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관한 기본법으로서의 교육기본법의 효력, 역할, 필요성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파악을 위해 교육현장에서 집행되는 교육정책과 그 정책의 집행절차나 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82868
주영달 (법률사무소 교우)
2019
Korean
Framework Act on Education ; Constitutional Court ; Supreme court ; function ; case analysis ; 교육기본법 ; 헌법재판소 ; 대법원 ; 기능 ; 판례 분석
KCI등재
학술저널
127-154(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에 관한 기본법으로서의 교육기본법의 효력, 역할, 필요성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파악을 위해 교육현장에서 집행되는 교육정책과 그 정책의 집행절차나 방...
교육에 관한 기본법으로서의 교육기본법의 효력, 역할, 필요성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파악을 위해 교육현장에서 집행되는 교육정책과 그 정책의 집행절차나 방법 등에 대한 적법성 판단에 교육기본법이 적용되었던 판례들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교육기본법은 재판에서 헌법에 대한 보충 기능, 개별법에 대한 근거규범으로서의 역할, 개별 법규에 대한 해석의 준거로서의 기능, 국민의 권리와 의무 인정의 근거, 구체적 정책집행의 근거 규범, 조례의 적법성 판단의 준거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교육기본법의 존재 의의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으나 교육 현장에서 작지 않은 역할을 하고 있다. 교육기본법이 이러한 역할을 확대하고 존재의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기본법에 기본법의 성격에 맞는 내용만을 규정하고 구체적인 정책의 집행방법 등에 관한 내용은 각 개별법에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on the effect, role, and necessity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s the basic law on education.In order to grasp this, I analyzed the judicial precedents in which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was applied to judge th...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on the effect, role, and necessity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s the basic law on education.In order to grasp this, I analyzed the judicial precedents in which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was applied to judge the legitimacy of the educational policy and the enforcement procedure and method of the policy implemented in the education fiel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is supposed to be a supplementary function to the Constitution in the trial, and have done role as a basis of individual law, function as a criterion of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laws, and served as grounds for recognition of rights and obligations of citizens, and as a criterion of judgment. There may be doubts about the existence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but it plays a big role in the education field. .In order to expand the role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increase its value of presence, it is desirable to prescribe only the contents that meets the nature of the Basic Law, and to prescribe the contents of the specific policy enforcement methods in individual laws.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전, "헌법정신 관점에서의 교육기본법 개정 논의" 대한교육법학회 30 (30): 1-27, 2018
2 홍준형, "행정규제기본법의 내용과 문제(상)" 고시연구사 (282) : 63-81, 1997
3 박영도, "기본법의 입법 모델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6
4 안주열, "교육헌법과 교육기본법의 연구 성과와 과제" 2006
5 표시열, "교육행정에 관한 사법부의 권한과 주요 결정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189-211, 2007
6 고전, "교육기본법의 제·개정과 교육입법의 과제" 대한교육법학회 20 (20): 1-25, 2008
7 김용, "교육기본법의 성과와 과제: 기본법론의 관점에서" 대한교육법학회 19 (19): 27-50, 2007
8 강인수, "교육개혁을 위한 교육기본법 및 초・중등교육법 제정방안" 대한교육법학회 (8) : 51-78, 1996
9 문상덕, "공법학의과제(청담 최송화 교수 화갑 기념 논문집)" 2002
1 고전, "헌법정신 관점에서의 교육기본법 개정 논의" 대한교육법학회 30 (30): 1-27, 2018
2 홍준형, "행정규제기본법의 내용과 문제(상)" 고시연구사 (282) : 63-81, 1997
3 박영도, "기본법의 입법 모델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6
4 안주열, "교육헌법과 교육기본법의 연구 성과와 과제" 2006
5 표시열, "교육행정에 관한 사법부의 권한과 주요 결정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189-211, 2007
6 고전, "교육기본법의 제·개정과 교육입법의 과제" 대한교육법학회 20 (20): 1-25, 2008
7 김용, "교육기본법의 성과와 과제: 기본법론의 관점에서" 대한교육법학회 19 (19): 27-50, 2007
8 강인수, "교육개혁을 위한 교육기본법 및 초・중등교육법 제정방안" 대한교육법학회 (8) : 51-78, 1996
9 문상덕, "공법학의과제(청담 최송화 교수 화갑 기념 논문집)" 200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4-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Law of Educa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9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92 | 1.298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