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상황과 동일하게 조영제 주입이 가능한 microvessel phantom을 이용하여 혈관조영장비의 투시 및 DSA 혈관해상도 평가가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15839
2019
Korean
학술저널
99-110(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상황과 동일하게 조영제 주입이 가능한 microvessel phantom을 이용하여 혈관조영장비의 투시 및 DSA 혈관해상도 평가가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상황과 동일하게 조영제 주입이 가능한 microvessel phantom을 이용하여 혈관조영장비의 투시 및 DSA 혈관해상도 평가가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혈관해상도평가는 microvessel phantom(Embovision, 2~0.12mm)을 사용하였고 혈관조영장비는 Philips사의 Allura Xper FD 20/20 model AlluraClarity 및 Azurion 7M20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시는 선량(standard 및 low), 조영제 농도(300mg% 및 150mg%), 확대율 (42x42cm, 22x22cm, 15x15cm), 및 PMMA 두께(0, 10, 20, 25cm)에 따른 혈관해상력을 DSA는 조영제 농도, 확대율, 디지털 줌(no: x2) 및 PMMA 두께에 따른 혈관해상력을 평가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투시 및 DSA에서 최고 혈관해상도와 그 조건을 평가하였다.
결과 : 조건에 따라 투시 혈관해상도는 0.12-1.00 mm, DSA 혈관해상도는 0.12-0.25 mm의 범위를 보였다. 투시 혈관해상도는 PMMA 두께(25: 20: 10: None, 0.80±0.16: 0.55±0.17: 0.30±0.09: 0.18±0.05)와 조영제 농도(150mg%: 300mg%, 0.55±0.29: 0.37±0.22)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고, 확대(42: 22: 15, 0.43±0.24: 0.48±0.29: 0.47±0.28)나 선량(low: standard, 0.48±0.28: 0.44±0.26)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DSA 혈관해상도도 PMMA 두께(25: 20: 10: None, 0.20±0.05: 0.16±0.04: 0.15±0.04: 0.13±0.02)에 따른 차이가 크고, 조영제 농도(150mg%: 300mg%, 0.18±0.05: 0.14±0.03)나 디지털 줌(no: x2, 0.17±0.05: 0.15±0.04) 및 확대(42: 22: 15, 0.18±0.06: 0.15±0.04: 0.14±0.03)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결론 : 2~0.12mm 범위의 미세도관으로 구성된 miicrovessel phantom(Embovision)으로 혈관조영장비의 핵심 성능인 투시 및 DSA 혈관해상도 평가가 가능하다.
흉부팬텀을 이용한 Dyna CT의 Measure Field 변화에 따른 선량 및 영상평가에 대한 고찰
영상 확대율에 따른 시술자 손과 환자의 선량 변화에 대한 연구
간동맥화학색전술(TACE) 시 저선량 디지털감산조영(DSA)과 구리(Cu) 필터 적용에 따른 방사선 피폭선량 감소에 관한 연구
대퇴동맥 경유 뇌혈관 조영술에서 3차원 회전 컴퓨터 단층 영상의 조사야 조절을 통한 선량감소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