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SNS를 활용한 자기표현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Self-Presentation Strateg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S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2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elf-presentation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Instagram and identify the professional self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 to present in SN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elf-presentation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Instagram and identify the professional self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 to present in SN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Instagram.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presentation through Instagram were divided into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teachers, cheering from students and parents, and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criticism that they were idle jobs, they were revealing their jobs in too much detail, and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ild self-presentation strategies in a way that strengthens ‘teacher-like teacher’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Teacher-like teacher’ means a teacher who has a ‘true, faithful, always positive and perfect’ attitude in every life. The teachers took a passive self-presentation strategy due to repeated surveillance through the process of self-monitoring, group monitoring, and other teachers’ monitoring so that self-presentation on SNS would include the image of a “teacher-like teacher.” This is an attitude caused by a strong public self-consciousness that considers the entire group of teachers rather than individual teachers, and is based on the hierarchical and conservative culture of the teacher society. Teachers strongly criticize the ostentatious self-presentation that deviates from the ‘teacher-like teacher’ and justify the group monitoring. In the e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narcissism’, reacted sensitively to the critical and negative external gaze and took a self-presentation strategy to positively shape the image of the teacher group as a whole. This is a strategy to protect the teacher group from external criticism, and the individual teacher should use SNS according to the teacher's self-expression strategy as one of the members of the teacher group rather than free self-expre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표현 전략을 밝힘으로써 초등학교 교사들이 SNS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직업적 자아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표현 전략을 밝힘으로써 초등학교 교사들이 SNS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직업적 자아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7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인스타그램을 통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표현 경험은 교사들과의 소통 및 공감, 학생과 학부모로부터의 응원 등의 긍정적 경험과 놀고먹는 직업이라는 비판, 교직을 지나치게 자세히 공개한다는 비판, 신상정보 공개 등의 부정적 경험으로 나뉘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대중의 반응을 통해 ‘교사다움’을 강화하는 방식의 자기표현 전략을 활용하였다. 교사들은 SNS 속 자기표현이 ‘교사다운 교사’로서의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자기감시, 집단 내부의 감시, 타인 감시의 과정을 거치고 반복된 감시로 인해 소극적 자기표현 전략을 취하였다. 이는 교사 개인의 자기표현보다 교사집단 전체를 고려하는 강한 공적 자아의식으로 인한 태도이며, 교직 사회의 위계적이고 보수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한다. 교사들은 ‘교사다움’에서 벗어나는 허세적 자기표현을 강하게 비판하며 집단의 감시과정을 정당화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집단적 나르시시즘’에 의해 교사집단에 대한 비판적・부정적 외부시선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집단 전체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자기표현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외부 비판으로부터 교사집단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며 교사 개인은 자유로운 자기표현보다는 교사집단의 일원으로서 교사다운 자기표현 전략에 맞게 SNS를 이용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영범, "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SNS 활용 특성에 관한 인터넷 질적 연구: ‘밴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2 (32): 293-325, 2016

      2 김유정, "페이스북에서의 자기과시적인 자기표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6 (16): 503-512, 2015

      3 전수진, "최신 정보기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S-Learning, SNS, Web3.0 기술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1-10, 2012

      4 이준, "초등학교에서 SNS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효과: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25-54, 2013

      5 최지연,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소셜 미디어 사용 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57-577, 2014

      6 이정선, "초등학교 교직문화에 대한 이해" 3 (3): 51-87, 2000

      7 전영국,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및 심층면담에 관한 비교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5 (25): 147-168, 2017

      8 Goffman, E., "자아 연출의 사회학" 현암사 2016

      9 박유진, "자기표현 도구로써 미니홈피 꾸미기 아이템의 이용 동기와 행태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5-39, 2008

      10 박창호, "인터넷에서의 과시: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대비하여" 한국사회이론학회 (41) : 36-67, 2012

      1 오영범, "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SNS 활용 특성에 관한 인터넷 질적 연구: ‘밴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2 (32): 293-325, 2016

      2 김유정, "페이스북에서의 자기과시적인 자기표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6 (16): 503-512, 2015

      3 전수진, "최신 정보기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S-Learning, SNS, Web3.0 기술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1-10, 2012

      4 이준, "초등학교에서 SNS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효과: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25-54, 2013

      5 최지연,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소셜 미디어 사용 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57-577, 2014

      6 이정선, "초등학교 교직문화에 대한 이해" 3 (3): 51-87, 2000

      7 전영국,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및 심층면담에 관한 비교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5 (25): 147-168, 2017

      8 Goffman, E., "자아 연출의 사회학" 현암사 2016

      9 박유진, "자기표현 도구로써 미니홈피 꾸미기 아이템의 이용 동기와 행태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5-39, 2008

      10 박창호, "인터넷에서의 과시: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대비하여" 한국사회이론학회 (41) : 36-67, 2012

      11 박현수, "인스타그램에서의 해시태그 사용의 새로운 관점" 478-481, 2017

      12 오세정,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인식 유형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9) : 73-97, 2018

      13 김유정, "웹 개인미디어에서의 사이버 자기표현" 한국언론학회 52 (52): 78-99, 2008

      14 윤보라, "여성의 이미지 기반 SNS 이용의 사회문화적 함의 : 인스타그램 이용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31 (31): 78-119, 2017

      15 최샛별, "싸이월드에서의 인상관리와 정보의 통제" 10 : 1-30, 2006

      16 이지연,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9-56, 2015

      17 허다원, "소셜미디어에 투영된 대중의 교사 이미지 분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18 신동인, "소셜미디어상에서의 침묵의 나선효과: SNS 자기표현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48 (48): 1363-1396, 2019

      19 조진숙, "소셜 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사의 태도와 관련 요인간의 영향력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303-325, 2014

      20 오지현,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성향과 이용 동기가 계정 익명성에 미치는 효과: 나르시시즘과 자기감시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2 (32): 33-64, 2018

      21 Kenrick, D. T., "사회심리학" 웅진씽크빅 2020

      22 강운선, "사회과 예비교사의 소셜 미디어 활용동기와 만족도 관계에서 활용행태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33-352, 2017

      23 이항우, "미니홈피와 비공식적 공적 생활의 조건:공/사 경계의 조율" 한국사회학회 40 (40): 124-154, 2006

      24 윤명희, "미니홈피 커뮤니티의 사회문화적 특징 : 대학생 이용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1 (21): 83-122, 2007

      25 최자영, "공적자기의식과 나르시시즘이 페이스북 브랜드 팬페이지의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컨셉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마케팅학회 28 (28): 65-86, 2013

      26 엄기호, "공부 공부 : 자기를 돌보는 방법을 어떻게 배울 것인가" 따비 2017

      27 장현미, "고프먼 관점에 따른자아의 유형화와 커뮤니케이션적 함의: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자아에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10 (10): 325-370, 2014

      28 노기영, "개인 웹페이지 표현양식에 대한 자아의식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46 (46): 279-309, 2002

      29 한겨레, "‘쌤스타그램’에 뜬 우리 애 사진을 어이할꼬?"

      30 Snyder, M., "Self-monitoring of expressive behavior" 30 (30): 526-537, 1974

      31 박민숙, "SNS이용자의 애착유형이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1-11, 2013

      32 신현희, "SNS의 형태적 진화에 따른 이용동기 및 사용행태 차이 - 대학생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이용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55-164, 2017

      33 함재민, "SNS에 나타나는 이미지 표현에 대한 연구: 미투데이(me2day)와 페이스북(facebook)을 중심으로" 23-30, 2011

      34 곽선혜, "SNS를 활용한 자기표현과 관계맺기 전략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35 김지윤, "SNS기반 지지모임을 활용한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소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87-108, 2015

      36 주현, "SNS기반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사례 연구:교사 전문성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2 (12): 127-150, 2016

      37 손성호, "SNS기반 교사공동체를 통한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 탐색 : 스마트교육 J선도교원 페이스북 그룹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81-201, 2014

      38 임명성, "SNS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자기공개와 자기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9 (19): 21-46, 2019

      39 이영원, "SNS 이용과 자기 감시성, 신체 이미지가 SNS에서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3 (23): 4-25, 2019

      40 Walther, J. B., "Relational Communication in Computer-Mediated Interaction" 19 (19): 50-88, 1992

      41 Sheldon, P., "Instagram : Motives for its use and relationship to narcissism and contextual age" 58 : 89-97, 2016

      42 Leary, M. R., "Impression management : A literature review and two-component model" 107 (107): 34-47, 1990

      43 Golec de Zavala, A., "Collective narcissism moderates the effect of in-group image threat on intergroup hostility" 104 : 1019-1039,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