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학문적 연구절차를 적용한 지속가능발전 문제해결 수업의 설계와 대학교 교양수업에의 적용 효과 = The Design of Sustainable Development Problem-solving Course Adop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cess and Implementation Effects on Liberal Art 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0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roblem-solving course adop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cess and to explore the effects by implementing on liberal art courses. For the purposes, sustainable development was chosen as the interdisciplinary theme. Revising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cess (IRP) suggested by Repko & Szostak (2016), five step-teaching strategies were designed: 1) Define the problem and state the research question, 2)Conduct literature review and identify relevant discipline, 3) Analyze the problem by discipline's perspective, 4) Build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5)Introspect test, communicate the understanding and make improvement. The course was implemented to students in one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ll of the students’ activities during the course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students took global citizenship and convergence attitude test before and after the cour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had special interests in ‘quality education’ and ‘reduced inequalities’ amo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students tended to adopt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problem analysis map, and frequently used multiple causality 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global competence’, one of the sub-categories of global citizenship. Two sub-categories of convergence attitude, ‘aesthetic sensitivity’ and ‘willingness to integrate disciplines’,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ere conducted.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roblem-solving course adop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cess and to explore the effects by implementing on liberal art courses. For the purposes, sustainable development was c...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roblem-solving course adop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cess and to explore the effects by implementing on liberal art courses. For the purposes, sustainable development was chosen as the interdisciplinary theme. Revising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cess (IRP) suggested by Repko & Szostak (2016), five step-teaching strategies were designed: 1) Define the problem and state the research question, 2)Conduct literature review and identify relevant discipline, 3) Analyze the problem by discipline's perspective, 4) Build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5)Introspect test, communicate the understanding and make improvement. The course was implemented to students in one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ll of the students’ activities during the course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students took global citizenship and convergence attitude test before and after the cour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had special interests in ‘quality education’ and ‘reduced inequalities’ amo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students tended to adopt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problem analysis map, and frequently used multiple causality 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global competence’, one of the sub-categories of global citizenship. Two sub-categories of convergence attitude, ‘aesthetic sensitivity’ and ‘willingness to integrate disciplines’,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were conduc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간학문적 연구절차를 적용한 문제해결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대학 교양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간학문적 주제로서 지속가능발전을 선정하고, Repko & Szostak(2016)가 제안한 간학문적 연구절차(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cess, IRP)를 수정하여 ‘문제 정의 및 연구문제 진술', ‘문헌연구와 유관학문 확인', ‘각 학문 관점에서의 문제분석', ‘포괄적 이해의 구성', ‘반성, 검증, 의사소통 및 개선'의 5단계로 구성된 지속가능발전 문제해결 수업을 설계하였다. 경기도 소재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설계한 수업과정에 따라 교양강좌를 운영하였다.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을 수집하여 단계별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고, 세계시민의식과 융합 태도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수업 전후 학생들의 의식과 태도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지속가능발전 목표 중, ’양질의 교육’과 ‘불평등 완화’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문제와 관련된 요인을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선형적 인과관계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포괄적 이해의 구성 단계에서는 다중 원인적 통합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시민의식의 하위범주 중 글로벌 역량, 융합 태도의 하위범주 중 심미적 감성과 교과융합에 대한 의지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학문적 교육의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간학문적 연구절차를 적용한 문제해결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대학 교양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간학문적 주제로서 지속가능발전을 선정...

      이 연구의 목적은 간학문적 연구절차를 적용한 문제해결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대학 교양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간학문적 주제로서 지속가능발전을 선정하고, Repko & Szostak(2016)가 제안한 간학문적 연구절차(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cess, IRP)를 수정하여 ‘문제 정의 및 연구문제 진술', ‘문헌연구와 유관학문 확인', ‘각 학문 관점에서의 문제분석', ‘포괄적 이해의 구성', ‘반성, 검증, 의사소통 및 개선'의 5단계로 구성된 지속가능발전 문제해결 수업을 설계하였다. 경기도 소재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설계한 수업과정에 따라 교양강좌를 운영하였다.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을 수집하여 단계별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고, 세계시민의식과 융합 태도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수업 전후 학생들의 의식과 태도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지속가능발전 목표 중, ’양질의 교육’과 ‘불평등 완화’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문제와 관련된 요인을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선형적 인과관계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포괄적 이해의 구성 단계에서는 다중 원인적 통합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시민의식의 하위범주 중 글로벌 역량, 융합 태도의 하위범주 중 심미적 감성과 교과융합에 대한 의지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학문적 교육의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충훈,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선정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운영성과와 발전계획 내용 탐색"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73-90, 2017

      2 이선경, "학교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융복합교육의 통합 전략 탐색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31 (31): 83-99, 2018

      3 이예다나,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대학 교양교육의 지식융합 가능성 탐색: K대학의 사례를 기반으로" 교육연구소 25 (25): 155-177, 2019

      4 방담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융합 교육 평가틀의 제안" 교과교육연구소 22 (22): 386-399, 2018

      5 손연아, "통합성의 관점에서 본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교사연구회 적용 수업모델 분석" 교육연구소 24 (24): 75-95, 2018

      6 채보미, "초등 사회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교육연구학회 7 (7): 111-132, 2015

      7 강경리,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인문학·과학 융복합 교양 강좌 개발과 적용" 교육연구소 22 (22): 253-286, 2016

      8 홍효정,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63-192, 2015

      9 박일우, "인문학·예술 융복합 신규 교과목 <그림읽기로 세상보기>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41, 2013

      10 조미숙, "인문학 융복합 교과 개발-‘고전의 이해와 적용’" 동남어문학회 1 (1): 449-477, 2014

      1 권충훈,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선정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운영성과와 발전계획 내용 탐색"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73-90, 2017

      2 이선경, "학교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융복합교육의 통합 전략 탐색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31 (31): 83-99, 2018

      3 이예다나,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대학 교양교육의 지식융합 가능성 탐색: K대학의 사례를 기반으로" 교육연구소 25 (25): 155-177, 2019

      4 방담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융합 교육 평가틀의 제안" 교과교육연구소 22 (22): 386-399, 2018

      5 손연아, "통합성의 관점에서 본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교사연구회 적용 수업모델 분석" 교육연구소 24 (24): 75-95, 2018

      6 채보미, "초등 사회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교육연구학회 7 (7): 111-132, 2015

      7 강경리,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인문학·과학 융복합 교양 강좌 개발과 적용" 교육연구소 22 (22): 253-286, 2016

      8 홍효정,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63-192, 2015

      9 박일우, "인문학·예술 융복합 신규 교과목 <그림읽기로 세상보기>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41, 2013

      10 조미숙, "인문학 융복합 교과 개발-‘고전의 이해와 적용’" 동남어문학회 1 (1): 449-477, 2014

      11 김혜진, "음악과 인문학 코티칭(Co-teaching) 융합 수업 방안 모색"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111-134, 2018

      12 김혜영,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38, 2013

      13 방담이, "융합 태도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75-392, 2019

      14 이희용, "융복합 교양교과목 <글로벌 시민정신(Global Citizenship)>개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97-232, 2013

      15 정옥희, "융․복합 접근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미술 감상 콘텐츠 적용 사례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39-62, 2016

      16 서기자, "융 복합 교양교과목 개발과 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71-195, 2013

      17 지은림, "세계시민의식 구성요인 탐색 및 관련변인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15-134, 2007

      18 김영순,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연계 방식에 관한 탐색적 논의"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521-546, 2016

      19 강현선, "사회문제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델의 수업적용 및 효과분석:그룹탐구모형과 배려모형 적용 수업모델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79-95, 2016

      20 정경철, "명화 변형활동을 통한 대학 교양 미술교육" 한국예술교육학회 12 (12): 87-104, 2014

      21 이영희,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온라인 수업 적용 분석–단국대학교 이공계 학생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22 (22): 147-173, 2016

      22 백수희, "교양예술프로그램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의 효과와 방안 모색"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0) : 179-188, 2014

      23 유리, "과학소설에 기반한 융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 ‘눈먼 시계공’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73 : 159-193, 2017

      24 신세인, "고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123-134, 2014

      25 Mathews, L. G., "Using systems thinking to improve interdisciplinary learning outcomes" 26 : 73-104, 2008

      26 Wals, A.,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ESD, 2005-2014): Review of contexts and structure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SCO 2009

      27 United Nations,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ited Nations 2015

      28 Lee, S., "The national implementation strategy for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esidential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2005

      29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The future we want (A/RES/66/288)" United Nations 2012

      30 Senge, P. M.,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Doubleday 1990

      31 Sachs, J. D., "The age of sustainable development" Book21 2015

      32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Teachers for 21st century global citizenship"

      33 Sterman, J. D., "System dynamics modeling : Tools for learning in a complex world" 43 (43): 8-25, 2001

      34 이종학, "STEAM 기반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융합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 20 (20): 345-368, 2017

      35 김선영,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융합에 대한 태도, 문제해결능력 및 교수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 44 (44): 100-113, 2016

      36 Repko, A. F., "Interdisciplinary research:Process and theory" SAGE 2016

      37 Morais, D., "Initi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scale" 15 (15): 445-466, 2011

      38 Klein, J. T., "Handbook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 comprehensive guide to purposes, structures, practices, and change" Jossey-Bass 393-415, 1996

      39 Newell, W. H., "Handbook of decision making" Marcel-Dekker 245-264, 2007

      40 Lee, H., "A study on the advancement of the basic liberal education and its role in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ime" 4 : 67-82, 2011

      41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017 Inventory for STEAM attitude and satisfaction" KOFAC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