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 증가로 인한 외식소비 둔화, 출하물량 적체 및 폐사 등 수급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최근 들어 양식어류의 가격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가격변동성의 심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64667
2023
Korean
farmed fish ; oliver flounder ; rockfish ; price volatility ; stabilization of supply and demand ; GARCH Model ; 양식어류 ; 광어 ; 우럭 ; 가격변동성 ; 수급 안정화 ; 일반화 자기회귀 조건부이분산 모형
KCI등재
학술저널
97-115(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 증가로 인한 외식소비 둔화, 출하물량 적체 및 폐사 등 수급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최근 들어 양식어류의 가격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가격변동성의 심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 증가로 인한 외식소비 둔화, 출하물량 적체 및 폐사 등 수급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최근 들어 양식어류의 가격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가격변동성의 심화는 경영체의 경영계획 수립, 국민들의 합리적인 구매 의사결정 등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정부의 가격안정화 대책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는 양식어류의 산지가격 변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 어류양식에서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광어, 우럭 2개 품종의 가격변동성을 변이계수, 평균변화율, 진폭률 등의 지표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계절성에 대한 진단과 가격의 급등락 빈도를 집계하여 가격변화의 특징을 양식현실에 비추어 설명하였다. 또한 일반화 자기회귀 조건부이분산 모형을 통해 가격변동성 군집 현상이 존재함을 규명하였다. 분석에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제공하는 광어와 우럭 관측통계를 이용하였다. 광어는 제주와 완도의 1kg 가격, 우럭은 통영, 여수, 완도의 500g 가격을 기준가격으로 삼아 분석에 이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식어류의 산지가격이 추세적으로 상승하지 않았다는 중요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는 과거부터 생산비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던 것을 고려하면, 개별 양식어가의 경영수지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의 부가가치 창출 수준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음을 시사한다. 이에 근거하여 생산자의 거래교섭력 강화, 활어 유통구조의 효율화를 통한 생산자 수취가격 제고 대책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둘째, 변이계수 등 가격변동성 지표 분석 결과, 실제로 최근의 양식어류 가격변동성이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생산자단체의 조직화를 통한 지역별 입식량과 출하량의 총량적 관리와 더불어 관측사업의 고도화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양식어류 가격의 계절성과 급등락 시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수급안정화를 위한 정책 의사결정의 법적 권한을 지닌 수급조절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양식어류의 경영실태를 진단할 수 있는 생산비 조사의 추진 및 국가승인 통계화가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양식어류의 가격변동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
2 국승용, "최근 농산물 가격 변동 실태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 : 1-23, 2021
3 이용선, "청과물 가격 변동의 시계열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04, 2006
4 최병옥, "채소 수급 및 가격안정화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27, 2011
5 황의식 ; 안병일, "주요 청과물 가격 추세 및 가격변동성의 특징 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53 (53): 1-21, 2012
6 김병률, "주요 채소의 수급 안정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5, 1995
7 최병옥, "주요 채소류의 수급환경 변화와 대응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81, 2018
8 이용선, "주요 채소 가격의 변동패턴 및 요인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7, 2012
9 이헌동 ; 마창모, "양식넙치 산지-도매가격간 비대칭적 가격전이 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51 (51): 69-83, 2020
10 전용한 ; 남종오, "양식 조피볼락의 산지·도매시장간 비대칭적 가격전이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4 (34): 76-86, 2022
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
2 국승용, "최근 농산물 가격 변동 실태와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 : 1-23, 2021
3 이용선, "청과물 가격 변동의 시계열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04, 2006
4 최병옥, "채소 수급 및 가격안정화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27, 2011
5 황의식 ; 안병일, "주요 청과물 가격 추세 및 가격변동성의 특징 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53 (53): 1-21, 2012
6 김병률, "주요 채소의 수급 안정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5, 1995
7 최병옥, "주요 채소류의 수급환경 변화와 대응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81, 2018
8 이용선, "주요 채소 가격의 변동패턴 및 요인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7, 2012
9 이헌동 ; 마창모, "양식넙치 산지-도매가격간 비대칭적 가격전이 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51 (51): 69-83, 2020
10 전용한 ; 남종오, "양식 조피볼락의 산지·도매시장간 비대칭적 가격전이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4 (34): 76-86, 2022
11 마창모, "양식 수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해양수산부 1-172, 2021
12 옥영수 ; 김상태 ; 고봉현, "양식 넙치의 가격변동 및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경영학회 38 (38): 41-62, 2007
13 강석규, "양식 넙치가격 변동성의 구조변화와 비대칭성 검증" 한국수산경영학회 45 (45): 29-38, 2014
14 안병일 ; 김성용 ; 김병률, "양념채소 가격의 변동 추세와 요인 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43 (43): 103-121, 2002
15 고봉현, "수산물 거래량의 변동성이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084-6091, 2014
16 농림축산식품부, "농산물 수급조절매뉴얼 개선방안 연구" 1-250, 2018
17 안병일 ; 김관수, "농산물 가격 변동성을 어떻게 계측할 것인가? -양념채소 가격을 중심으로-"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5 (35): 732-754, 2008
18 이헌동 ; 안병일, "넙치 관측사업 효과분석 : 가격안정 및 시장효율성개선효과, 산지 - 도매가격간 인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수산경영학회 47 (47): 1-20, 2016
19 해양수산부, "국민횟감 넙치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넙치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1-12, 2022
20 YaAshe M. Bulama, "Test of Price Volatility : A Case of the Nigerian Cattle Market" 6 (6): 1-12, 2021
21 Coppock, D. J., "International Trade Instability" Saxon House 1-228, 1977
22 Sarris, A. H., "Has World Cereal Market Instability Increased?" 25 : 337-350, 2000
23 Bollerslev, T.,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31 : 307-327, 1986
24 고봉현, "GARCH 모형을 이용한 수산물의 가격변동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2 (22): 29-54, 2007
25 Prokash D., "Fish Price Volatility Dynamics in Bangladesh" 26 (26): 462-482, 2022
일본 고향납세제 운영의 주요 특징과 수산물 답례품 관련 주요 논제 – 한국 고향사랑기부제 운영을 위한 제언 -
섬 접근성 개선을 위한 도심항공교통(UAM) 활용방안 연구
일부 농어촌 지역 대학생의 교수 신뢰도와 학습몰입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포항소재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