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경지역 대동누층군에 대한 고자기 연구(Ⅰ)  :  특성잔류자기의 추출 Characteristic remanent magnetizations(ChRMs) = Palaeomagnetism of the Taedong Supergroup in the Mungyong Area(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288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경지역 대동누층군의 6개지층 12개노두로부터 총 131개의 정향시료를 체취하고 일부 시료들에 대해서는 단계적 교류세척실험을 실시하는 한편 거의 전부의 시료들에 대해서 단계적 열세척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5개의 시료들로부터 단일 특성잔류자기성분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24개의 시료들로부터 대원형 잔류자기의 변화궤적이 구하여졌다. 그로부터 얻어진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문경지역의 대동누층군은 복각값에 의거 상·중·하부의 세 층군으로 구분되었다. 각 층군들의 평균 특성잔류자기 방향들이 습곡검사나 역자화 검사를 통과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 평균 잔류자기 방향들은 일차잔류자기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세 층군들의 자북위치를 중국지괴들의 것과 비교할 때 문경지역은 대동누층군의 퇴적시기동안 북중국지괴(NCB)에 속하였거나 최소한 이에 근접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며 대동누층군의 연령은 하부, 중부, 상부가 각각 트라이아스기 초기, 중기, 후기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과거 산출화석에 입각하여 추정하였던 후기 트라이아스기 - 중기 쥬라기의 연령보다도 오래되고 세분된 것이다. 특성잔류자기의 복각값에 의하면 문경지역은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적도부근의 저위도에 위치하여 있다가 급속히 북상하여 후기 트라이아스기에는 북위 약 30℃의 중위도지역에 도달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대동누층군에서 산출되는 Dictyophllum-Clathropteris 식물화석군이 지시하는 열대 내지 아열대의 고기후를 잘 설명해준다.
      연구지역의 범위내에서 볼 때, 쓰러스트작용으로 지괴회전이 일어났다거나 화강암의 관입으로 잔류자기의 방향변화가 초래되었다는 증거가 없다.
      번역하기

      문경지역 대동누층군의 6개지층 12개노두로부터 총 131개의 정향시료를 체취하고 일부 시료들에 대해서는 단계적 교류세척실험을 실시하는 한편 거의 전부의 시료들에 대해서 단계적 열세척...

      문경지역 대동누층군의 6개지층 12개노두로부터 총 131개의 정향시료를 체취하고 일부 시료들에 대해서는 단계적 교류세척실험을 실시하는 한편 거의 전부의 시료들에 대해서 단계적 열세척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5개의 시료들로부터 단일 특성잔류자기성분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24개의 시료들로부터 대원형 잔류자기의 변화궤적이 구하여졌다. 그로부터 얻어진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문경지역의 대동누층군은 복각값에 의거 상·중·하부의 세 층군으로 구분되었다. 각 층군들의 평균 특성잔류자기 방향들이 습곡검사나 역자화 검사를 통과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 평균 잔류자기 방향들은 일차잔류자기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세 층군들의 자북위치를 중국지괴들의 것과 비교할 때 문경지역은 대동누층군의 퇴적시기동안 북중국지괴(NCB)에 속하였거나 최소한 이에 근접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며 대동누층군의 연령은 하부, 중부, 상부가 각각 트라이아스기 초기, 중기, 후기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과거 산출화석에 입각하여 추정하였던 후기 트라이아스기 - 중기 쥬라기의 연령보다도 오래되고 세분된 것이다. 특성잔류자기의 복각값에 의하면 문경지역은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적도부근의 저위도에 위치하여 있다가 급속히 북상하여 후기 트라이아스기에는 북위 약 30℃의 중위도지역에 도달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대동누층군에서 산출되는 Dictyophllum-Clathropteris 식물화석군이 지시하는 열대 내지 아열대의 고기후를 잘 설명해준다.
      연구지역의 범위내에서 볼 때, 쓰러스트작용으로 지괴회전이 일어났다거나 화강암의 관입으로 잔류자기의 방향변화가 초래되었다는 증거가 없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laeomagnetic investigaions were conducted on the Taedong Supergroup sedimentary rocks distrbuted in Mungyong area. southeastern boundary region of the Okchon orogenic belt o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 peninsula. A total of 131 independently orient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2 sites of 6 formations. Most samles were fine-grained sandstones. In spite of very weak magnetizations. characteristic remanent magnetizations which passed fold and/or reversals tests could be isolated from 49 specimens through detailed stepwise thermal demagnetizations. Palaeomagnetic poles calculated from the ChRMs were drawn from this study concerning the affinity of the Mungyong area with the Chinese Blocks and the age of the Taedong Supergroup :
      1) Munhyong area was either a part of the North China Block or lay at least very near to it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Taedong supergroup.
      2) Paleopole location of the Taedong Supergroup suggest a late Permian - late Triassic age. which is much older than a late Triassic - early Jurassic age estimated previously by fossil plants.
      3) Mungyong area was located in the low latitude near the Equator during late Permian -early
      번역하기

      Palaeomagnetic investigaions were conducted on the Taedong Supergroup sedimentary rocks distrbuted in Mungyong area. southeastern boundary region of the Okchon orogenic belt o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 peninsula. A total of 131 independently orien...

      Palaeomagnetic investigaions were conducted on the Taedong Supergroup sedimentary rocks distrbuted in Mungyong area. southeastern boundary region of the Okchon orogenic belt o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 peninsula. A total of 131 independently orient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2 sites of 6 formations. Most samles were fine-grained sandstones. In spite of very weak magnetizations. characteristic remanent magnetizations which passed fold and/or reversals tests could be isolated from 49 specimens through detailed stepwise thermal demagnetizations. Palaeomagnetic poles calculated from the ChRMs were drawn from this study concerning the affinity of the Mungyong area with the Chinese Blocks and the age of the Taedong Supergroup :
      1) Munhyong area was either a part of the North China Block or lay at least very near to it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Taedong supergroup.
      2) Paleopole location of the Taedong Supergroup suggest a late Permian - late Triassic age. which is much older than a late Triassic - early Jurassic age estimated previously by fossil plants.
      3) Mungyong area was located in the low latitude near the Equator during late Permian -earl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