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소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의 언어문화 연구 = A Study on the Language Cul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Book of North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북한의 언어문화를 고찰하기 위한 하나의 구체적 사례 연구로서 북한 소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의 언어문화를 고찰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말...

      본고에서는 북한의 언어문화를 고찰하기 위한 하나의 구체적 사례 연구로서 북한 소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의 언어문화를 고찰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말과 교과서에서 기술된 언어를 함께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세 가지 측면에서 북한의 언어문화를 고찰하였다. 첫째, 김일성과 김정일을 대상으로, 이들을 맹목적으로 높이고 칭송하기 위해서 다양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김일성 일가를 다른 언중과 구별 짓고 특화시키는 차별적 언어문화가 매우 강력하게 형성된 것이다. 둘째, 적대 세력에 대해서는 언어로서 적개심을 표출하는 것을 긍정하는 언어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김일성 일가 또한 이러한 언어문화 형성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에서의 언어문화는 유교적 전통과 긴밀히 상호작용하고 있었으며, 학교에서의 언어문화와 관련해서는 교사와 학생, 학생 상호간의 존중과 예의, 성별 화법 차이가 형성되어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language cul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book of North Korea as a case study for analysing the language culture of North Korea. For this I analyzed elementary school Korean book of North Korea by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language cul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book of North Korea as a case study for analysing the language culture of North Korea. For this I analyzed elementary school Korean book of North Korea by analyzing language of people and language which is described in Korean book. As the result, I described language culture of North Korea in 3 aspects. Firstly, there are many expressions to praise Kim ilsung family. There is a discriminative language culture which to specialize Kim ilsung family from general people. Secondly, there is language culture which is affirmed to express hostility with language for enemy. Thirdly, language culture of family interacts with Confucian tradition and language culture of school is related to mutual respect, manners, speech difference based upon gen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행, "하이퍼텍스트의 언어문화 이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2 "통일부 통계"

      3 김양희, "인민학교 1학년 교과서 제재 분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 : 243-271, 2002

      4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우리말 례절법" 사회과학출판사 2011

      5 백경숙, "언어와 문화, 현대 영어교육의 이해와 전망" 서울대 출판부 2000

      6 리정용, "언어생활론, 조선어학전서33" 사회과학출판사 2005

      7 성기철,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131-149, 2004

      8 문금현, "새터민 언어실태 조사 연구"

      9 신명선, "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0 양수경,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 국어교육학회 (28) : 459-484, 2007

      1 김대행, "하이퍼텍스트의 언어문화 이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2 "통일부 통계"

      3 김양희, "인민학교 1학년 교과서 제재 분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0 : 243-271, 2002

      4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우리말 례절법" 사회과학출판사 2011

      5 백경숙, "언어와 문화, 현대 영어교육의 이해와 전망" 서울대 출판부 2000

      6 리정용, "언어생활론, 조선어학전서33" 사회과학출판사 2005

      7 성기철, "언어문화의 보편성과 개별성"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131-149, 2004

      8 문금현, "새터민 언어실태 조사 연구"

      9 신명선, "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0 양수경,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 국어교육학회 (28) : 459-484, 2007

      11 권순희, "새터민 구어 학습용 교육 자료 개발"

      12 고영근, "북한의 언어문화" 서울대 출판부 1999

      13 정재영, "북한의 경어법" 국립국어원 1 (1): 1991

      14 강보선, "북한 인민학교 국어 교과서의 사회언어학적 특징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2008

      15 신은희, "민족주의에 나타난 북한 언어문화의 특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3 (3): 83-104, 2006

      16 정경일, "남한 정착 북한 출신 주민의 언어 적응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문화관광부 2001

      17 윤희원, "남북한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18 김민수, "김정일 시대의 북한언어" 태학사 1997

      19 해주 제2사범대학, "국어교수법" 교육도서출판사 1973

      20 교육도서출판사, "국어(소학교 제4학년용)" 2007

      21 교육도서출판사, "국어(소학교 제3학년용)" 2009

      22 교육도서출판사, "국어(소학교 제2학년용)" 2009

      23 교육도서출판사, "국어(소학교 제1학년용)" 2008

      24 민현식, "국어 순화론, 남북의 언어와 한국어교육" 태학사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peech Research ->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4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