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거지역의 보행안전 영향요인과 도시설계적 시사점 - 고령 보행자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8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자의 보행안전에 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문제의식 하에 양적·질적 혼합연구방법을 통해서 주거지역의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

      본 연구는 고령자의 보행안전에 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문제의식 하에 양적·질적 혼합연구방법을 통해서 주거지역의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서울의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교통환경, 보행환경, 근린환경 요소가 고령자 보행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종합적인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교차로 및 대중교통시설 밀도와 같은 교통환경, 보차혼용 비율과 같은 보행환경을 통제하더라도 고층주택지 비율, 평균 필지규모와 같은 근린환경 특성에 따라 고령자 보행안전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현장관찰 및 고령자 인터뷰에 따르면 저층 주거지역은 보행 공간의 연속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보행혼용 도로의 비중이 높으며, 주거공간과 근린시설의 연계성이 낮아 고령자의 보행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주거지역에서 고령자의 보행안전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주차장, 공원 등의 생활인프라 공급과 보행환경을 함께 개선하는 포괄적 주거개선 사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lack of discussion around older pedestrian safety in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carries ou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ith a mixed-method approach to providing implications for urban design. Taking a case of residential ar...

      With the lack of discussion around older pedestrian safety in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carries ou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ith a mixed-method approach to providing implications for urban design. Taking a case of residential areas in Seoul, this study comprehensively evaluates the impacts of traffic, pedestria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on older pedestrian accidents. Our research confirms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raffic and pedestrian environmental factors,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e. lot sizes and housing type)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lder pedestrians’ safety. According to field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older adults, the risk of pedestrian accidents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increases due to a relatively lack of continuity of pedestrian spaces, inadequate separation of pedestrian spaces and vehicle movement, as well as unintegrated arrangement with neighborhood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older pedestrians’ safety through a comprehensive planning strategy in residential areas, which not only provides living infrastructure (i.e. parking spaces and parks) but also enhances pedestrian environ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고찰
      • 3. 분석의 틀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고찰
      • 3. 분석의 틀
      • 4. 분석 결과 및 해석
      • 5.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계숙, "혼합적 분석방법으로 살펴본 헬리콥터부모역할의 속성"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5-15, 2016

      2 오은주, "혼합연구방법론 : 정성적, 정량적 방법을 교차시키기" 132-141, 2008

      3 임유진, "폭원 9m 미만 도로 내 교통사고 영향 요인 분석" 한국ITS학회 13 (13): 96-106, 2014

      4 이경환, "커뮤니티의 물리적 환경이 지역 주민의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4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5-118, 2007

      5 박경훈, "초등학교 주변 물리적 환경이 보행안전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50-160, 2012

      6 박소현, "주거지 물리적 보행환경의 특성차이에 관한 연구 - 가회, 성산, 시흥, 상계, 개포, 행당 지역을 사례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215-226, 2008

      7 이세영, "어린이⋅노인 보행자 교통안전을 위한 근린환경요인"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5-15, 2014

      8 민병호, "아파트 단지 가로의 주민이용행위 분석" 대한건축학회 18 (18): 132-142, 2002

      9 박진희, "아동 바깥활동 행태분석에 기반한 재건축 아파트 단지 보행전용 외부공간 해석" 대한건축학회 32 (32): 109-120, 2016

      10 이신해, "서울시 생활도로 보행공간 확보를 위한 자치구 역할 강화방안" 서울연구원 1-83, 2018

      1 유계숙, "혼합적 분석방법으로 살펴본 헬리콥터부모역할의 속성"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5-15, 2016

      2 오은주, "혼합연구방법론 : 정성적, 정량적 방법을 교차시키기" 132-141, 2008

      3 임유진, "폭원 9m 미만 도로 내 교통사고 영향 요인 분석" 한국ITS학회 13 (13): 96-106, 2014

      4 이경환, "커뮤니티의 물리적 환경이 지역 주민의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4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5-118, 2007

      5 박경훈, "초등학교 주변 물리적 환경이 보행안전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50-160, 2012

      6 박소현, "주거지 물리적 보행환경의 특성차이에 관한 연구 - 가회, 성산, 시흥, 상계, 개포, 행당 지역을 사례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215-226, 2008

      7 이세영, "어린이⋅노인 보행자 교통안전을 위한 근린환경요인" 한국도시설계학회 15 (15): 5-15, 2014

      8 민병호, "아파트 단지 가로의 주민이용행위 분석" 대한건축학회 18 (18): 132-142, 2002

      9 박진희, "아동 바깥활동 행태분석에 기반한 재건축 아파트 단지 보행전용 외부공간 해석" 대한건축학회 32 (32): 109-120, 2016

      10 이신해, "서울시 생활도로 보행공간 확보를 위한 자치구 역할 강화방안" 서울연구원 1-83, 2018

      11 서지민, "서울시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 2014 TAAS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197-216, 2016

      12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보차혼용도로 보행자 사고 위험성과 예방대책"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13 조한선, "도시지역 생활도로의 개선 공동연구" 한국교통연구원 1-181, 2019

      14 양동양, "도시주거단지계획" 기문당 1993

      15 박수훈, "도시조직이 생활도로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생활도로 내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구간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5 (55): 5-14, 2020

      16 최성택, "도시 시설 특성을 반영한 고령 보행자의 사고 심각도 모형 개발" 한국안전학회 30 (30): 94-103, 2015

      17 임희지, "다세대ㆍ다가구주택지 재생을 위한 슈퍼블록단위 통합ㆍ연계형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방안" 1-27, 2020

      18 지우석,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원인 분석 및 대책" 한국노년학회 30 (30): 843-853, 2010

      19 박승훈, "근린환경이 보행자-차량 충돌사고에 미치는 영향 - 북미 워싱턴 주 시애틀 도시를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143-157, 2014

      20 박소현, "근린주구 보행활성화를 위한 보행친화적 환경요소의 계량화: 주거지역의 보행친화도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국토연구원 2006

      21 이호준, "근린의 도로 네트워크 구조와 보행자 교통사고의 연관성분석: 서울시 TAAS (2012~2014)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141-161, 2017

      22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 국토통계지도 활용가이드"

      23 임연수, "국내 아파트단지 공용공간계획의 질(質)적 변화특성" 대한건축학회 27 (27): 253-260, 2011

      24 박우진, "격자기반 분석을 통한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부동산 가격지수 간의 공간적 상관성 분석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 23 (23): 23-29, 2015

      25 김문수, "격자 기반의 통계정보 표현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대한공간정보학회 23 (23): 31-40, 2015

      26 Rigolon, A, "Who has more walkable routes to parks? an environmental justice study of safe routes to parks in neighborhoods of Los Angeles" 40 (40): 576-591, 2018

      27 Ukkusuri, S, "The role of built environment on pedestrian crash frequency" 50 : 1141-1151, 2012

      28 Maroko, AR, "The complexities of measuring access to parks and physical activity sites in New York city :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8 (8): 8-34, 2009

      29 Ewing, R, "The built environment and traffic safety: a review of empirical evidence" 23 (23): 347-367, 2009

      30 김종갑, "OECD 회원국 교통사고 비교 : 2019년판(2017년 통계)"

      31 Cao, X, "Neighborhood design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elderly: an empirical analysis in Northern California" 4 (4): 347-371, 2010

      32 Thorsnes, P, "Internalizing neighborhood externalities : The effect of subdivision size and zoning on residential lot prices" 48 : 397-418, 2000

      33 Burton, E, "Inclusive urban design: streets for life" Routledge 2006

      34 정연준, "GPS데이터를 활용한 신도시 노인들의 적정 근린생활권 규모 추정 - 성남시 분당구 야탑3동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1 (21): 85-101, 2020

      35 Osama, A, "Evaluating the impact of connectivity, continuity and topography of sidewalk network on pedestrian safety" 107 : 117-125, 2017

      36 Chen, P, "Effects of the built environment on automobile-involved pedestrian crash frequency and risk" 3 (3): 448-456, 2016

      37 Dumbaugh, E, "Designing for the safety of pedestrians, cyclists, and motorists in urban environments" 77 (77): 69-88, 2010

      38 Woo, A, "Beyond affordable shelters: subsidized housing and surrounding environment for pedestrian safety" 83 : 37-45, 2017

      39 O’Sullivan, F, "Barcelona will supersize its car-free ‘superblocks’"

      40 Hilderand, DA,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fruit and vegetable availability in low-income African-American families with children enrolled in an urban head start program" 110 : 710-718,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