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암산에 번식하는 박새류(Parus spp.)의 인공둥지 이용 유형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8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불암산에 설치된 인공새집에서 번식하는 박새류(Parus spp.)를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진행되었다. 각 인공새집에서 가장 인접한 인간간섭요소까지의 최단거리(Nearest distance between artificial bird nests and human disturbance factors; NDNH)에 따른 박새류의 인공새집 이용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서 첫 번째, 번식상태에 대한 평가를 지수화로 계산한 둥지점수와 4년 동안 NDNH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두 번째, 4년 동안 NDNH에 따른 인공새집 이용률을 비교하였다. 세 번째, NDNH와 최초산란일 간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번식수행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모든 NDNH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나눈 두 그룹(인간간섭요소와 가까운 그룹과 먼 그룹), 연도, 인공새집의 번식 성공 여부와 박새류가 이용한 인공새집 개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NDNH가 길수록 둥지점수의 합이 낮았고, 인공새집 이용률이 낮았으며, 각 인공새집별 최초산란일이 느려졌다. 또한, 연도별 번식에 성공한 인공새집 개수는 증가하였고, 번식에 성공하지 못한 인공새집 개수는 감소하였으며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간간섭요소와 가까운 그룹에서 연도별로 인공새집 이용 개수의 변화는 거의 없는 반면, 인간간섭요소와 먼 그룹에서는 연도별로 인공새집 이용 개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박새류의 경우, 번식에 유리한 지역의 인공새집을 먼저 차지하고, 상대적으로 덜 유리한 지역이 나중에 채워짐을 확인하였고, 둥지 장소 선택의 유형이 서식지 선택 이론(habitat selection theory)에 부합됨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의 산책로와 숲 놀이터 같은 인간간섭요소가 번식기 박새류의 둥지 장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불암산에 설치된 인공새집에서 번식하는 박새류(Parus spp.)를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진행되었다. 각 인공새집에서 가장 인접한 인간간섭요소까지의 최단거리(Nearest ...

      본 연구는 불암산에 설치된 인공새집에서 번식하는 박새류(Parus spp.)를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진행되었다. 각 인공새집에서 가장 인접한 인간간섭요소까지의 최단거리(Nearest distance between artificial bird nests and human disturbance factors; NDNH)에 따른 박새류의 인공새집 이용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서 첫 번째, 번식상태에 대한 평가를 지수화로 계산한 둥지점수와 4년 동안 NDNH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두 번째, 4년 동안 NDNH에 따른 인공새집 이용률을 비교하였다. 세 번째, NDNH와 최초산란일 간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번식수행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모든 NDNH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나눈 두 그룹(인간간섭요소와 가까운 그룹과 먼 그룹), 연도, 인공새집의 번식 성공 여부와 박새류가 이용한 인공새집 개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NDNH가 길수록 둥지점수의 합이 낮았고, 인공새집 이용률이 낮았으며, 각 인공새집별 최초산란일이 느려졌다. 또한, 연도별 번식에 성공한 인공새집 개수는 증가하였고, 번식에 성공하지 못한 인공새집 개수는 감소하였으며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간간섭요소와 가까운 그룹에서 연도별로 인공새집 이용 개수의 변화는 거의 없는 반면, 인간간섭요소와 먼 그룹에서는 연도별로 인공새집 이용 개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박새류의 경우, 번식에 유리한 지역의 인공새집을 먼저 차지하고, 상대적으로 덜 유리한 지역이 나중에 채워짐을 확인하였고, 둥지 장소 선택의 유형이 서식지 선택 이론(habitat selection theory)에 부합됨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의 산책로와 숲 놀이터 같은 인간간섭요소가 번식기 박새류의 둥지 장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understand the nesting site availability of tits (Parus spp.) in Mount Buram, Korea, we collected field data using artificial bird nests during the breeding season of 2017-2020.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nearest distance between the artificial bird nests and human disturbance factors (i.e., NDNH) on breeding performance, such as the scored nest stage and laying date of first egg. NDN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d nest stage: the shorter the NDNH, the better breeding performance and the higher the nesting site availability. In particular, the laying date of the first eg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DNH: the shorter the NDNH, the earlier the egg laying date of first egg. At a greater NDNH, the availability of nest boxes significantly increased annually, whereas at a shorter NDNH, the availability of nest boxes was comparable. Our findings support the habitat selection theory, which states that good habitats are occupied earlier, whereas poor habitats are occupied later. Habitats closer to human disturbance may help avoid predation; thus, tits inhabiting mountains in towns may prefer as nesting sites. However, additional field studies are warranted to validate this speculation.
      번역하기

      To understand the nesting site availability of tits (Parus spp.) in Mount Buram, Korea, we collected field data using artificial bird nests during the breeding season of 2017-2020.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nearest distance between ...

      To understand the nesting site availability of tits (Parus spp.) in Mount Buram, Korea, we collected field data using artificial bird nests during the breeding season of 2017-2020.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nearest distance between the artificial bird nests and human disturbance factors (i.e., NDNH) on breeding performance, such as the scored nest stage and laying date of first egg. NDN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d nest stage: the shorter the NDNH, the better breeding performance and the higher the nesting site availability. In particular, the laying date of the first eg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DNH: the shorter the NDNH, the earlier the egg laying date of first egg. At a greater NDNH, the availability of nest boxes significantly increased annually, whereas at a shorter NDNH, the availability of nest boxes was comparable. Our findings support the habitat selection theory, which states that good habitats are occupied earlier, whereas poor habitats are occupied later. Habitats closer to human disturbance may help avoid predation; thus, tits inhabiting mountains in towns may prefer as nesting sites. However, additional field studies are warranted to validate this specu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Refere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