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儒佛의 反觀 詩世界 ― 龍潭禪師와 牧隱李穡을 中心으로 ― = The world of Bangwan(反觀) poetry in the Confucianism and Buddhism - focusing on Yongdam and Moge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4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ngwan(反觀) is a term that has used as a phrase in the Confucianism and Buddhism. This was appeared in literary works many times. I have made a profound study on Zen poetry of Buddhism. Bangwan is one of language stage of Bullimmunja(不立文字) in Zen. Thus I have made a plan for study on this field for a long time.
      First, we can find out meaning of bangwan that express as Jogogakha(照顧脚下) in the Buddhism. There are many moralists who are go and come ofte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Confucianism. There are many poets who have a posture for Yumukburi(儒墨不二). When they expressed a world of Isimyeongdo(以詩明道), they have used poetic language of bangwan frequently.
      Therefore, I will research on poetic lanfuage of bangwan through the stage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the Buddhism and condition of perceival morality in the Confucianism. This study define poetry of Yongdam Zen master in the Buddhism and Mogeun Isaek in the Confucianism.
      번역하기

      Bangwan(反觀) is a term that has used as a phrase in the Confucianism and Buddhism. This was appeared in literary works many times. I have made a profound study on Zen poetry of Buddhism. Bangwan is one of language stage of Bullimmunja(不立文字)...

      Bangwan(反觀) is a term that has used as a phrase in the Confucianism and Buddhism. This was appeared in literary works many times. I have made a profound study on Zen poetry of Buddhism. Bangwan is one of language stage of Bullimmunja(不立文字) in Zen. Thus I have made a plan for study on this field for a long time.
      First, we can find out meaning of bangwan that express as Jogogakha(照顧脚下) in the Buddhism. There are many moralists who are go and come ofte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Confucianism. There are many poets who have a posture for Yumukburi(儒墨不二). When they expressed a world of Isimyeongdo(以詩明道), they have used poetic language of bangwan frequently.
      Therefore, I will research on poetic lanfuage of bangwan through the stage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the Buddhism and condition of perceival morality in the Confucianism. This study define poetry of Yongdam Zen master in the Buddhism and Mogeun Isaek in the Confucian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고는 ‘反觀’이라는 詩語가 유가 불가에서 쓰여진 문자로 문학작품 속에서 두루 발견 할 수 있는 점을 모색하였다. 필자가 불교의 禪詩를 공부하며 禪이라는 불립문자의 언어경지를 대변한 또 하나의 것이 ‘反觀’임을 오래전부터 모색해 왔다. 먼저 불가에서 반관의 의미를 ‘照顧脚下’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0세기경 중국의 법연스님이 혜근·청원·극근 3명의 제자를 데리고 한 밤중 길을 가다가 스승인 법연이 제자들의 수행 정도를 점검하던 중에서 유래된 말이다. 극근이 “나의 발밑을 보겠습니다”라고 한 대답에서 반관이라는 말의 유래를 짚어 볼 수가 있다. 이 ‘조고각하’라는 말은 곧 반관의 의미로 바로 수행의 근본이 가장 시급한 일을 하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자기 자신의 발밑을 살펴보는데 있다는 뜻으로 겸허히 자신을 반성하여 바로 그 순간을 살피라는 뜻으로 간파 할 수 있다.
      이에 불가에서 수행하는 선사가 수행의 결과를 언어로 빚는 禪語에서 ‘조고각하·반관’이라는 언어를 빌어 불립문자의 경지를 표현한 선의 경지를 볼 수 있다.
      또한 유가에서도 유불을 넘나드는 많은 道學者 또는 儒墨不二의 자세를 갖은 뭇 시인들이 ‘以詩明道’의 세계를 표현함에 ‘반관’ 이라는 시어를 많이 사용하였음을 볼 수가 있다. 이에 佛家의 得道의 경지와 儒家의 明道의 경지를 ‘反觀’이라는 시어를 통하여 본고에서 불가의 용담선사의 반관시와 유가의 목은이색의 ‘反觀詩’가 ‘以詩明禪’ ‘以詩明道’의 경지를 반관의 자기 성찰을 통하여 결정체를 빚어 냈다는 점을 하나의 의의로 모색해 보았다.
      번역하기

      본 논고는 ‘反觀’이라는 詩語가 유가 불가에서 쓰여진 문자로 문학작품 속에서 두루 발견 할 수 있는 점을 모색하였다. 필자가 불교의 禪詩를 공부하며 禪이라는 불립문자의 언어경지를 ...

      본 논고는 ‘反觀’이라는 詩語가 유가 불가에서 쓰여진 문자로 문학작품 속에서 두루 발견 할 수 있는 점을 모색하였다. 필자가 불교의 禪詩를 공부하며 禪이라는 불립문자의 언어경지를 대변한 또 하나의 것이 ‘反觀’임을 오래전부터 모색해 왔다. 먼저 불가에서 반관의 의미를 ‘照顧脚下’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0세기경 중국의 법연스님이 혜근·청원·극근 3명의 제자를 데리고 한 밤중 길을 가다가 스승인 법연이 제자들의 수행 정도를 점검하던 중에서 유래된 말이다. 극근이 “나의 발밑을 보겠습니다”라고 한 대답에서 반관이라는 말의 유래를 짚어 볼 수가 있다. 이 ‘조고각하’라는 말은 곧 반관의 의미로 바로 수행의 근본이 가장 시급한 일을 하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자기 자신의 발밑을 살펴보는데 있다는 뜻으로 겸허히 자신을 반성하여 바로 그 순간을 살피라는 뜻으로 간파 할 수 있다.
      이에 불가에서 수행하는 선사가 수행의 결과를 언어로 빚는 禪語에서 ‘조고각하·반관’이라는 언어를 빌어 불립문자의 경지를 표현한 선의 경지를 볼 수 있다.
      또한 유가에서도 유불을 넘나드는 많은 道學者 또는 儒墨不二의 자세를 갖은 뭇 시인들이 ‘以詩明道’의 세계를 표현함에 ‘반관’ 이라는 시어를 많이 사용하였음을 볼 수가 있다. 이에 佛家의 得道의 경지와 儒家의 明道의 경지를 ‘反觀’이라는 시어를 통하여 본고에서 불가의 용담선사의 반관시와 유가의 목은이색의 ‘反觀詩’가 ‘以詩明禪’ ‘以詩明道’의 경지를 반관의 자기 성찰을 통하여 결정체를 빚어 냈다는 점을 하나의 의의로 모색해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龍潭集"

      2 "懶翁和尙語錄"

      3 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한국불교전서 제9책" 동국대학교출판부 1988

      4 석지현, "선시감상사전" 민족사 1977

      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소장문집해설-18세기" 민창사 2007

      6 "黙庵大師詩草"

      7 金美善, "韓國的 中國禪詩 受容美學" 齊魯學刊 2006

      8 鎌田茂雄, "韓國佛敎史" 民族社 1988

      9 韓國佛敎全書 編纂委員會, "韓國佛敎全書" 東國大學校 出版部 1989

      10 "雪巖雜著"

      1 "龍潭集"

      2 "懶翁和尙語錄"

      3 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한국불교전서 제9책" 동국대학교출판부 1988

      4 석지현, "선시감상사전" 민족사 1977

      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소장문집해설-18세기" 민창사 2007

      6 "黙庵大師詩草"

      7 金美善, "韓國的 中國禪詩 受容美學" 齊魯學刊 2006

      8 鎌田茂雄, "韓國佛敎史" 民族社 1988

      9 韓國佛敎全書 編纂委員會, "韓國佛敎全書" 東國大學校 出版部 1989

      10 "雪巖雜著"

      11 金美善, "艸衣禪師의 禪茶詩" 이화출판사 2004

      12 金美善, "艸衣 張意恂 詩의 硏究" 성신여대대학원 2000

      13 柳田聖山, "禪語錄" 中央公論社

      14 陳香, "禪詩六百首"

      15 杜松栢, "禪詩三百首" 黎明文化事業公司

      16 杜松栢, "禪與詩" 弘道書局

      17 松本史郞, "禪思想의 批判的硏究" 大藏出版 1994

      18 杜松栢, "禪學與唐宋詩學" 黎明文化事業公司

      19 "瑛虛集"

      20 "牧隱詩藁"

      21 "無衣子詩集"

      22 "無竟集"

      23 "澄月大師詩集"

      24 "淸虛集"

      25 "曹溪眞覺國師語錄"

      26 金美善, "映湖禪師的禪詩" (6) : 2005

      27 "振虛集"

      28 "括虛集"

      29 "大覺登階集"

      30 "喚惺詩集"

      31 伊藤博之, "佛敎文學講座" 勉誠社

      32 石破, "佛敎文學硏究論攷" 興英文化社

      33 間中富士子, "佛敎文學 入門" 세계성전간행협회 1982

      34 境野勝悟, "の思想に 學ふ゛人間學" 致知出版社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