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S를 유지 보수함은 KMS의 지식 저장소 (repository) 안에 지식(물)(knowledge pieces)을 업데이트하는 것과 주로 관련된다. 여러 해 동안에 걸쳐 조직에서 수집된 지식의 집합은 조직이 메모리로 소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1375
-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KMS를 유지 보수함은 KMS의 지식 저장소 (repository) 안에 지식(물)(knowledge pieces)을 업데이트하는 것과 주로 관련된다. 여러 해 동안에 걸쳐 조직에서 수집된 지식의 집합은 조직이 메모리로 소유...
KMS를 유지 보수함은 KMS의 지식 저장소 (repository) 안에 지식(물)(knowledge pieces)을 업데이트하는 것과 주로 관련된다. 여러 해 동안에 걸쳐 조직에서 수집된 지식의 집합은 조직이 메모리로 소유하는 것의 가치 있는 표현이다. 지식은 계속되는 혁신에 대한 투자에 의해 산출된 아이디어 생성과 증거의 경험적인 테스트들을 통한 아이디어 타당화 사이에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산출된다(Shin et al., 2001). KMS 안에 지식의 수집과 창출은 대개 후보가 되는 지식에 대한 엄격한 타당화와 입증화를 요구한다. 한번 설정된 지식에 대해 KMS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KMS 안에서 그것으로부터 조언을 따르는데 거의 어떤 의심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정된 지식이 "권위"의 영예를 가진다. 이것은 중요한 환경적 격변 때까지 조직의 현상유지를 지속하려는 효과를 가진다. 이 연구는 사용자들이 현재의 지식에 대한 타당성에 도전하기를 꺼리는지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를 보여주고 이런 행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델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구조화-해방의 모델을 구성하는 구조화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 연구는 KMS에서 지식 유지보수에 대한 제시된 이론의 일반적 응용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정보시스템(IS) 지식 체계에 새로운 공헌을 한다. 또한, KM이 많은 조직에 도입되고 있는 한국에서 지식을 유지보수 하는데 참조되는 요소들을 발견하는데 있다. 즉, 조직 관리자들을 위해 지식을 유지 보수하는 것과 관련되는 주요 요소들을 이해하는데 공헌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이전의 이론적 배경과 참고 문헌의 분석에 기초한 통계적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은 확보된 질문지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 중 AMO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구조화 이론에 주로 기초를 두고 있고 이론이 KMS의 분석에 어떻게 이용되는지를 검토했다. 통계적 모형을 구성하는 사전 연구들에 대해서는, 교차문화적 연구, 조직문화 및 KM 이론들의 선행 발견들과 관련된 분석을 진행했다.
온라인과 부분적으로 사전 테스트를 위한 오프라인 조사를 통해 KMS를 사용하는 경험이 있는 148개의 유효한 응답자를 확보했다. 또한 많은 설문지를 응답한 조직으로부터 1~2명의 종사자들을 인터뷰했다. 이 인터뷰는 전화나 대면 대화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인터뷰는 조직문화, 회사 특성, 기타 요소에 대한 유지보수에서의 KMS 이용자들의 생각과 의향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
유지보수를 위한 직접적인 행동 또는 소극적 행위가 한국의 조직 문화보다는 조직문화가 영향을 주는 조직의 KM 관련 문화와 지식의 권위 요소에 의해 좀 더 직접적 영향을 받는 점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조직 문화는 유지보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KM 관련 문화와 지식의 권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줌으로써 이를 통해 유지보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왈샴(2001)이 설명하듯이, 지식이 일단 KMS 안에 들어가면, 그것은 체계성(Systemness)을 얻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KMS 안에서 지식이 이야기 하는 것을 다소 맹목적으로 따르게 될 것이다. 그러나, 구조화 이론은 그 구조물을 부수는 가능성뿐만 아니라 차이가 있는 문화의 다양한 구조의 타당성을 동시에 인식한다. 통계적 분석에서, ‘무시 또는 회피’, ‘지식(물)의 권위 때문에 유지보수를 요청하지 않는 의향’ 및 ‘조직문화의 견지에서 적절치 못한 행동 때문에 유지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Korea entered into knowledge society beyond information on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 among new information systems is spreading out to organizations. KMS is actively introduced into organization and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
After Korea entered into knowledge society beyond information on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 among new information systems is spreading out to organizations. KMS is actively introduced into organization and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us, while knowledge pieces are accumulated in knowledge repository, they are shared, used, and transferred among members in organization. But, as time passes, more and mor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will require extensive maintenance work while KMS has originally different properties from maintenances of other software or system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hallenge of knowledge maintenance in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Knowledge pieces are the embodiment of structures in an organization and need to be modified due to environmental change over time. Since change of knowledge in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not made automatically; it requires users’ active participation called maintenance action. This study shows that users are not forthcoming in taking maintenance action on knowledge pieces that are already establishe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using empirical data. This phenomenon can be explained using structuration theory of which implications include the existence of chances that people recognize a novel phenomenon that might bring about permanent changes. Knowledge in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regarded as a structure that enforces the status quo of the organizational practices according to structuration theory as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re structures which act as non-human artifacts with inscribed rules in relations to human actors who are users in the actor-network framework. The users, i.e., human actors, are intimidated by the power of structures such as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nd reluctant to challenge validity of knowledge pieces that are already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However structuration theory simultaneously recognizes the validity of varied structures of different culture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breaking the mold. When KMS is implemented for an organization, it may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such as accepting new structure or updating new knowledge pieces.
This study provides a viable theoretical model to understand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knowledge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organizational managers,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of what factors are considered in maintaining knowledge pieces over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