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이혼 소송과 판결의 특징-18세기 유정기의 이이(離異) 청원 사례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Divorce Suits and Judgments in Late J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202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세기 초반 유정기가 올린 이이(離異) 청원의 처리와 판결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시대 이혼 소송의 성격과 조선 후기 이혼 판결의 특징을 조명했다.
      조선시대 혼인 관계 해소는 주로 남편이 처를 버리는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양반층 남성이 처를 버리는 행위는 부부의 의(義)를 훼손한 행위로 보아 처벌하고 재결합하도록 했다. 처벌을 받지 않더라도 부부의 의를 훼손한 자라는 불명예와 함께 관직 진출에 불이익을 받기도 했다. 따라서 관으로부터 정식으로 혼인 관계 해소를 인정받아 이러한 불명예와 불이익을 받지 않고자 하는 사람들이 관에 이이 허락을 청원하는 경우에 주로 이혼 소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이 청원을 하더라도 관에서 이를 허락해주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기에 남편 측에서는 이이를 허락해줄 만한 처의 허물을 들어 과장하여 호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때문에 관에서 이이 청원 소지를 퇴장(退狀)하지 않고 접수한 경우 민사 소송이 아닌 이혼 사유로 제기된 ‘악행’을 처가 실제로 행했는지 조사하는 형사 사건 조사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이이를 허락하지 않는다는 방침은 조선시대 내내 지속되었다. 그런데 조선 전기에는 처를 버려 부부의 의를 지키지 않은 남편을 규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조선 후기에는 처로서의 도리를 지키도록 하는데 이전보다 더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이이 청원에 따른 조사 과정에서 처에게 남편의 죄를 증언하게 할 수 없다는 조선 후기 형사 사건 조사에 통용되던 원칙을 적용하여 남편을 조사하지 않음으로써 이 시기 이혼 소송은 양측에 공정한 기회를 부여하는 절차가 되지 못했다.
      번역하기

      18세기 초반 유정기가 올린 이이(離異) 청원의 처리와 판결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시대 이혼 소송의 성격과 조선 후기 이혼 판결의 특징을 조명했다. 조선시대 혼인 관계 해소는 주로 남...

      18세기 초반 유정기가 올린 이이(離異) 청원의 처리와 판결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시대 이혼 소송의 성격과 조선 후기 이혼 판결의 특징을 조명했다.
      조선시대 혼인 관계 해소는 주로 남편이 처를 버리는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양반층 남성이 처를 버리는 행위는 부부의 의(義)를 훼손한 행위로 보아 처벌하고 재결합하도록 했다. 처벌을 받지 않더라도 부부의 의를 훼손한 자라는 불명예와 함께 관직 진출에 불이익을 받기도 했다. 따라서 관으로부터 정식으로 혼인 관계 해소를 인정받아 이러한 불명예와 불이익을 받지 않고자 하는 사람들이 관에 이이 허락을 청원하는 경우에 주로 이혼 소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이 청원을 하더라도 관에서 이를 허락해주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기에 남편 측에서는 이이를 허락해줄 만한 처의 허물을 들어 과장하여 호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때문에 관에서 이이 청원 소지를 퇴장(退狀)하지 않고 접수한 경우 민사 소송이 아닌 이혼 사유로 제기된 ‘악행’을 처가 실제로 행했는지 조사하는 형사 사건 조사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이이를 허락하지 않는다는 방침은 조선시대 내내 지속되었다. 그런데 조선 전기에는 처를 버려 부부의 의를 지키지 않은 남편을 규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조선 후기에는 처로서의 도리를 지키도록 하는데 이전보다 더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이이 청원에 따른 조사 과정에서 처에게 남편의 죄를 증언하게 할 수 없다는 조선 후기 형사 사건 조사에 통용되던 원칙을 적용하여 남편을 조사하지 않음으로써 이 시기 이혼 소송은 양측에 공정한 기회를 부여하는 절차가 되지 못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태종실록, 세종실록, 세조실록, 성종실록, 중종실록, 인조실록, 숙종실록"

      2 "추관지"

      3 이기홍, "직재집" 민족문화추진회 1995

      4 정해은, "조선후기 이혼의 실상과 <대명률>의 적용" 한국역사연구회 (75) : 93-125, 2010

      5 장병인,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일지사 1997

      6 박경, "조선전기 친속 용은(容隱) 규정의 수용과 그 의미 - ‘범죄 감싸주기’ 허용을 통해 본 가족 및 친족 공동체의 보호에 대하여 -" 한국역사연구회 (75) : 61-92, 2010

      7 박 경, "조선전기 처첩질서 확립에 대한 고찰" 27 : 2000

      8 장병인, "조선시대 이혼에 대한 규제와 그 실상" 6 : 1999

      9 한희숙,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와 처의 지위" 한국여성사학회 (22) : 63-100, 2015

      10 박경, "조선 전기 棄妻 규제 정책의 영향과 한계" 한국사학회 (98) : 197-229, 2010

      1 "태종실록, 세종실록, 세조실록, 성종실록, 중종실록, 인조실록, 숙종실록"

      2 "추관지"

      3 이기홍, "직재집" 민족문화추진회 1995

      4 정해은, "조선후기 이혼의 실상과 <대명률>의 적용" 한국역사연구회 (75) : 93-125, 2010

      5 장병인,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일지사 1997

      6 박경, "조선전기 친속 용은(容隱) 규정의 수용과 그 의미 - ‘범죄 감싸주기’ 허용을 통해 본 가족 및 친족 공동체의 보호에 대하여 -" 한국역사연구회 (75) : 61-92, 2010

      7 박 경, "조선전기 처첩질서 확립에 대한 고찰" 27 : 2000

      8 장병인, "조선시대 이혼에 대한 규제와 그 실상" 6 : 1999

      9 한희숙,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와 처의 지위" 한국여성사학회 (22) : 63-100, 2015

      10 박경, "조선 전기 棄妻 규제 정책의 영향과 한계" 한국사학회 (98) : 197-229, 2010

      11 "전율통보"

      12 정호, "장암집" 민족문화추진회 1995

      13 한희숙, "연산군의 딸 휘순공주(徽順公主)의 혼인과 이혼" 한국여성사학회 (28) : 125-152, 2018

      14 "연려실기술"

      15 강명관, "신태영의 이혼 소송 1704~1713" 휴머니스트 2016

      16 "신보수교집록"

      17 "승정원일기"

      18 임방, "수촌집" 민족문화추진회 1995

      19 박 주, "병자호란과 이혼" 10 : 2001

      20 박주영, "병자호란 직후 속환부녀(贖還婦女)의 이혼 문제" 인문과학연구소 (58) : 193-236, 2020

      21 장병인, "법과 풍속으로 본 조선 여성의 삶-혼인ㆍ이혼ㆍ간통ㆍ성폭행으로 읽는 조선시대 여성사" 휴머니스트 2018

      22 "대명률직해"

      23 "대명률강해"

      2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문검색서비스"

      25 "고문서집성, 122책 양주 사릉 해주 정씨 종가 고문서Ⅰ"

      26 전경목,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휴머니스트 2013

      27 "경국대전"

      28 김두헌, "韓國家族制度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29 박경, "刑政 운용을 통해 본 조선 전기의 가족 정책 - 夫妻간의 폭력에 대한 처벌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90) : 67-100,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