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Polanyi의 인식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6학년 『생태계와 환경』단원을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학생들에게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이 인간중심 세계관에서 생태중심 세계관으로 변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34270
2017
-
53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2(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Polanyi의 인식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6학년 『생태계와 환경』단원을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학생들에게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이 인간중심 세계관에서 생태중심 세계관으로 변화...
본 연구는 Polanyi의 인식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6학년 『생태계와 환경』단원을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학생들에게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이 인간중심 세계관에서 생태중심 세계관으로 변화되는지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업 전에 실시한 사전 설문과 예비적으로 투입한 수업을 맡은 담임 교사와 면담, 선행 연구 고찰 등을 통해 학생들이 인간중심주의 사고
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생물의 존재를 목적론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간을 생태계를 이루는 하나의 생물로 바라보는 생태중심주의 세계관을 초점식으로 삼아 교육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내러티브 방식을 도입한 교수자료를 개발하였다. 내러티브 자료는 세계관에 대해 직접 언급하기 보다는 학생에게 새로운 사고를 요하는 질문을 제시하고 이를 스스로 생각해보도록 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맥락적 상황 판단과정
에서 초점식을 기반으로 응답한 실험반 학생 수(11명, 42%)는 통제반(1명, 4%)에 비하여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한편 일부 학생들은 변화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지 못하는 상황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암묵적 지식이 학생 안에 완전히 인격화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보조식을 인지할 수 있도록 메타인지 교육의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고, 더불어 다
양한 맥락적 상황 제시를 통해 학생들이 지식을 인격화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Polanyi s epistemology,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sixth grade ecosystem and environment unit of elementary school, and taught the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changing from a human-centered world-view to an ecologic...
Based on Polanyi s epistemology,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sixth grade ecosystem and environment unit of elementary school, and taught the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changing from a human-centered world-view to an ecological-centered world-view. Through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conducted before class and interview with the teacher who took the preliminary class, we confirmed that the students were thinking human-centered thoughts. Therefore, we focused on the ecological-centered world-view as a focal awaren, and analyzed
teaching contents in detail and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using narrative methods.
The narrative material was not a direct mention of the world-view, but rather a form of asking the students new thinking questions and allowing them to think for themselves. As a result, the number of students(11, 42%)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ponded based on the focus type in the contextual situation judgment process
showed a higher response rate than the control group (1, 4%). On the other hand, some students have been observed to be unable to express their changed thoughts, which may be due to the impossibility of tacit knowledge, or because knowledge is not completely personal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thod of
meta-cognitive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recognize the subculture in the theoretical orientation, and it is possible to help students to personalize the knowledge through presenting various contextual situations in the practical orienta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method.
SW교육 선도학교 사례 분석을 통한 SW교육 중심 초등 융합인재교육 방안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중등교사들의 융합 및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성을 주제로 한 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유용성, 현장 적용성에 관한 고찰
돌턴의 사고와 입자운동을 도입한 수업이 대기의 입자 분포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생각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