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중보 이설 및 변형에 따른 한강 하구 흐름 특성 = Flow Characteristics Induced by Shift and Modification of Submerged Weir at Han River Estu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3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의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조물인 신곡수중보의 하류 이설 후 변형, 그리고 철거 등을 가정하여 이에 따른 수리특성을 평면 2차원 수치모형을 통해 분석하...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의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조물인 신곡수중보의 하류 이설 후 변형, 그리고 철거 등을 가정하여 이에 따른 수리특성을 평면 2차원 수치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2차원적 해석은 보 이설이나 변형이 주변 지형, 특히 습지에 어떤 수리학적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모의에 사용된 조위 및 유황은 2007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유량은 풍수기와 평수기로 구분하고 조위는 대조기와 소조기를 포괄하였다. 연구대상 영역으로 한강상류는 한강대교, 임진강상류는 통일대교, 허구경계는 유도로 잡았다. 모의결과 수중보 이설 및 변형에 따라 만조시 해수 유입 영향권이 크게 변화하였으며, 주요 지점의 수위는 유량 및 조위 조건에 따라 변동폭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of Han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by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according to the assumption of shift and modification of the Shingok submerged weir. The two-dimensional analysis has contributed...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of Han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by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according to the assumption of shift and modification of the Shingok submerged weir. The two-dimensional analysis has contribute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hydraulic effects induced by shift of the weir on the topography, especially wetlands. The tide and flow discharge of 2007 were adopted as an input data for the simulation. The tidal data contained both spring and neap tide, and the flow discharge condition was divided into monsoon and normal seasons. The boundaries of this study were Hangang Bridge, Tongil Bridge, and Yu island.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influence area of seawater changed depending on the weir shift, and the water level at particular station fluctua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ide and flow dischar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수치모형의 적용
      • 3. 하구 흐름 특성 분석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수치모형의 적용
      • 3. 하구 흐름 특성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건설교통부, "한강하천정비기본계획보고서" 건설교통부 2002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강하류부 하상변동조사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2005

      3 김상호,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의 수리학적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 38 (38): 401-413, 2005

      4 경기개발연구원, "한강하구 개발에 따른 흐름 및 하상변동 고찰" 경기개발연구원 2009

      5 한국해양연구원, "한강·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영향 연구보고서" 해양수산부 2001

      6 서일원, "한강 감조구간에서의 흐름 및 혼합거동" 대한토목학회 28 (28): 731-741, 2008

      7 김창완, "하천과 저수지의 세굴과 퇴적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2005

      8 김승용, "조위영향에 따른 신곡수중보 상·하류의 유동특성 분석" 경기대학교 2002

      9 건설교통부, "임진강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보고서" 건설교통부. 2001

      10 김포시, "신곡수중보 이설 타당성 조사보고서" 김포시 2009

      1 건설교통부, "한강하천정비기본계획보고서" 건설교통부 2002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강하류부 하상변동조사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2005

      3 김상호,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의 수리학적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 38 (38): 401-413, 2005

      4 경기개발연구원, "한강하구 개발에 따른 흐름 및 하상변동 고찰" 경기개발연구원 2009

      5 한국해양연구원, "한강·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영향 연구보고서" 해양수산부 2001

      6 서일원, "한강 감조구간에서의 흐름 및 혼합거동" 대한토목학회 28 (28): 731-741, 2008

      7 김창완, "하천과 저수지의 세굴과 퇴적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2005

      8 김승용, "조위영향에 따른 신곡수중보 상·하류의 유동특성 분석" 경기대학교 2002

      9 건설교통부, "임진강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보고서" 건설교통부. 2001

      10 김포시, "신곡수중보 이설 타당성 조사보고서" 김포시 2009

      11 WES, "Users guide to RMA2, Ver. 4.5"

      12 Pugh, D.T, "Tides, surges and mean sea level-a handbook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Great Britain by Bath Press 1964

      13 Henderson, F.M, "Open channel flow" Macmillan publishing co., NY 1966

      14 Khatibi, R.H, "Friction parameters for flow in nearly flat tidal channels" 126 (126): 741-749, 2000

      15 Bao, W, "Dynamic correction of roughness in the hydrodynamic model" 21 (21): 255-26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3-01-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