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사회관계 = Online Social Relation : Before and After Web 2.0’s Social Network Si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37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온라인 사회관계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1990년대 중반이후 최근까지 이 주제와 관련하여 진행된 다양한 학술 연구의 쟁점과 성과를 살펴본다. 웹 2.0 이전의 온라인 사회관계에...

      온라인 사회관계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1990년대 중반이후 최근까지 이 주제와 관련하여 진행된 다양한 학술 연구의 쟁점과 성과를 살펴본다. 웹 2.0 이전의 온라인 사회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온라인 사회관계를 약한 유대 관계로 간주하였으며, 유익한 정보 교환에 약한 유대 관계가 갖는 장점이 온라인 그룹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온라인의 약한 유대관계가 공동체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이는 사회학의 지배적인 사회관계 이론에 중대한 수정을 초래하였다. 한편, 최근의 사회연결망 사이트는 대체로 강한 유대관계라는 측면에서 이해되며, 정보의 신뢰성 측면에서 이전의 온라인 포럼보다 더 유리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이트가 상업 공간이라는 점에서, 감시 강화와 프라이버시 침해와 성적 일탈과 같은 위험 요소가 더 많이 수반된다. 사교적이고 외향적인 사람들은 자신들의 사회관계를 온라인에도 확장함으로써 자신의 사회성을 강화하며, 비사교적이고 내향적인 사람들은 사이버공간에서의 적극적인 관계 형성으로 사회적 보상을 이루려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explo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online social relationship on social network sites and that on online sites before web 2.0, this research tries to define the general nature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s. Online social relationship b...

      By explo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online social relationship on social network sites and that on online sites before web 2.0, this research tries to define the general nature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s. Online social relationship before web 2.0 by and large has been considered as a weak-tie relationship and its usefulnessin the exchange of information has been emphasized. In addition, it was believed to develop community relations and this led to the correction of dominant sociological theory of community. Yet, today’s social network sites are viewed in terms of strong-tie relation and its nature as ‘the third place’ is underscored. They are also believed to have a merit in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al exchange. Given that almost all social network sites are commercial ones, the use of social network sites entails much more risks and perils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surveillance, violations of users’ privacy, and the sexual harrassment on especially younger users. In sum, the Internet is used a complementary medium for strong-tie contacts and also used a crucial medium for extending broad weak-tie rel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머리말
      • 2. 인터넷과 온라인 사회관계
      • 3. 사회연결망 사이트의 온라인 사회관계
      • 4. 결론
      • 요약
      • 1. 머리말
      • 2. 인터넷과 온라인 사회관계
      • 3. 사회연결망 사이트의 온라인 사회관계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