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압축적 경제성장을 거치면서 경험, 사고방식, 가치관, 행동 등 세대 간의 차이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세대차이는 권력 불평등과 이해갈등, 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11633
2019
-
338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3-85(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압축적 경제성장을 거치면서 경험, 사고방식, 가치관, 행동 등 세대 간의 차이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세대차이는 권력 불평등과 이해갈등, 세...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압축적 경제성장을 거치면서 경험, 사고방식, 가치관, 행동 등 세대 간의 차이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세대차이는 권력 불평등과 이해갈등, 세대간 편견과 접촉의 제한 등과 맞물리면서 세대갈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세대 갈등은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사회발전을 가로막는 중요한 사회문제로서, 세대갈등의 원인은 사회적 정체성 이론, 사회적 접촉 가설, 현실적 집단갈등 이론 등 사회심리학적 이론들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세대갈등 완화 및 세대양극화 해소, 사회 공동체성 회복에 도움을 주는 세대통합은 고령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함은 물론이고, 지속가능한 고령사회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년교육학적 관점에서 세대갈등을 해결하고 세대통합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세대통합 규범의 내재화, 세대통합 문화의 조성, 세대통합을 위한 제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ur society, the generation gap and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re increasing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compressed economic growth. The generation gaps are being combined with power inequality, conflict of interests, int...
In our society, the generation gap and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are increasing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compressed economic growth. The generation gaps are being combined with power inequality, conflict of interests, intergenerational prejudices, and limited contacts between generations, which are expanding into intergenerational conflicts. The intergenerational conflict i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that undermines social integration and prevents social development, and the cause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can be explained by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such as social identity theory, social contact hypothesis, and realistic group conflict theory. Th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 eas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nd resolving generational polarization,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estoration of a social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internalization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norms, the creation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as a way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gerontolog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홍, "한국의 세대문제 : 차이와 갈등을 넘어서" 나남 2005
2 조성남, "한국의 세대관련 연구에 나타난 세대개념의 구분과 세대갈등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일 고찰" 9 : 39-68, 2002
3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4 대한민국정부,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16-2020" 2016
5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법률 제12499호"
6 홍영란,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 연구(Ⅰ):실태진단 및 정책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3
7 홍영란,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의 역할: 해외 우수사례 분석 및 시사점" 1-51, 2014
8 박재홍, "세대차이와 갈등 : 이론과 현실" 경상대학교출판부 2017
9 박재흥, "세대연구의 이론적ㆍ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회 24 (24): 47-78, 2001
10 전상진, "세대사회학의 가능성과 한계 - 세대개념의 분석적 구분 -" 한국인구학회 25 (25): 193-230, 2002
1 박재홍, "한국의 세대문제 : 차이와 갈등을 넘어서" 나남 2005
2 조성남, "한국의 세대관련 연구에 나타난 세대개념의 구분과 세대갈등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일 고찰" 9 : 39-68, 2002
3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4 대한민국정부,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16-2020" 2016
5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법률 제12499호"
6 홍영란,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정보체제 개선 전략 연구(Ⅰ):실태진단 및 정책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3
7 홍영란, "세대통합을 위한 교육의 역할: 해외 우수사례 분석 및 시사점" 1-51, 2014
8 박재홍, "세대차이와 갈등 : 이론과 현실" 경상대학교출판부 2017
9 박재흥, "세대연구의 이론적ㆍ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회 24 (24): 47-78, 2001
10 전상진, "세대사회학의 가능성과 한계 - 세대개념의 분석적 구분 -" 한국인구학회 25 (25): 193-230, 2002
11 전상진, "세대게임" 문학과지성사 2018
12 함인희, "세대갈등을 넘어 세대공존을 향해" (44) : 188-209, 2000
13 박경숙, "세대간 소통 및 화합방안 마련을 위한 조사연구" 사회통합위원회 2012
14 김희삼, "세대간 갈등의 분석과 상생 방안의 모색" 한국개발연구원 2015
15 Mannheim, K., "세대 문제" 책세상 2013
16 전상진,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세대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학회 38 (38): 31-52, 2004
17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회 37 (37): 1-23, 2003
18 이창호, "세대 간 갈등의 원인과 해결방안" 133-140, 2002
19 "세계가치관조사"
20 조명래, "사회통합의 방향과 과제"
21 노대명, "사회통합을 위한 과제 및 추진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22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 실태조사" 2018
23 김종남, "베이비붐 세대 부모의 부양기대와 에코붐 세대 자녀의 부양의식" 3 (3): 81-96, 2017
24 "법제처"
25 이호영, "디지털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비교연구" 미래창조과학부 2013
26 "두산백과"
27 한정란,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20 (20): 115-127, 2000
28 정태연, "대학생 자녀와 그 부모가 평가한 세대간 차이점과 유사점" 7 (7): 1-19, 2001
29 원영희, "노인인권종합보고서 작성을 위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7
30 원영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중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2 (22): 131-146, 2002
31 한정란, "노인교육론" 학지사 2015
32 한정란, "노인교육과 세대통합: 세대공동체 교육" 한국성인교육학회 5 (5): 91-109, 2002
33 구자숙, "기업조직에서의 세대격차 : 세대간 상호지각을 중심으로" 14 (14): 1-19, 2000
34 한정란, "교육노년학 : 노인을 위한, 노인에 관한, 노인에 의한 교육" 학지사 2001
35 Amir, Y., "Towards the elimination of racism" Pergamon 245-308, 1976
36 Bengston, V., "Time, aging and the continuity of social structure : Themes and issues in generational analysis" 30 : 1-30, 1974
37 Tajfel, H.,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Brooks/Cole 33-47, 1979
38 Turner, J. C.,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identity concept for social psychology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sm, interactionism and social influence" 25 : 237-252, 1986
39 Stephan, W. G., "The role of empathy in improving intergroup relations" 55 (55): 729-743, 1999
40 Allport, G. W., "The nature of prejudice" Perseus Books 1954
41 Riley, M. W., "The hidden age revolution: Emergent integration of all ages" Syracuse University 1998
42 Brown, R. J., "The criss-cross categorization effect in intergroup discrimination" 18 : 371-383, 1979
43 Berčan, M., "The Importance of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on Forming the View on Quality Aging" 5 (5): 231-240, 2014
44 Riley, P., "Strategy: conflict or collaboration"
45 Tajfel, H,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behavior" 13 (13): 65-93, 1974
46 Turner, J. C., "Social identity" Blackwell 6-34, 1999
47 Wilner, D. M., "Residential proximity and intergroup relations in public housing projects" 8 (8): 45-69, 1952
48 Wilder, "Reduction of intergroup discrimination through individuation of the outgroup" 36 : 1361-1374, 1978
49 Jackson, J. W., "Realistic group conflict theory : A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43 (43): 395-415, 1993
50 Haslam, A. S., "Psychology in organizations: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SAGE Publications 2001
51 Inglehart, R.,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52 Matthes, J., "Karl Mannheims “Das Problem der Generationen”, neu gelesen" 14 (14): 363-372, 1985
53 Mannheim, K., "Kalrl Mannheim:Essays" Routledge 276-322, 1952
54 McClusky, H. Y., "Introduction to educational gerontology"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59-83, 1990
55 Stephan, W. G., "Intergroup anxiety" 41 (41): 157-175, 1985
56 Kertzer, D. I., "Generation as a sociological problem" 9 : 125-149, 1983
57 Campbell, D. T., "Ethnocentric and other altruistic motive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65
58 Tajfel, H., "Differentiation between groups: Studies in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cademic Press 77-100, 1978
59 Tajfel, H., "Differentiation between groups: Studies in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cademic Press 27-60, 1978
60 Turner, J. C., "Differentiation between groups: Studies in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cademic Press 235-250, 1978
61 Ashmore, R. D., "Cognitive processes in stereotyping and intergroup behavior" LEA 1-36, 1981
62 Pinquart, M., "Changes in Attitudes among Children and Elderly Adults in Intergenerational Group Work" 26 : 523-540, 2000
63 McGarty, C., "Categorization in social psychology" Sage Publications 1999
64 나은영, "1970년대와 1990년대 간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와 세대차 증감" 13 (13): 37-60, 1999
세대 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노인 휴대폰 활용교육의 성과
중고령 학습자의 학점은행제 학위취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노인의 건강 특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장애노인과 비 장애노인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