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경비원 교육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81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경비업무는 청원경찰법상 청원경찰과 경비업법상 특수경비원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1960년대 국가보안상 경비업무의 중요성 때문에 청원경찰제도를 도입하였지만 제정 당시만 해도 우리나라는 용역경비가 활성화 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일본의 청원순사제도를 보고 급조한 것이었다. 그러나 1976년 경비업법이 제정되고 2001년 4월 경비업법 개정으로 특수경비업무를 도입함에 따라 특수경비원은 청원경찰의 활동영역까지를 포함하여 보다 광범위한 경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2001년 미국에서 일어난 911테러 이후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특수경비원들의 기대와 관심은 증폭되기에 이르렀다.오늘날 특수경비원의 교육훈련제도를 살펴보면 특수경비원의 특수성을 살리지 못한 교과목의 구성, 시간의 비효과적인 배분, 전문화되지 못한 교재 등 이러한 교육훈련제도의 현실로 수요자의 사회적 요구에 응답하기란 무리가 있어 보인다. 특수경비원은 일반경비원과 달리 국가중요시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근무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국가중요시설을 방호하기 위한 전문화된 교육훈련의 재정비는 특수경비원뿐 아니라 질적으로 향상된 경비업무서비스 제공케 함으로서 민간경비 전반의 긍정적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경비업무는 청원경찰법상 청원경찰과 경비업법상 특수경비원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1960년대 국가보안상 경비업무의 중요성 때문에 청원경찰제도...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경비업무는 청원경찰법상 청원경찰과 경비업법상 특수경비원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1960년대 국가보안상 경비업무의 중요성 때문에 청원경찰제도를 도입하였지만 제정 당시만 해도 우리나라는 용역경비가 활성화 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일본의 청원순사제도를 보고 급조한 것이었다. 그러나 1976년 경비업법이 제정되고 2001년 4월 경비업법 개정으로 특수경비업무를 도입함에 따라 특수경비원은 청원경찰의 활동영역까지를 포함하여 보다 광범위한 경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2001년 미국에서 일어난 911테러 이후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특수경비원들의 기대와 관심은 증폭되기에 이르렀다.오늘날 특수경비원의 교육훈련제도를 살펴보면 특수경비원의 특수성을 살리지 못한 교과목의 구성, 시간의 비효과적인 배분, 전문화되지 못한 교재 등 이러한 교육훈련제도의 현실로 수요자의 사회적 요구에 응답하기란 무리가 있어 보인다. 특수경비원은 일반경비원과 달리 국가중요시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근무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국가중요시설을 방호하기 위한 전문화된 교육훈련의 재정비는 특수경비원뿐 아니라 질적으로 향상된 경비업무서비스 제공케 함으로서 민간경비 전반의 긍정적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 security operations in nation's key foundations in Korea are performed by private police and special security guard in accordance with the Private Police Act and Security Business Act, respectively. In 1960s,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private police system in terms of the national security issues, but it was just a hurriedly-set plan on the basis of Japanese Sunsa system as by that time there was no such system revitalized. However, the special security guards could offer wider range of security services including those of the private police with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Security Business Act 1976 and April 2001, respectively. Moreover, the expectations and interests rose over the special security guards in nation's key foundations after 9.11Terror Event in the U. S. 2001. However, a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education/training system for the special security guard, we found that such education/training which is not activating the specialty of special security guard will not respond to the social demands. Special security guard owns its own characteristics other than those of general security guard as they are in service in nation's key foundations. Thus, the effcient management and training for the special security guard is the most important matter for the safety and security of nation's key foundations. Therefore, the well-educated special security guard through the reorganized and specialized education/training for the protection of nation's key foundations is expected to offer qualitatively improved security services.
      번역하기

      Currently, the security operations in nation's key foundations in Korea are performed by private police and special security guard in accordance with the Private Police Act and Security Business Act, respectively. In 1960s, The Korean Government intro...

      Currently, the security operations in nation's key foundations in Korea are performed by private police and special security guard in accordance with the Private Police Act and Security Business Act, respectively. In 1960s,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private police system in terms of the national security issues, but it was just a hurriedly-set plan on the basis of Japanese Sunsa system as by that time there was no such system revitalized. However, the special security guards could offer wider range of security services including those of the private police with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Security Business Act 1976 and April 2001, respectively. Moreover, the expectations and interests rose over the special security guards in nation's key foundations after 9.11Terror Event in the U. S. 2001. However, a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education/training system for the special security guard, we found that such education/training which is not activating the specialty of special security guard will not respond to the social demands. Special security guard owns its own characteristics other than those of general security guard as they are in service in nation's key foundations. Thus, the effcient management and training for the special security guard is the most important matter for the safety and security of nation's key foundations. Therefore, the well-educated special security guard through the reorganized and specialized education/training for the protection of nation's key foundations is expected to offer qualitatively improved security serv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약>
      • I. 서 론
      • II. 특수경비원의 이론적 기초
      • 1. 특수경비원의 개념 및 특징
      • III. 특수경비원의 현황 및 교육실태
      • <요 약>
      • I. 서 론
      • II. 특수경비원의 이론적 기초
      • 1. 특수경비원의 개념 및 특징
      • III. 특수경비원의 현황 및 교육실태
      • 1. 특수경비원의 일반적 현황
      • 2. 특수경비원의 교육실태
      • IV. 특수경비원 교육훈련의 문제점
      • 1. 특수성없는 특수경비원 교육훈련 시간의 형식적 확대
      • 2. 관련성이 미흡하거나 중복된 교과목
      • 3. 일률적인 총기 교육
      • 4. 교육기관의 난립
      • V. 결 론
      • 참 고 문 헌
      • ABST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웅, "한국의 특수경비제도와 운영 실태" 19 (19): 151-162, 2008

      2 공배완, "한국 경비업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2007

      3 이상원, "특수경비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13) : 305-326, 2007

      4 박병식, "국가중요시절 특수경비원 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6) : 143-161, 2000

      1 김종웅, "한국의 특수경비제도와 운영 실태" 19 (19): 151-162, 2008

      2 공배완, "한국 경비업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2007

      3 이상원, "특수경비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13) : 305-326, 2007

      4 박병식, "국가중요시절 특수경비원 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6) : 143-161,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시큐리티연구
      외국어명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 Korean Security Journal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호경비연구 -> 한국경호경비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Security And Bodyguard -> Korean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1 1.08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