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필사본『청구도』의 지명 연구 = A Study of Place Names on Manuscript Edition 『Cheonggu-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7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필사본『청구도』의 수록 지명을 도별·유형별로 분류하고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 지명어 빈도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선 후기 한반도의 지명 체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지명을 통해 지역성과 역사성을 읽어 보고자 한 시도이다. 도별 지명 수는 경상도와 전라도, 평안도 순으로 높게 나타나며, 경기도, 함경도, 황해도 등은 낮게 나타났다. 수록 지명의 유형별 분류는 방리, 산, 고개 및 섬·해안 지명이 높게 나타나고, 반면 진보, 진·포, 역사, 목장 지명 등은 낮은 분포를 보였다. 지역별, 유형별로는 경상도에 산, 진·포, 방리, 역참 지명, 전라도는 섬·해안, 진·포, 목장 지명, 강원도는 역참 지명, 함경도는 봉수, 창고 지명, 평안도는 고개와 진보, 창고 지명이 많았다. 지명어 빈도 분석은 자연 9개, 인문 13개 각각의 지명어가 함의하고 있는 자연 및 인문 환경적 관계와 위치, 공간적 분포의 특징을 통해 지역성을 읽고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청구도』에 나타난 지명과 지리적 환경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지역 특성과 고유성을 밝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필사본『청구도』의 수록 지명을 도별·유형별로 분류하고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 지명어 빈도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선 후기 한반도의 지명 체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나...

      본 연구는 필사본『청구도』의 수록 지명을 도별·유형별로 분류하고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 지명어 빈도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선 후기 한반도의 지명 체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지명을 통해 지역성과 역사성을 읽어 보고자 한 시도이다. 도별 지명 수는 경상도와 전라도, 평안도 순으로 높게 나타나며, 경기도, 함경도, 황해도 등은 낮게 나타났다. 수록 지명의 유형별 분류는 방리, 산, 고개 및 섬·해안 지명이 높게 나타나고, 반면 진보, 진·포, 역사, 목장 지명 등은 낮은 분포를 보였다. 지역별, 유형별로는 경상도에 산, 진·포, 방리, 역참 지명, 전라도는 섬·해안, 진·포, 목장 지명, 강원도는 역참 지명, 함경도는 봉수, 창고 지명, 평안도는 고개와 진보, 창고 지명이 많았다. 지명어 빈도 분석은 자연 9개, 인문 13개 각각의 지명어가 함의하고 있는 자연 및 인문 환경적 관계와 위치, 공간적 분포의 특징을 통해 지역성을 읽고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청구도』에 나타난 지명과 지리적 환경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지역 특성과 고유성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aims to identify geographical nam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Period by classifying the geographical names included in the manuscript edition of 『Cheonggu-do』(『靑邱圖』) by province and by pattern and comparatively analyzing natural and human geographical names and the frequency of toponym. This study can be an attempt to examine locality and historicity through geographical names. For the number of geographical names by province, the numbers are high in Gyeongsang Province, Jeolla Province and Pyeongan Province in the order. While the numbers of geographical names of Gyeonggi Province, Hamgyeong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are low. For the classification by pattern of geographical names included in the manuscript edition, the geographical names of village, mountain, pass and coast are highly distributed. Meanwhile, the geographical names of castle, shore, history, ranch show a low distribution. For classification by region and by pattern, there are lots of geographical names of mountain, shore, village, postal in Gyeongsang Province. Jeolla Province has lots of geographical names of coast, shore, ranch. Many geographical names of beacon and warehouse are found in Hamgyeong Province. Pyeongan Province has a great deal of pass, castle and warehouse. As far as the toponym frequency analysis is concerned, this study has compared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al relationships & lo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that 9 natural and 13 human toponym suggest, respectively. As a result, this study has found the correlations between geographical names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exhibited in 『Cheonggu-do』and has further identified regional features and peculiarit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geographical nam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Period by classifying the geographical names included in the manuscript edition of 『Cheonggu-do』(『靑邱圖』) by province and by pat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geographical nam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Period by classifying the geographical names included in the manuscript edition of 『Cheonggu-do』(『靑邱圖』) by province and by pattern and comparatively analyzing natural and human geographical names and the frequency of toponym. This study can be an attempt to examine locality and historicity through geographical names. For the number of geographical names by province, the numbers are high in Gyeongsang Province, Jeolla Province and Pyeongan Province in the order. While the numbers of geographical names of Gyeonggi Province, Hamgyeong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are low. For the classification by pattern of geographical names included in the manuscript edition, the geographical names of village, mountain, pass and coast are highly distributed. Meanwhile, the geographical names of castle, shore, history, ranch show a low distribution. For classification by region and by pattern, there are lots of geographical names of mountain, shore, village, postal in Gyeongsang Province. Jeolla Province has lots of geographical names of coast, shore, ranch. Many geographical names of beacon and warehouse are found in Hamgyeong Province. Pyeongan Province has a great deal of pass, castle and warehouse. As far as the toponym frequency analysis is concerned, this study has compared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al relationships & lo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that 9 natural and 13 human toponym suggest, respectively. As a result, this study has found the correlations between geographical names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exhibited in 『Cheonggu-do』and has further identified regional features and peculiar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