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의 지하경제추이와 통제방안 = Controlling the Underground Econom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62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지하경제비중은 OECD국가 중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하경제 비중이 높으면 소득불균형이 심화되고, 소득수준이 낮아지며, 세금수입이 감소하여 공공서비스의 수준이 낮아지는 등의 부작용이 심각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경제규모가 증가할 경우의 영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지하경제규모의 축소를 위한 대잭을 각종 자료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지하경제를 억제하기 위한 대책을 살펴보면 먼저 세금과 각종부담금을 인하해야 한다. 세금과 부담금은 지하경제가 확장되는 주된 원인이기 때문이다. 둘째, 정부지출을 감소시켜야 한다. 작은 정부는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이 추구하고 있는 정책방향이고 민간부문의 파이를 증가시켜 지하경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된다. 셋째, 규제는 특정시장에의 진입장벽을 만들어 일부기업에게만 이익을 주는 폐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규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지하경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부패가 억제되어야 한다. 부패가 만연하게 되면 민간부문은 공식경제에 잔류할 필요를 덜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실업률감소가 시급하다. 실업상태에 있는 사람은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불법적인 일이라 하더라도 마다하지 앓을 것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지하경제비중은 OECD국가 중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하경제 비중이 높으면 소득불균형이 심화되고, 소득수준이 낮아지며, 세금수입이 감소하여 공공서비스의 수준이 낮아지...

      우리나라의 지하경제비중은 OECD국가 중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하경제 비중이 높으면 소득불균형이 심화되고, 소득수준이 낮아지며, 세금수입이 감소하여 공공서비스의 수준이 낮아지는 등의 부작용이 심각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경제규모가 증가할 경우의 영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지하경제규모의 축소를 위한 대잭을 각종 자료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지하경제를 억제하기 위한 대책을 살펴보면 먼저 세금과 각종부담금을 인하해야 한다. 세금과 부담금은 지하경제가 확장되는 주된 원인이기 때문이다. 둘째, 정부지출을 감소시켜야 한다. 작은 정부는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이 추구하고 있는 정책방향이고 민간부문의 파이를 증가시켜 지하경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된다. 셋째, 규제는 특정시장에의 진입장벽을 만들어 일부기업에게만 이익을 주는 폐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규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지하경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부패가 억제되어야 한다. 부패가 만연하게 되면 민간부문은 공식경제에 잔류할 필요를 덜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실업률감소가 시급하다. 실업상태에 있는 사람은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불법적인 일이라 하더라도 마다하지 앓을 것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policies related to underground economy aimed at reducing its negative influence in Korean economy. Previous research indicates that underground economy distorts income distribution, income level, tax revenues in unsatisfactory way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policies to control the negative impact of underground economy. First, tax burdens and various contributions should be reduced as they are the main causes of increasing the size of underground economy. Second, government expenditures should be downsized as small government increases the portion distributed to civilian sector. Third, unnecessary regulations should be removed as regulations establish artificial entry barriers into markets resulting in extraordinary profits for the privileged group. Fourth, corruption should be in control, as widespread corruption causes civil sector’s escape to underground economy due to the high cost structure of formal economy. Finally, it is needed to reduce the jobless rate as the people without job will unwillingly accept the underground jobs to get money.
      번역하기

      This study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policies related to underground economy aimed at reducing its negative influence in Korean economy. Previous research indicates that underground economy distorts income distribution, income level, tax revenues i...

      This study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policies related to underground economy aimed at reducing its negative influence in Korean economy. Previous research indicates that underground economy distorts income distribution, income level, tax revenues in unsatisfactory way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policies to control the negative impact of underground economy. First, tax burdens and various contributions should be reduced as they are the main causes of increasing the size of underground economy. Second, government expenditures should be downsized as small government increases the portion distributed to civilian sector. Third, unnecessary regulations should be removed as regulations establish artificial entry barriers into markets resulting in extraordinary profits for the privileged group. Fourth, corruption should be in control, as widespread corruption causes civil sector’s escape to underground economy due to the high cost structure of formal economy. Finally, it is needed to reduce the jobless rate as the people without job will unwillingly accept the underground jobs to get mone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지하경제규모의 추이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지하경제규모의 추이
      • Ⅳ. 지하경제의 통제방안
      • Ⅴ. 결론
      • Ⅵ.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수연, "준조세부담에서 벗어나야, 세금경제학" 자유기업원 209-223, 2007

      2 배민근, "우리나라 지하경제비중 줄고있다" LG주간경제 2005

      3 Schneider F, "The value added of underground activities: size and measurement of the shadow Economies of 110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Working Paper" 2002

      4 Schneider F, "The size of the shadow economies of 145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first results over the period 1999 to 2003. IZA DP NO. 1431" 2004

      5 Schneider F, "The size and development of the shadow economies of 22 transition and 21 OECD countries. IZA DP No.514" 2002

      6 Dell'Anno R, "The shadow economy of Italy and other OECD countries: What do we knows?" 2004

      7 Eilat Y, "The shadow economy in transition countries: friend or foe? A policy perspective" 30 (30): 1233-1254, 2002

      8 Fleming, M.H, "The shadow economy" 52 (52): 387-409, 2000

      9 Shelak,B.J., "The impact of the US underground economy" 24 (24): 113-117, 1997

      10 Loayza N.A, "The economics of the informal sector: A simple model and some empirical evidence from Latin America, The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1727" 1-52, 1997

      1 황수연, "준조세부담에서 벗어나야, 세금경제학" 자유기업원 209-223, 2007

      2 배민근, "우리나라 지하경제비중 줄고있다" LG주간경제 2005

      3 Schneider F, "The value added of underground activities: size and measurement of the shadow Economies of 110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Working Paper" 2002

      4 Schneider F, "The size of the shadow economies of 145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first results over the period 1999 to 2003. IZA DP NO. 1431" 2004

      5 Schneider F, "The size and development of the shadow economies of 22 transition and 21 OECD countries. IZA DP No.514" 2002

      6 Dell'Anno R, "The shadow economy of Italy and other OECD countries: What do we knows?" 2004

      7 Eilat Y, "The shadow economy in transition countries: friend or foe? A policy perspective" 30 (30): 1233-1254, 2002

      8 Fleming, M.H, "The shadow economy" 52 (52): 387-409, 2000

      9 Shelak,B.J., "The impact of the US underground economy" 24 (24): 113-117, 1997

      10 Loayza N.A, "The economics of the informal sector: A simple model and some empirical evidence from Latin America, The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1727" 1-52, 1997

      11 Schneider F, "Shadow economy" 2002

      12 Schneider F, "Shadow economies: size, causes, and consequences" 38 (38): 77-114, 2000

      13 Schneider, F, "Shadow economies around the world:what do we know?" Johannes Kepler University of Linz 1-58, 2004

      14 Transparency International, "Report on the Transparency International Global Corruption Barometer 2007"

      15 Johnson S, "Regulatory discretion and the unofficial economy" 88 (88): 387-392, 1998a

      16 Schleifer A, "Politicians and firms" 109 (109): 995-1025, 1994

      17 Giles D, "Measuring the hidden economy : implications for econometric modelling" 109 (109): 370-380, 1999

      18 Ernste D, "Increasing shadow economies all over the world - fiction or reality?,?IZA DP NO.26" 1998

      19 Rosser, Jr. J.B, "Income inequality and the informal economy in transition economies" 28 : 156-171, 1999

      20 Fjeldstad O, "Fiscal corruption: a vice or a virtue?" World Development 1-9, 2003

      21 Spiro P.S, "Evidence of a post-GST increase in the underground economy" 41 (41): 247-258, 1993

      22 Schneider F, "Estimating the size of the Danish shadow economy using the currency demand approach: An Attempt" 88 (88): 643-668, 1986

      23 Christopoulos,D.K, "Does underground economy respond symmetrically to tax changes? evidence from Greece" 20 (20): 563-570, 2003

      24 Johnson S, "Corruption, public finances and the unofficial economy" The World Bank 1998

      25 Schneider F, "Can the shadow economy be reduced through major tax reforms? An empirical investigation for Austria" 49 : 137-152, 1994

      26 Cebula,R.J,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government tax and auditing policies on the size of the underground economy: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1973-94" 56 (56): 173-185,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5 1.49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