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20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회귀분석 을 통해 인과관계에 따른 설명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회귀분석 을 통해 인과관계에 따른 설명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중재방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15명 의 실험군은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하였고, 13명의 대조군Ⅰ은 기능적 전기자극만을 실시하였으며, 11명의 대조군Ⅱ는 과제훈련만을 실시하였다. 6주 후에 분산분석을 통해 세 그룹 간에 손의 근력과 상지의 기능, 운동 활동 지표와 일상생활활동에서 평균변화량의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그리고 영역별 결과에서 상지기능의 향상에 대한 잠재적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상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손의 근력과 상지 기능, 운동 활동 지표에서 세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에서 나타난 각 요소들은 상호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변수간의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모형 1에서는 근력(R2 = .17), 모형 2에서는 움직임의 질(R2 = .28), 모형 3에서는 움직임의 질과 실험군 중재법(R2 = .37)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운동 활동 지표 중 움직임의 질과 실험군에서 실시한 중재 방법이 상지 기능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고,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결론 :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Ⅰ,Ⅱ보다 손의 근력과 상지기능, 운동 활동 지표에서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움직임의 질과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하여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능동적이고 반복적인 과제훈련 적용이 작업치료사에 의해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to confirm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irty-nine hemipleg...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to confirm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irty-nine hemiplegia with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askoriented training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fifteen patients. Control groupⅠ conduct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irteen patients and Control groupⅡ conducted task-oriented training on non-sounded upper extremity for eleven patients. Mean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in six week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effect function of upper extremity. Results : Hand muscle strength, hand function, motor activity log were compared in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p<0.05). These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Hand strength and MAL, interventions were 37% of the variance for upper extremity functional recovery. QOM of MAL test and task-oriented training interventions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upper extremity function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Conclusion :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ask-oriented training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howed positive effects more than the those of control groupⅠ & Ⅱ. Voluntary and repetitive training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ill be clinically useful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연구 과정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연구 과정
      • 3. 측정 도구
      • 4. 실험도구
      • 5. 통계분석
      • Ⅲ. 연구 결과
      • 1. 각 영역별 그룹 간의 비교
      • 2. 손의 근력과 운동 활동 지표에 따른 상지기능과의 상관관계
      • 3. 손의 근력과 운동 활동 지표, 중재방법에 따른 상지기능
      • Ⅳ. 고찰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창식, "한글판 Wolf 운동 기능 검사의 검사자간 및 검사자 내 신뢰도" 대한재활의학회 29 (29): 317-322, 2005

      2 엄광문, "전기자극을 이용한 상실된 운동기능의 회복: 기능적 전기자극(FES)" 20 (20): 26-35, 2003

      3 김진호,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2004

      4 박창일, "재활의학" 한미의학 2007

      5 이재신,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외래환자용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 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 15 (15): 1-12, 2007

      6 정진, "되먹이기법을 이용한 기능적 전기자극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4

      7 김지연, "기능적 전기자극이 편마비 환자의 손 기 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2002

      8 박규현, "기능적 전기자극에 대한 고찰" 대한물리치료학회 13 (13): 399-405, 2001

      9 이민영,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 잡기과제훈련이 편마비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2006

      10 유두한, "급성기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FES 치료에서 자발적인 상지 움직임 훈련의 효과" 1 (1): 21-30, 2009

      1 박창식, "한글판 Wolf 운동 기능 검사의 검사자간 및 검사자 내 신뢰도" 대한재활의학회 29 (29): 317-322, 2005

      2 엄광문, "전기자극을 이용한 상실된 운동기능의 회복: 기능적 전기자극(FES)" 20 (20): 26-35, 2003

      3 김진호,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2004

      4 박창일, "재활의학" 한미의학 2007

      5 이재신,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외래환자용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 개발" 대한작업치료학회 15 (15): 1-12, 2007

      6 정진, "되먹이기법을 이용한 기능적 전기자극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4

      7 김지연, "기능적 전기자극이 편마비 환자의 손 기 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2002

      8 박규현, "기능적 전기자극에 대한 고찰" 대한물리치료학회 13 (13): 399-405, 2001

      9 이민영,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 잡기과제훈련이 편마비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2006

      10 유두한, "급성기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FES 치료에서 자발적인 상지 움직임 훈련의 효과" 1 (1): 21-30, 2009

      11 조인술,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가 뇌 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2008

      12 Langlois, S, "The effects of splinting on the spastic hemiplegic hand: Report of a feasibility study" 58 (58): 17-25, 1991

      13 Faghri, P. D.,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shoulder subluxation, arm function recovery, and shoulder pain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75 (75): 73-79, 1994

      14 Hudlicka, O, "The effect of different patterns of long term stimulation on contractile properties and myosin light chains in rabbit fast muscle" 393 (393): 164-170, 1982

      15 Uswatte, G., "The Motor Activity Log-28: Assessing daily use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67 (67): 1189-1194, 2006

      16 Taub, E., "Technique to improve chronic motor deficity after stroke" 74 : 347-354, 1993

      17 Flick, C. L, "Stroke rehabilitation. 4. Stroke outcome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80 (80): 21-26, 1999

      18 Carr, J. H., "Stroke Rehabilitation" Butterworth- Helenemann 2003

      19 Chantraine, A, "Shoulder pain and dysfunction in hemiplegia: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80 (80): 328-331, 1999

      20 Kamper, D. G, "Relative contributions of neural mechanisms versus muscle mechanics in promoting finger extension deficits following stroke" 28 (28): 309-318, 2003

      21 Knott, M,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s and techniques. (2th ed.)" Harper and Row 1968

      22 Gerardin, E, "Partially overlapping neural networks for real and imagined hand movements" 10 (10): 1093-1104, 2000

      23 Granger, C. V,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60 (60): 145-154, 1979

      24 Trombly, C. A,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3rd ed.)" Williams & Wilkins 1989

      25 Bobath, B, "Observations on adult hemiplegia and suggestions for treatment" 45 : 279-289, 1959

      26 Baker, L. L,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uscles surrounding the shoulder" 66 (66): 1930-1937, 1986

      27 Brunnstrom, S,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a: A neurophysiological Approach" Harper and Row 1970

      28 Mangold, S, "Motor training of upper extremit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early stroke rehabilitation" 23 (23): 184-190, 2009

      29 Flanagan, E. M, "Methods for facilitation and inhibition of motor activity" 46 (46): 1006-1011, 1967

      30 Castro, M. J., "Influence of complete spinal cord injury on skeletal muscle mechanics within the first 6 months of injury" 81 (81): 128-131, 2000

      31 Chae, J., "Functional neuromuscular stimulation in spinal cord injury" 11 : 209-226, 2000

      32 Wilder, R. P,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a dropped foot" 12 (12): 149-159, 2002

      33 Alan, F. L.,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enhanc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al recovery during stroke rehabilitation: A pilot study" 21 (21): 207-215, 2007

      34 Rushton, D. 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rehabilitation: An hypothesis" 25 : 75-78, 2003

      35 Wolf, S. L, "Forced use of hemiplegic upper extremities to reverse the effect of learned nonuse among chronic stroke and head-injured patients" 104 (104): 125-132, 1989

      36 Solomonow, M, "External control of the neuromuscular system" 31 (31): 752-763, 1984

      37 Bentzel, K, "Evaluation of sens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4th ed)" Williams & Wilkins 187-199, 1995

      38 Pedretti, L. W, "Evaluation of sensation and treatment of sensory dysfunction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4th ed)" Mosby 422-443, 1996

      39 Copper, C, "Evaluation of sensation and intervention for sensory dysfunction in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6th ed)" Mosby 513-531, 2006

      40 Bolton, D. A., "Electromyogram-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and stroke motor recovery of arm /hand function: A meta-analysis" 223 (223): 121-127, 2004

      41 Powell, J., "Electrical stimulation of wrist extension in poststroke hemiplegia" 30 (30): 1384-1389, 1999

      42 Francisco, G, "Electr omyogram-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for improving the arm function of acute stroke survivors: A randomized pilot study" 79 (79): 570-575, 1998

      43 Basmajian, J. V, "EMG feedback treatment of upper limb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63 (63): 613-616, 1982

      44 Nakayama, H, "Compensation in recover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fter stroke: The Copenhagen stroke study" 75 (75): 852-857, 1994

      45 Van der - Lee, J. H, "Clinimetric properties of the motor activity log for the assessment of arm use in hemiparetic patients" 35 (35): 1410-1414, 2004

      46 Cauraugh, J, "Chronic motor dysfunction after stroke: Recovering wrist and finger extension by electromyography-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80 : 935-941, 2000

      47 Dunn, W, "Assessing sensory performance enablers in Occupational therapy: Overcoming human performance deficits" Slack Inc 471-505, 1991

      48 Wolf, S. L, "Assessing Wolf Motor Function Test as outcome measure for research in patients after stroke" 32 (32): 1635-1639, 2001

      49 Nelles, G, "Arm training induced brain plasticity in stroke studied with serial position emission tomography" 13 (13): 1146-1154, 2001

      50 Lourenção, M. I., "Analysis of the resul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hemiplegic patients’upper extremities using the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 28 (28): 25-3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6 0.929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