적ㆍ유물들이 주변 국가의 불교문화와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Ⅱ장에서는 문헌기록에 寺名이 전하는 大通寺와 水 源寺, 백제 수막새가 발견된 西穴寺址, 舟尾寺址 등을 중심으로 하여 웅진기 사원의 입지와 존재양상을 살펴보았다. 대통사의 위치는 반죽동 197-4번지가 발굴된 이후, 소위 감영길 북쪽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 그 입지는 중국 남북조 사원의 사례를 참고할 때 大通橋나 熊津市 등 많은 사람이 왕래하는 장소에 계획적으로 조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주미사지와 서혈사지, 신원사지 등지에서 웅진기 수막새가 발견되어 향후 백제 문화층에 관한 재발굴이 필요하다. 이 절터들은 산지에 입지하고 있어 修行을 위한 山寺일 가능성이 있다.
Ⅲ장에서는 웅진기 백제 사원의 위상을 파악하기 위해 주변 국가와의 문화교류에 대해살펴보았다. 중국 남북조 사원에 관한 발굴 성과를 참고할 때 대통사는 중문과 목탑, 불전, 강당이 중심축을 이루며 배치된 본격적인 가람으로 도성의 기념비적 건조물일 가능성이 높다. 무령왕릉 출토 연화문전이나 왕ㆍ왕비 冠飾, 왕비 베개 등에 표현된 불교적 모티프들에대해 최근 북조 계통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새로 발견된 자료들을 참고하면 남조의 영향이 더 컸다고 생각된다. 다만 반죽동 출토 기와를 분석해 보면 남조뿐 아니라 북조ㆍ고구려 계통의 영향도 함께 확인되어 백제에서 변형된 측면도 있었던 것 같다. 그밖에 경주 흥륜사지나 고령 대가야 지역에서도 웅진기 백제 불교와 관련된 교류의 흔적이 확인되어 향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results of research conducted on the Buddhist temples that prospered in Baekje during the Ungjin period(475-538), and attempts to analyze the influence that the Buddhist cultures of neighboring states had on the Buddhist temp...
This paper focuses on the results of research conducted on the Buddhist temples that prospered in Baekje during the Ungjin period(475-538), and attempts to analyze the influence that the Buddhist cultures of neighboring states had on the Buddhist temples and other related artifacts and sites in Gongju dating from that period.
In Chapter II, the main discussion deals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discovered at the sites of Buddhist temples across the city of Gongju. According to historic records, these temples include the Daetongsa大通寺, Suwonsa水源寺, and Seohyeolsa site西穴寺址 and Jumisa site舟尾寺址, at whose sites archaeologists have found fragments of Baekje roof-end tiles. Following the survey of the archaeological site in 197-4 Banjuk-dong, Gongju, archaeologists now believe that Daetongsa Temple was located north of present-day Gamyeong-gil, somewhere around Daetonggyo Bridge or the downtown area of Ungjin-si, considering the examples of the Chinese Buddhist temple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The discovery of fragments of roof-end tiles dating from Ungjin Baekje at the sites of Jumisa, Seohyeolsa and Sinwonsa Temples suggests that the sites require more extensive excavations. All of these temple sites are located in a mountainous area, suggesting that they were occupied by a community of Buddhist monks who led an ascetic life.
Chapter III focuses on cultural exchanges between Ungjin Baekje and its neighboring state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empl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excavations conducted at the sites of Chinese temples dating 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Daetongsa Temple was a fine example of the temples of this period, consisting of a middle gate, a wooden pagoda, a dharma hall, and a lecture hall.
As for the motifs engraved on the bricks with a lotus design, the ornaments of the headdress worn by the king and his queen consort, and the queen’s headrest discovered at the Tomb of King Muryeong, they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Northern Dynasties in China; however, other recent discoveries suggest that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Dynasties was more significant. A fragment of a roof tile unearthed at Banjuk- dong offers has raised the possibility that the Buddhist culture of Baekje in this period was influenced not only by the Southern Dynasties but also by the Northern Dynasties and Goguryeo. Meanwhile, the latest archaeological discoveries at the site of Heungnyunsa site興輪寺址 in Gyeongju and the Dae Gaya大伽倻 site in Goryeong have provided us with insights into exchanges with the Buddhism of Baekje in the Ungji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