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형(型) 교육감 선임제도의 모색을 위한 시론(試論) = An Essay on the Korean Style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Election/Appoin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38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7년 이후 우리나라의 교육감 선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외국 사례를 검토하여 한국형 교육감 선임제도를 제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상정하는 대안은 첫째, 주민 직선제를 전제로 현행 제도 유지다. 둘째, 정당 공천제로 유권자가 교육감 후보자에 대한 정보접근의 용이성을 제고하고 책임정당제를 실현할 수 있다. 셋째, 정당 표방제로 정당 공천제의 완화된 형태로 교육감 후보자는 자신이 특정정당을 지지한다는 의사를 표명하며 출마하는 것이다. 넷째, 시·도지사와의 러닝 메이트제도 있다. 반면 주민직선을 전제로 하지 않는 경우 임명제가 있다. 임명제는 시·도지사에 의한 임명과 시·도의회에 의한 임명이 가능하다. 주민직선과 임명제 이외에 제한적 주민직선제도 고려할 수 있고, 이는 교육감 선출위원단을 구성하여 선출한다. 마지막으로 시도별 자율 결정제이다. 위의 대안 중 직선제의 런닝 메이트제와 임명제의 시·도지사 추천과 의회동의가 한국형 교육감 선임제도로 원칙과 현실을 조화시킬 수 있는 제도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7년 이후 우리나라의 교육감 선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외국 사례를 검토하여 한국형 교육감 선임제도를 제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상정하는 ...

      본 연구는 2007년 이후 우리나라의 교육감 선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외국 사례를 검토하여 한국형 교육감 선임제도를 제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상정하는 대안은 첫째, 주민 직선제를 전제로 현행 제도 유지다. 둘째, 정당 공천제로 유권자가 교육감 후보자에 대한 정보접근의 용이성을 제고하고 책임정당제를 실현할 수 있다. 셋째, 정당 표방제로 정당 공천제의 완화된 형태로 교육감 후보자는 자신이 특정정당을 지지한다는 의사를 표명하며 출마하는 것이다. 넷째, 시·도지사와의 러닝 메이트제도 있다. 반면 주민직선을 전제로 하지 않는 경우 임명제가 있다. 임명제는 시·도지사에 의한 임명과 시·도의회에 의한 임명이 가능하다. 주민직선과 임명제 이외에 제한적 주민직선제도 고려할 수 있고, 이는 교육감 선출위원단을 구성하여 선출한다. 마지막으로 시도별 자율 결정제이다. 위의 대안 중 직선제의 런닝 메이트제와 임명제의 시·도지사 추천과 의회동의가 한국형 교육감 선임제도로 원칙과 현실을 조화시킬 수 있는 제도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tries to recommend the Korean style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election/appointment by reviewing preceding studies on the issue and comparing other countries’ cases. First is to maintain the current system of direct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Keeping the current system, we can consider different types of direct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hey are partisan nomination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candidates for voters’ choices. The other is to let candidates for the position profess his or her partisan preference so that the voters know which party is close to the candidate. The last is running mate system between candidates for the governor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hese systems are to help voters identify candidates’ political positions and policy directions. On the other side, we can consider the system of appointment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by the governor or the local council. Lastly, there is another way of choosing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which is the indirect election of Superintendent of Education by relatively small number of electorate composed of parents, teachers and school council members. Among these methods, individual city or province may choose its own way of election or appointment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번역하기

      This essay tries to recommend the Korean style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election/appointment by reviewing preceding studies on the issue and comparing other countries’ cases. First is to maintain the current system of direct election of th...

      This essay tries to recommend the Korean style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election/appointment by reviewing preceding studies on the issue and comparing other countries’ cases. First is to maintain the current system of direct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Keeping the current system, we can consider different types of direct election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hey are partisan nomination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candidates for voters’ choices. The other is to let candidates for the position profess his or her partisan preference so that the voters know which party is close to the candidate. The last is running mate system between candidates for the governor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hese systems are to help voters identify candidates’ political positions and policy directions. On the other side, we can consider the system of appointment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by the governor or the local council. Lastly, there is another way of choosing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which is the indirect election of Superintendent of Education by relatively small number of electorate composed of parents, teachers and school council members. Among these methods, individual city or province may choose its own way of election or appointment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I. 서론
      • Ⅱ. 교육감 선임관련 선행연구와 외국사례 검토
      • Ⅲ. 2007년 이후 교육감 선거의 문제점
      • Ⅳ. 대안의 모색
      • <국문 초록>
      • I. 서론
      • Ⅱ. 교육감 선임관련 선행연구와 외국사례 검토
      • Ⅲ. 2007년 이후 교육감 선거의 문제점
      • Ⅳ. 대안의 모색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준현,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교육자치 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국가정책연구소 2007

      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해외연구관 4호 보고서「각국의 교육감 선출방식」" 2014

      3 정세욱,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연계강화방안"

      4 하봉운, "지방분권의 실현과 지방교육자치의 발전방안 모색" 2004

      5 최준렬, "지방교육행정체제의 지원기능 강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3

      6 이혜숙, "지방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의 관계정립방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7 송기창, "지방교육자치제의 발전을 위한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15 (15): 33-55, 2008

      8 이승종, "지방교육자치제의 발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9

      9 김홍주,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재구조화연구" 1999

      10 고광태,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발전 방안 연구" 31 : 2007

      1 홍준현,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교육자치 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국가정책연구소 2007

      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해외연구관 4호 보고서「각국의 교육감 선출방식」" 2014

      3 정세욱, "지방자치와 교육자치의 연계강화방안"

      4 하봉운, "지방분권의 실현과 지방교육자치의 발전방안 모색" 2004

      5 최준렬, "지방교육행정체제의 지원기능 강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3

      6 이혜숙, "지방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의 관계정립방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7 송기창, "지방교육자치제의 발전을 위한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15 (15): 33-55, 2008

      8 이승종, "지방교육자치제의 발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9

      9 김홍주,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재구조화연구" 1999

      10 고광태,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발전 방안 연구" 31 : 2007

      11 조성일, "지방교육자치제도론" 양서원 1996

      12 고 전, "지방교육자치제도 진단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13 조창현, "지방교육자치제도 개성방안 연구" 교육부 지방교육자치제도개선특별위원회 1999

      14 "중앙일보b. 2010/10/01"

      15 "중앙일보a. 2010/10/01"

      16 "조선일보. 2010/10/21"

      17 김태수,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와의 관계 및 그 정립방안의 검토" 14 (14): 2003

      18 김혜진, "우리나라 교육자치제의 발전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9 최진혁, "우리나라 교육분권의 적정성 논의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16 (16): 523-551, 2005

      20 최진혁, "외국의 교육자치제도: 미국, 프랑스, 일본을 중심으로" 2008

      21 최상덕, "영국의 교육자치제도의 역사적 변천과 현황 - 중앙정부, 지방교육청, 학교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2 (32): 289-310, 2005

      22 최진혁, "분권형 국가운영체제를 위한 교육선거(교육감·교육의원)의 개선방안" 2010

      23 김순태, "미군정의 한국통치" 박영사 1992

      24 김준석, "미국 청렴선거법(Clean Election Act)의 제도적 분석: 메인, 애리조나의 사례를 중심으로" 3 (3): 2010

      25 서영인, "노무현 정부의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개정 과정에서 나타난 쟁점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14 (14): 147-172, 2007

      26 김흥주, "기초단위 교육자치 도입 방안 고찰" 한국지방자치학회 16 (16): 163-183, 2004

      27 황아란, "기초 지방의원선거와 기호 효과" 한국정치학회 44 (44): 107-123, 2010

      28 송기창, "교육행정과 지방행정의 연계 확대방안" 2003

      29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제도론" 한국교육행정학회 1995

      30 박정수, "교육자치행정 일원화 대 이원화" 2000

      31 김태완, "교육자치제도의 변천과정과 문제" 한국교육학회 21 (21): 1991

      32 이일용, "교육자치제도의 개선논쟁점에 관한 연구" 32 (32): 1994

      33 이기우, "교육자치와 학교자치 및 지방교육행정제도" 10 (10): 1998

      34 김신복,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연계성-자치기구 구성상의 쟁점을 중심으로" 29 (29): 1991

      35 김신복, "교육자치와 지방자치는 다르다" 한국교육개발원 2003

      36 충북대학교 지방교육연구센터, "교육의원 선거제도 규정을 위한 ‘지방교육자체에 관한 법률’ 개정방안"

      37 고 전, "교육선거(교육감·교육의원)의 개선방안 토론"

      38 하운봉, "교육감·교육의원 선거 평가와 지방교육자치의 발전방향" 2010

      39 강인수, "교육감 선출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261-280, 2005

      40 강인수, "교육감 선출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261-280, 2005

      41 최영출, "교육감 선거제도의 개선방안" 2010

      42 손희권, "교육감 선거인단 구성방안들의 헌법적 검토" 한국교육개발원 32 (32): 301-332, 2005

      43 "강원도민일보. 2010/02/09"

      44 "Views&News. 2010/11/27"

      45 Lusi, Susan Follett, "The Role of State Departments of Education in Complex School Reform" Teachers College Press 1997

      46 Mexico Public Education Department, "Secretary of Education"

      47 Rallings, C, "Seasonal Factors, Voter Fatigue and the Costs of Voting" 22 (22): 2003

      48 Gray, V., "Politics in the American States: A Comparative Analysis. 8th Edition" Congressional Quarterly Press 2003

      49 Peabody, Weegie, "Members of the State Boar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50 Herrington, Carolyn D, "American Educational Governance on Trial: Change and Challenges"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2002

      51 Kenezevich, Stephen J, "Administration of Public Education. 3rd ed" Harper and Row 1975

      52 New Hampshire Department of Education, "Abou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53 이준한, "2010년 지방선거와 교육감 및 교육의원선거의 동시실시에 따른 효과 예측"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101-118, 2009

      54 고전, "2007년 교육감 주민직선 결과 및 쟁점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133-152, 2008

      55 Washington Secretary of Education, "2004 Online Voters' Guide: StatewideOffices: Candidates Detai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2005-06-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 THE ASSOCIATION OF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0.99 1.591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