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세안 2017년: 민주주의 위기와 아세안 규범 = ASEAN in 2017 : Democracy in Crisis and ASEAN Nor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2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7년 창설 50주년을 맞은 아세안(ASEAN)은 제도적 보완과 기능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련의 선언과 행동 계획을 채택했다. 아세안의 ‘회합력’(convening power)이 아세안 중심성(centrality)과 ...

      2017년 창설 50주년을 맞은 아세안(ASEAN)은 제도적 보완과 기능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련의 선언과 행동 계획을 채택했다. 아세안의 ‘회합력’(convening power)이 아세안 중심성(centrality)과 회복력(resilience)을 촉진하고 있다. 반면 아세안 회원국의 민주주의 후퇴는 전통적 규범의 한계를 심화시키고 아세안의 이행력을 저하시킨다. 이 글은 아세안 주요 쟁점을 고찰하고 전망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아세안의 제도적 발전과 기능적 협력의 현황을 아세안 공동체 건설의 현황과 쟁점을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둘째, 아세안의 대외 관계를 중국, 미국,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남중국해 이슈 및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는 아세안-중국관계의 복잡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 동남아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아세안의 단결이 필요하다. 한국의 신남방정책은 여러 제약에도 불구하고 양자 관계에 있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외 환경의 변화 속에 아세안 단결과 중심성의 강화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lebrating its 50<sup>th</sup> anniversary in 2017, the leaders of ASEAN member sates have adopted a series of declarations and action plans for enhancing its institutional capability and functional cooperation. ASEAN’s convening power ...

      Celebrating its 50<sup>th</sup> anniversary in 2017, the leaders of ASEAN member sates have adopted a series of declarations and action plans for enhancing its institutional capability and functional cooperation. ASEAN’s convening power is expected to underpin its centrality and resilience. Meanwhile, ASEAN’s retreat from democracy has increasingly become a hindrance for its further development. This article reviews the process of ASEAN’s community building and its external relations. First, it argues that there is increasing concerns over ASEAN’s limited capability in dealing with regional issues mainly caused by the depriv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democracy in crisis. Second, this article considers the dynamics of ASEAN’s external relations mainly focusing on its relations with China,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e South China Sea issue and China’s increasing economic influence in the region have contributed to the complexity of ASEAN-China relations. The ASEAN’s responses to the shift in American foreign policy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posits the unity of ASEAN. The New Southern Policy initiated by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ppears to be a new focal point of Korea-ASEAN relations despite considerable challenges, which requires to maintain ASEAN centr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United Nations, "United Nations Cooperation with ASEAN Has Entered New Phase, Secretary-General Tells Panel on Regional Dimensions of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Secretary-General Statements and Messages

      2 "The Straits Time 2017년 9월 25일"

      3 "The Jakarta Post 2018년 3월 12일"

      4 "SunStar Manila 2017년 5월 16일"

      5 Galang, Mico A., "Reviewing the Philippines' ASEAN Chairmanship, The Diplomat, 2017년 12월 30일"

      6 Pitsuwan, Surin, "Regional Community Building in East Asia: Countries in Focus" Taylor &Francis 2016

      7 "Malaysiakini 2017년 9월 25일"

      8 ASEAN, "Joint Declaration of the ASEAN Defence Ministers on Partnering for Change"

      9 Overland, Indra,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SEAN International Affairs: Risk and Opportunity Multiplier" Norwegi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and Myanmar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Strategic Studies

      10 Baviera, Aileen S. P., "Duterte’s China policy shift: strategy or serendipity? East Asia Forum, 2017 년 8월 13일"

      1 United Nations, "United Nations Cooperation with ASEAN Has Entered New Phase, Secretary-General Tells Panel on Regional Dimensions of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Secretary-General Statements and Messages

      2 "The Straits Time 2017년 9월 25일"

      3 "The Jakarta Post 2018년 3월 12일"

      4 "SunStar Manila 2017년 5월 16일"

      5 Galang, Mico A., "Reviewing the Philippines' ASEAN Chairmanship, The Diplomat, 2017년 12월 30일"

      6 Pitsuwan, Surin, "Regional Community Building in East Asia: Countries in Focus" Taylor &Francis 2016

      7 "Malaysiakini 2017년 9월 25일"

      8 ASEAN, "Joint Declaration of the ASEAN Defence Ministers on Partnering for Change"

      9 Overland, Indra,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SEAN International Affairs: Risk and Opportunity Multiplier" Norwegi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and Myanmar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Strategic Studies

      10 Baviera, Aileen S. P., "Duterte’s China policy shift: strategy or serendipity? East Asia Forum, 2017 년 8월 13일"

      11 Gao, Charlotte, "China and ASEAN Aim for First Joint Maritime Exercise. The Diplomat, 2017년 10월 26일"

      12 ASEAN, "Chairman’s Statement: 31st ASEAN Summit"

      13 ASEAN, "Chairman’s Statement: 30th ASEAN Summit"

      14 ASEAN, "Chairman’s Statement of the 5th ASEAN-US Summit to Commemorate the 40th Anniversary of ASEAN-US Dialogue Relations"

      15 "CNN Philippines 2017년 9월 25일"

      16 ASEAN, "ASEAN Political-Security Community Blueprint 2025"

      17 ASEAN, "ASEAN Economic Integration Brief. No.2"

      18 ASEAN, "ASEAN Consensus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19 ASEAN, "ASEAN Community Progress Monitoring System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2 0.812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