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조사 연구  :  한·일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attitudes toward integr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11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일 교사(n=345)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경향 및 영향 요인에 대하여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것이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고 고찰을 보탠 결과 다음과 같은 ...

      본 연구는 한일 교사(n=345)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경향 및 영향 요인에 대하여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것이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고 고찰을 보탠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일본의 통합교육은 통급교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아동 비율이 높다. 또한 교사들의 통합교육 관련 연수 경험과 양성과정에서의 관련 과목 이수경험도 높게 나타나고 있어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발전 방향과 관련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한국 교사는 일본 교사에 비해 통합교육에 실행 방법에 대한 인지도가 높고 현실적 조건에 대하여 그다지 비호의적이지 않으면서도 실질적인 실천과 추진에 있어서는 적극적이지 못하거나 방관자적 태도 경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리나라 교사의 태도는 태도 삼성분 이론과 관련하여 행동적으로는 다소 긍정적이나 감정과 인지적 태도 영역에 있어서는 중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일에 걸쳐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간주된 일반교사의 장애아동 지도경력과 성별의 효과에 근거하여 통합학급 담당교사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제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345 teachers' attitudes toward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fluencing factors on teachers' attitudes as measured by response on a survey among teachers in Korea and in Japan.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

      This study investigated 345 teachers' attitudes toward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fluencing factors on teachers' attitudes as measured by response on a survey among teachers in Korea and in Japan.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hile a special classroom is a major source of mainstreaming education in Korea, a resource room is a major source of integrated education in Japan. The number of students who attend a regular classroom in a general school is on the rise in Japan. The number of teachers who have taken eit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 in special education or related class to special education in pre-service program in university is also on the rise in Japan. Since it was thought that education in Korea is on the same trend track as that of Japan, this result can shed some lights on mainstreaming education in Korea.
      Secondly, Even though Korean teachers thought that success of mainstreaming education purely depends on teacher's willingness rather than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Korean teachers do know how to implement mainstreaming education policy in classroom better than Japanese teachers do, Korean teachers do not carry out mainstreaming education in classroom in practical way. They have shown to some extent neutral attitudes toward integration.
      Thirdly, Korean teachers have expressed positive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education in terms of behavioral attitudes. However their attitudes is to some extent neutral in terms of emotional and cognitive attitudes.
      Lastly, teachers' attitudes seem to be changed depending on both teaching experience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sex in both country. This result indicates that screening process for a regular classroom teacher who wishes to accep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his or her classroom is necessary for success of mainstreaming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