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 영향 요인 분석 = Korean College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What Influences Their Intent to Study Abroad for High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93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Korean college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who attend 4-yea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were used for analyses. In this data, study abroad includes attend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degrees or vocational schools, but excludes language learning programs. Findings showed that family background variables and study of Englis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for higher education. Interestingly, colleg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special high schools were less likely to plan to study abroad for higher education than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s. Its interpretation was provided that those from special high schools have strong chances to have high socioeconomic status from family background and have also successfully entered top universities in Korea; therefore, they may not need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in Korean society by pursuing study abroad. With regard to the level of education for study abroad, 4-year undergraduate vs. graduate program, positive educational experiences in Korea by both parents and students, being a female, and academic major in science and technology or medicine and pharm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an to study abroad for graduate degrees compared to undergraduate degrees. By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from other countries, this study provided the significance of a Korean case study i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model for Korean students’ decision to study abroad and promoting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Korean higher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Korean college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who attend 4-yea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were used for analyses. In this data, study abroad...

      This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Korean college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who attend 4-yea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were used for analyses. In this data, study abroad includes attend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degrees or vocational schools, but excludes language learning programs. Findings showed that family background variables and study of Englis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for higher education. Interestingly, colleg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special high schools were less likely to plan to study abroad for higher education than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s. Its interpretation was provided that those from special high schools have strong chances to have high socioeconomic status from family background and have also successfully entered top universities in Korea; therefore, they may not need to raise their social status in Korean society by pursuing study abroad. With regard to the level of education for study abroad, 4-year undergraduate vs. graduate program, positive educational experiences in Korea by both parents and students, being a female, and academic major in science and technology or medicine and pharm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an to study abroad for graduate degrees compared to undergraduate degrees. By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from other countries, this study provided the significance of a Korean case study i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model for Korean students’ decision to study abroad and promoting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Korean highe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과 희망 학위수준(4년제 학부 대 대학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해외유학은 정규학위과정 및 전문학교 진학을 포함하고 어학연수는 제외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 · 가정배경 요인과 영어 공부가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본인의 교육에 대한 의지와 경험이 유학 계획에 영향을 주는 것이 조기유학과 차별되는 부분이었다. 특히 특목고 출신의 학생들이 일반고 출신의 학생들에 비하여 해외유학 계획의 가능성이 낮은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해외유학 학위수준별로는 부모와 자녀의 국내 교육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또 여학생이고 이공 · 의약 계열을 전공할수록 학부보다 대학원 과정을 선택할 개연성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해외 선행연구와 비교 · 분석함으로써 이번 한국 사례 연구가 국제고등교육에서 갖는 의미와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이러한 한국의 고등교육 단계 해외유학에 대한 연구 축적을 통해 한국 학생의 국제이동에 대한 모델을 구축하고 국내 고등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과 희망 학위수준(4년제 학부 대 대학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해외...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과 희망 학위수준(4년제 학부 대 대학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해외유학은 정규학위과정 및 전문학교 진학을 포함하고 어학연수는 제외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 · 가정배경 요인과 영어 공부가 대학생의 해외유학 계획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본인의 교육에 대한 의지와 경험이 유학 계획에 영향을 주는 것이 조기유학과 차별되는 부분이었다. 특히 특목고 출신의 학생들이 일반고 출신의 학생들에 비하여 해외유학 계획의 가능성이 낮은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해외유학 학위수준별로는 부모와 자녀의 국내 교육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또 여학생이고 이공 · 의약 계열을 전공할수록 학부보다 대학원 과정을 선택할 개연성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해외 선행연구와 비교 · 분석함으로써 이번 한국 사례 연구가 국제고등교육에서 갖는 의미와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도 이러한 한국의 고등교육 단계 해외유학에 대한 연구 축적을 통해 한국 학생의 국제이동에 대한 모델을 구축하고 국내 고등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경자, "해외거주 후 국내대학에 진학한 귀국 대학생의 문화적응양상과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125-146, 2010

      2 이병식, "한중일 대학생 교류프로그램 시범사업 추진 및 협의 전략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박소진, "한국 사회 문화 재인식과 세계 속 자기 정체성 찾기―대학생 단기 해외연수 동기와 경험"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217-262, 2010

      4 조혜영, "청소년들은 어떻게 조기유학을 결정하게 되는가? -미국 소도시 유학생들의 사례"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15-143, 2007

      5 박명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08~2018" 한국고용정보원 2010

      6 홍세희, "종단적 가중치 및 무응답 대체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7 이영민, "조기유학을 통해 본 교육이민의 초국가적 네트워크와 상징자본화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11 (11): 75-89, 2008

      8 홍석준, "조기유학 대상지로 동남아시아를 선택하는 한국인 부모들의 동기 및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연구 : 말레이시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0 (20): 239-262, 2009

      9 박소화, "조기유학 경험의 초국가성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10 안준기, "어학연수가 졸업 후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203-231, 2009

      1 오경자, "해외거주 후 국내대학에 진학한 귀국 대학생의 문화적응양상과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125-146, 2010

      2 이병식, "한중일 대학생 교류프로그램 시범사업 추진 및 협의 전략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박소진, "한국 사회 문화 재인식과 세계 속 자기 정체성 찾기―대학생 단기 해외연수 동기와 경험"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217-262, 2010

      4 조혜영, "청소년들은 어떻게 조기유학을 결정하게 되는가? -미국 소도시 유학생들의 사례"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15-143, 2007

      5 박명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08~2018" 한국고용정보원 2010

      6 홍세희, "종단적 가중치 및 무응답 대체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7 이영민, "조기유학을 통해 본 교육이민의 초국가적 네트워크와 상징자본화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11 (11): 75-89, 2008

      8 홍석준, "조기유학 대상지로 동남아시아를 선택하는 한국인 부모들의 동기 및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연구 : 말레이시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0 (20): 239-262, 2009

      9 박소화, "조기유학 경험의 초국가성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10 안준기, "어학연수가 졸업 후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203-231, 2009

      11 김종영, "미국대학의 글로벌 헤게모니의 일상적 체화" 비판사회학회 85 (85): 237-264, 2010

      12 성정현, "동남아시아 조기유학 청소년의 유학 결정과정과 유학경험: 말레이시아에서 유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6 (16): 71-102, 2009

      13 김종영, "글로벌 문화자본의 추구 - 미국 유학 동기에 대한 심층 면접 분석" 한국사회학회 42 (42): 68-105, 2008

      14 교육과학기술부, "국외 한국인 유학생 통계"

      15 교육인적자원부, "국내외 유학생 통계"

      16 김경근, "교육적 동기에 의한 ‘탈한국’의 개연성이 있는 가족의 특성"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29-50, 2005

      17 Mazzarol, T., "‘‘Push-pull’’ factors influencing international student destination choice" 16 : 82-90, 2002

      18 Tasng, E. Y-h, "he quest for higher education by the Chinese middle class: Retrenching social mobility" 66 : 653-668, 2013

      19 Salisbury, M. H., "Why do all the study abroad students look alike? Applying an integrated student choice model to explo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White and minority students’ intent to study abroad" 52 : 123-150, 2011

      20 Stroud, A. H., "Who plans (not) to study abroad? An examination of U.S. student intent" 14 (14): 491-507, 2010

      21 Perna, L. W., "Understanding the decision to enroll in graduate school: Sex and racial/ethnic group differences" 75 (75): 487-527, 2004

      22 Salisbury, M. H., "To see the world or stay at home: Applying an integrated student choice model to explore the gender gap in the intent to study abroad" 51 : 615-640, 2010

      23 Twombly, S. B., "Study abroad in a new global century: Renewing the promise, refining the purpose. (ASHE Higher Education Report, 38, No.4)" Jossey-Bass 2012

      24 Fry, G. W., "Study abroad and its transformative power. Occasional Papers on International Educational Exchange (Vol. 32)" Council on International Educational Exchange 2009

      25 Kondakci, Y., "Student mobility reviewed: attraction and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urkey" 62 : 573-592, 2011

      26 Rust, V., "Student involvement as predictive of college freshmen plans to study abroad" 15 : 1-16, 2008

      27 Byun, K., "Quest for building world-class universities in South Korea: Outcomes and consequences" 65 : 645-659, 2013

      28 Marcotte, C., "Preparing internationally minded business graduates: The role of international mobility programs" 31 : 655-668, 2007

      29 Goldstein, S. B., "Predictors of US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study abroad program: A longitudinal study" 30 : 507-521, 2006

      30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IIE), "Open doors fast facts"

      31 Sánchez, C. M., "Motivations and the intent to study abroad among U.S., French, and Chinese students" 18 (18): 27-52, 2006

      32 Biao, X., "International student migration and social stratification in China" 29 : 513-522, 2009

      33 McMahon, M.E., "Higher Education in a World Market. An Historical Look at the Global Context of International Study" 24 (24): 465-482, 1992

      34 Salisbury, M. H., "Going global: Understanding the choice process of the intent to study abroad" 50 : 119-143, 2009

      35 Varghese, N. V., "Glob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cross-border student mobility" UNESCO 2008

      36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3: OECD Indicators" OECD publishing 2013

      37 Li, M., "Cross-border flows of students for higher education: Push- pull factors and motivations of mainland Chinese students in Hong Kong and Macau" 53 : 791-818, 2007

      38 Altbach, P. G., "Comparative higher education: Knowledge, the university, and development" Ablex 1998

      39 Pan, S.-Y., "Changes and challenges in the flow of international human capital: China’s experience" 14 (14): 259-288, 2010

      40 Meid, J. S. V. D., "Asian Americans: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to study abroad" 9 : 71-110, 2003

      41 Park, E. L., "Analysis of Korean students’ international mobility by 2-D model: Driving force factor and directional factor" 57 : 741-755, 2009

      42 Doyle, S., "An investig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 participation in study abroad" 14 (14): 471-490, 2010

      43 Wei, H.,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66 : 105-122, 2013

      44 Peng, C.-Y. J., "Advances in missing data method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In Real data analysis" Information Age 31-78, 2007

      45 Tremblay, K., "Academic mobility and immigration" 9 (9): 196-228, 2005

      46 Pimpa, N., "A family affair: The effect of family on Thai students’ choices of international education" 49 : 431-448, 2005

      47 홍성민, "2012년 이공계 인력의 국내외 유출입 수지와 실태" 교육과학기술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교육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5 2.25 2.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7 1.68 2.64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