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鶴)춤에서 나타나는 노장(老莊) 심미관(審美觀) 고찰 : 동래학춤과 양산학춤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View of Aesthetics(審美觀) of Lao-Chuang(老莊) Idea in Crane(Hak,鶴) Dance -Focus on Dongrae Hak dance and Yangsan Hak 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dynamic(動態的) aspect of crane(鶴) dance done in Youngnam area from Lao-Chuang(老莊)'s aesthetic view(審美觀).
      The dynamic aspect of dongrae hak dance does not restricted by a regular form, but imitates natural movements of crane. Therefore, dancing steps of dongrae hak dance has naturalness and simple beauty which excludes artificiality. On the other hand, yangsan hak dance was created in a temple and transmitted to the general people, which depicts cleanness and nobility of crane, living in easy as well as more realistic movement of crane than dongrae hak dance. Particularly, the characteristic of dance movement has freewheeling dance steps based on simple naturalness.
      Therefore, the two hak dances have beauty[大美] to be unified [harmonized] with the nature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inactive nature(無爲自然) beauty. In this aspect, there's an organic connection with Lao-Chuang's idea.
      Lao-Chuang idea considered the nature and naturalness of all objects in the natural world as aesthetic objects, particularly, selected the standard to reach beauty as simplicity related to Tao. Dance steps of dongrae hak dance and yangsan hak dance symbolize the nature through the figure of a crane which stays in the nature and paddles, and have the characteristic of the nature and harmony. Lao-Chuang's beauty can be found in the aesthetic view of naturalness and simplicity of these hak dances. In the aspect of aesthetics, inactive nature beauty of Lao-Chuang becomes the standard of the highest value of art. Various dynamic aspects of hak dances which have Lao-Chuang's aesthetic standard of inactive nature beauty reveal aesthetic communication in the aspect of having naturalness and planless feature escaping from artificiality and formality. Hereupon,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hat it can derive new ideological approach result in researching aesthetic characteristic of hak dance.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dynamic(動態的) aspect of crane(鶴) dance done in Youngnam area from Lao-Chuang(老莊)'s aesthetic view(審美觀). The dynamic aspect of dongrae hak dance does not restricted by a regular form, but imitat...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dynamic(動態的) aspect of crane(鶴) dance done in Youngnam area from Lao-Chuang(老莊)'s aesthetic view(審美觀).
      The dynamic aspect of dongrae hak dance does not restricted by a regular form, but imitates natural movements of crane. Therefore, dancing steps of dongrae hak dance has naturalness and simple beauty which excludes artificiality. On the other hand, yangsan hak dance was created in a temple and transmitted to the general people, which depicts cleanness and nobility of crane, living in easy as well as more realistic movement of crane than dongrae hak dance. Particularly, the characteristic of dance movement has freewheeling dance steps based on simple naturalness.
      Therefore, the two hak dances have beauty[大美] to be unified [harmonized] with the nature a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inactive nature(無爲自然) beauty. In this aspect, there's an organic connection with Lao-Chuang's idea.
      Lao-Chuang idea considered the nature and naturalness of all objects in the natural world as aesthetic objects, particularly, selected the standard to reach beauty as simplicity related to Tao. Dance steps of dongrae hak dance and yangsan hak dance symbolize the nature through the figure of a crane which stays in the nature and paddles, and have the characteristic of the nature and harmony. Lao-Chuang's beauty can be found in the aesthetic view of naturalness and simplicity of these hak dances. In the aspect of aesthetics, inactive nature beauty of Lao-Chuang becomes the standard of the highest value of art. Various dynamic aspects of hak dances which have Lao-Chuang's aesthetic standard of inactive nature beauty reveal aesthetic communication in the aspect of having naturalness and planless feature escaping from artificiality and formality. Hereupon,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hat it can derive new ideological approach result in researching aesthetic characteristic of hak d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영남지역 학(鶴)춤의 동태적(動態的) 측면을 노장(老莊)사상의 심미관(審美觀)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동래학춤의 춤사위 동태양상은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즉흥적이고 자유분방한 형식을 띠고 있으며, 인위성이 철저히 배제된 자연스러움과 소박미를갖추고 있다. 한편 양산학춤은 사찰에서 발생되어 일반 대중들에게 전승된 춤으로서 학의 깨끗함과 고귀함, 유유자적함뿐만 아니라 동래학춤보다 학의 움직임을 더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춤의 동태적 특징은 순박한 자연성에기초한 춤사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두 학춤은 자연과 일체[調和]를 이루고자하는 아름다움[大美]과 무위자연(無爲自然)미의 심미적 특징이 드러난다. 노장(老莊)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본성과 자연성을 심미적대상으로 삼았으며, 특히 대미(大美)에 도달하는 기준은 도와 관련된 소박함을꼽았다. 또한 노장의 무위자연을 심미적 차원에서 보면 예술에서는 최고가치기준이 된다. 동래학춤과 양산학춤의 동태적 특징은 자연에 머물고 노니는 학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표현함으로써 자연과의 조화성을 이룬다. 이러한 학춤의 동태적 측면들은 모두 인위성과 형식성에서 벗어나는 자연성과 무계획성을 갖추고 있다는점에서 노장의 대미와 무위자연미에서 상통된 점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춤의 미학적 이론과 노장사상과의 접근결과를 도출시켰다는 데에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영남지역 학(鶴)춤의 동태적(動態的) 측면을 노장(老莊)사상의 심미관(審美觀)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동래학춤의 춤사위 동태양상은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본 논문의 목적은 영남지역 학(鶴)춤의 동태적(動態的) 측면을 노장(老莊)사상의 심미관(審美觀)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동래학춤의 춤사위 동태양상은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즉흥적이고 자유분방한 형식을 띠고 있으며, 인위성이 철저히 배제된 자연스러움과 소박미를갖추고 있다. 한편 양산학춤은 사찰에서 발생되어 일반 대중들에게 전승된 춤으로서 학의 깨끗함과 고귀함, 유유자적함뿐만 아니라 동래학춤보다 학의 움직임을 더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춤의 동태적 특징은 순박한 자연성에기초한 춤사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두 학춤은 자연과 일체[調和]를 이루고자하는 아름다움[大美]과 무위자연(無爲自然)미의 심미적 특징이 드러난다. 노장(老莊)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본성과 자연성을 심미적대상으로 삼았으며, 특히 대미(大美)에 도달하는 기준은 도와 관련된 소박함을꼽았다. 또한 노장의 무위자연을 심미적 차원에서 보면 예술에서는 최고가치기준이 된다. 동래학춤과 양산학춤의 동태적 특징은 자연에 머물고 노니는 학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표현함으로써 자연과의 조화성을 이룬다. 이러한 학춤의 동태적 측면들은 모두 인위성과 형식성에서 벗어나는 자연성과 무계획성을 갖추고 있다는점에서 노장의 대미와 무위자연미에서 상통된 점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춤의 미학적 이론과 노장사상과의 접근결과를 도출시켰다는 데에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