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상 환경 하에서 다감각 변수들의 영향도 평가 =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94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가상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다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요소가 현실감에 끼치는 영향력을 평가한다. 이번 실험에 80명의 피실험자가 참가하였으며, 여러 감각 요소들을 조합한 가상환경을 경험하게 하여 얻은 실험 데이타를 분석함으로써 각 요소들의 영향도를 평가한다. 주된 평가 요소는 가상현실 환경 속에서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현실감과, 감각 요소들이 피실험자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여 본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다중 감각 요소들이 단일한 감각요소가 있을 때에 비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의 사물에 대한 기억력과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는다. 또한, 피실험자가 느꼈던 가상환경 속의 현실감과 사물에 대한 기억력에 대하여, 시각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그 외의 다른 요소(청각, 후각, 촉각)들을 첨가시키는 것이 현실감과 기억력을 배가시키는 요소로써 더 효과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가상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다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요소가 현실감에 끼치는 영향력을 평가한다. 이번 실험에 80명의 피실험자가 참가하였으며, 여러 감각 요소들을 조합한 ...

      본 논문은 가상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다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요소가 현실감에 끼치는 영향력을 평가한다. 이번 실험에 80명의 피실험자가 참가하였으며, 여러 감각 요소들을 조합한 가상환경을 경험하게 하여 얻은 실험 데이타를 분석함으로써 각 요소들의 영향도를 평가한다. 주된 평가 요소는 가상현실 환경 속에서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현실감과, 감각 요소들이 피실험자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여 본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다중 감각 요소들이 단일한 감각요소가 있을 때에 비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의 사물에 대한 기억력과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는다. 또한, 피실험자가 느꼈던 가상환경 속의 현실감과 사물에 대한 기억력에 대하여, 시각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그 외의 다른 요소(청각, 후각, 촉각)들을 첨가시키는 것이 현실감과 기억력을 배가시키는 요소로써 더 효과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perimental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ctile, olfactory, audio and visual sensory cues on a participant's sense of presence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on their memory for the environment and the objects in that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build a virtual environment that includes four sensory modalities - visual, auditory, tactile, and olfactory. By systematically varying the types and amounts of different sensory inputs we build a model of how information from different modalities are combined to create a sense of presence. We perform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analysis of variance(ANOVA)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increasing the modalities of sensory input in a virtual environment can increase both the sense of presence and memory for objects in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addition of tactile, olfactory and auditory cues to a virtual environment increased the user's sense of presence and memory of the environment. And it is more effective to add tactile, olfactory and auditory cues rather than to increase the level of visual detail to improve the user's sense of presence or memory of the environment.
      번역하기

      Experimental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ctile, olfactory, audio and visual sensory cues on a participant's sense of presence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on their memory for the environment and the objects in that environment. ...

      Experimental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ctile, olfactory, audio and visual sensory cues on a participant's sense of presence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on their memory for the environment and the objects in that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build a virtual environment that includes four sensory modalities - visual, auditory, tactile, and olfactory. By systematically varying the types and amounts of different sensory inputs we build a model of how information from different modalities are combined to create a sense of presence. We perform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analysis of variance(ANOVA)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increasing the modalities of sensory input in a virtual environment can increase both the sense of presence and memory for objects in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addition of tactile, olfactory and auditory cues to a virtual environment increased the user's sense of presence and memory of the environment. And it is more effective to add tactile, olfactory and auditory cues rather than to increase the level of visual detail to improve the user's sense of presence or memory of the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과거의 연구
      • 3. 연구의 목적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과거의 연구
      • 3. 연구의 목적
      • 4. 실험 환경 구축
      • 5, 실험 방법
      • 6. 결과
      • 7. 논의 사항 및 향후 연구 과제
      • 참고문헌
      • 부록
      • 저자소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