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정권, "특수아동의 이해와 교육"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9
2 장보원,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촉각 중심 조형놀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3 이종희, "촉각훈련이 자폐성 장애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4 이미경, "촉각훈련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영미, "촉각중심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 유아의 신체상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2005
6 손인경, "촉각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자극행동에 미치는 효과"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05
7 이숙정, "중도ㆍ중복장애 아동 교육학-인간학적 이해에 기초한 교수방법론" 2007
8 김진규, "전정각훈련이 뇌성마비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9 이남식, "전정-고유수용감각훈련이 발달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한흥석, "자폐증아동의 상동행동" 4 : 46-51, 1994
1 김정권, "특수아동의 이해와 교육"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9
2 장보원,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촉각 중심 조형놀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3 이종희, "촉각훈련이 자폐성 장애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4 이미경, "촉각훈련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5 김영미, "촉각중심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 유아의 신체상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2005
6 손인경, "촉각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자극행동에 미치는 효과"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05
7 이숙정, "중도ㆍ중복장애 아동 교육학-인간학적 이해에 기초한 교수방법론" 2007
8 김진규, "전정각훈련이 뇌성마비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9 이남식, "전정-고유수용감각훈련이 발달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0 한흥석, "자폐증아동의 상동행동" 4 : 46-51, 1994
11 이진영, "자폐유아의 상동행동과 악기놀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12 박경숙, "자폐아의 감각통합 기능 증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6
13 심경나, "자폐아동 촉각 및 정전기관 자극훈련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9
14 이소현, "자폐아 상동행동과 사회적 상호 행동간의 관계에 있어서 상동행동의 종류 및 환경변인에 따른 상동행동의 변화에 관한 일 연구" 한국특수교육학과 21-62, 1992
15 이지영, "자기자극적 문제행동을 보이는 세 명의 자폐아동에게 시행한 비디오게임 중재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16 박화문, "발달장애아의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 35 : 445-462, 2000
17 이상훈, "발달장애 아동에 나타나는 상동행동의 원인과 처치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46-55, 1988
18 김보경, "반복된 상동행동과 문질러 주기 및 촉각자극" 6 (6): 23-33, 1984
19 김기영, "동작훈련이 중도ㆍ중복장애아의 신체도식 발달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0
20 박경진, "감각통합훈련프로그램이 중복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1 손현정, "감각통합훈련이 중복장애아의 자해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5
22 장용옥,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아의 감각통합 기능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23 김경숙,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신체자아 개념 변화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24 권혜정,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ㆍ운동발달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25 이해자, "감각통합교육에 의한 자폐아의 상동행동 변화"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4
26 곽민선, "감각통합 프로그램에 발달장애아의 인지능력 및 운동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7 박용천, "감각운동이 자폐성 장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11 (11): 133-143, 2003
28 Reisman, J., "Using a sensory Integrative appoach to treat self-ingurious behavior in an adult with profound mental retradation" 47 (47): 403-411, 1992
29 Brocklehurst-Wood, J., "The use of tactile and vestibular stimulation to reduce sterotypic behaviors in two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44 (44): 536-541, 1990
30 Baumeister, A., "Stereotyped acts" 6 : 1973-, 1973
31 Hutt, C., "Stereotype, arousal and autism" 18 : 277-286, 1975
32 Ayres, A. J.,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9
33 Belgau, F. A., "Sensory Integration Improvement : A Learning Breakthrough program" Perception Development Research Associates 1984
34 Lovaas, O. I., "Self-stimulatory behavior and perceptual reinforcement" 20 : 45-68, 1987
35 Berkson, G., "Repetitive Stereotyped behaviors" 88 : 239-246, 1983
36 Bright, T., Bittick, "Reduction of self-injurious behavior suing sensory integrative techniques" 35 : 167-172, 1981
37 Meyer, L., "Nonaggresive intervention for behavior problems" Paul H. Books 1989
38 Bonadonna, P., "Effects of a Vestibular Stimulation Program on Stereotypic Rocking Behavior" 35 (35): 775-781, 1981
39 Rutter, M.,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Wiley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