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체육수업 정서인식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2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rooms (FERIPEC) Test and establish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wo major steps were taken to achieve this purpose, test developmentand test confirm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test development stage, conceptualization of FERIPEC was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is lead to the inclusion of measures of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FER) & Situational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SER) in the test. 31 South Korean student actors from the college of theater and dance of Soonchonhyung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FERIPEC photographs (happy, sad, fear anger &disgust) with 2 variance of each; high & low intensity. SER utilized drawn physical education specific contextual situations based on a study of ‘individual emotion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middle school’ (Kim,Yi, & Lee, 2009). Content validit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use of an expert panel (n = 10) prior to field testing in selection of FERIPEC test items. As a result 47 FERIPEC (FER=24, SER=23) was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In establish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505(Females 152, Males 353) South Korean middle school participant responded to the Kore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rooms (FERIPEC) Test and establish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wo major steps were taken to achieve this purpose, test developmentand test confirma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rooms (FERIPEC) Test and establish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wo major steps were taken to achieve this purpose, test developmentand test confirm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test development stage, conceptualization of FERIPEC was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is lead to the inclusion of measures of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FER) & Situational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SER) in the test. 31 South Korean student actors from the college of theater and dance of Soonchonhyung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FERIPEC photographs (happy, sad, fear anger &disgust) with 2 variance of each; high & low intensity. SER utilized drawn physical education specific contextual situations based on a study of ‘individual emotion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middle school’ (Kim,Yi, & Lee, 2009). Content validit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use of an expert panel (n = 10) prior to field testing in selection of FERIPEC test items. As a result 47 FERIPEC (FER=24, SER=23) was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In establish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505(Females 152, Males 353) South Korean middle school participant responded to the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검사도구 개발과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의 2단계 순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검사도구 개발단계에서,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의 개념화가 선행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표정정서 인식력(Facial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FER)) 과 상황정서 인식력(Situational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SER))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다. 표정정서 인식력 문항 개발을 위해 연극 연기 전공의 대학생이 행복, 슬픔, 분노, 두려움, 혐오에 대해서 각각 고강도와 저강도의 얼굴표정(n=13을 촬영하였다. 상황정서 인식력을 위해 체욱수업에서 여학생의 정서경험 심층분석(김동환, 이주욱, 이병준, 2009)의 정서 유발 상황을 기초로 그림 시나리오(n=192)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들의 내용타당도를 위해 현직 교사, 교수, 대학원생을 포함한 10명의 전문가 회의를 통해 내용타당도록 확립하였다. 그 결과 47문항의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 예비척도가 개발되었다. 이 척도를 505명의 중학생들의 응답결과를 Baker(1985, 2001)의 문항분석 이론에 기초하여 난이도와 판별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문항이 판별도 .34이하로 나타나 이 문항을 제거한 37문항의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 척도가 완성되었다. 아울러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에 성별, 정서지능, 운동시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여 타당도 검증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고,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상위 25%)이 낮은 집단(하위 25%)에 비해 높고, 운동시간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시간 이상/주 > 30-1시간/주 > 30분 이하/주).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 척도가 타당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검사도구 개발과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의 2단계 순서로 연구가 진행되었...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검사도구 개발과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의 2단계 순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검사도구 개발단계에서,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의 개념화가 선행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표정정서 인식력(Facial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FER)) 과 상황정서 인식력(Situational Emotional Recognition Ability (SER))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다. 표정정서 인식력 문항 개발을 위해 연극 연기 전공의 대학생이 행복, 슬픔, 분노, 두려움, 혐오에 대해서 각각 고강도와 저강도의 얼굴표정(n=13을 촬영하였다. 상황정서 인식력을 위해 체욱수업에서 여학생의 정서경험 심층분석(김동환, 이주욱, 이병준, 2009)의 정서 유발 상황을 기초로 그림 시나리오(n=192)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들의 내용타당도를 위해 현직 교사, 교수, 대학원생을 포함한 10명의 전문가 회의를 통해 내용타당도록 확립하였다. 그 결과 47문항의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 예비척도가 개발되었다. 이 척도를 505명의 중학생들의 응답결과를 Baker(1985, 2001)의 문항분석 이론에 기초하여 난이도와 판별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문항이 판별도 .34이하로 나타나 이 문항을 제거한 37문항의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 척도가 완성되었다. 아울러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에 성별, 정서지능, 운동시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여 타당도 검증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고, 정서지능이 높은 집단(상위 25%)이 낮은 집단(하위 25%)에 비해 높고, 운동시간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시간 이상/주 > 30-1시간/주 > 30분 이하/주).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체육수업 표정정서 인식력 척도가 타당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