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앙정부의 행정개혁 추진력이 지방공무원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정부3.0 추진과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67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행정개혁의 실질적인 집행주체인 지방공무원들의 행정개혁에 대한 중간평가적 의미를 갖는다. 일선행정현장에서 개혁을 집행하는 지방공무원들이 행정개혁에 얼마나 적극적으...

      이 연구는 행정개혁의 실질적인 집행주체인 지방공무원들의 행정개혁에 대한 중간평가적 의미를 갖는다. 일선행정현장에서 개혁을 집행하는 지방공무원들이 행정개혁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또 이러한 참여확보에 어떠한 요인들이 개입될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중·후반기에 접어든 행정개혁의 집행에 실천적인 함축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개혁인 정부 3.0에 대한 참여의 적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1,201명의 지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경로분석을 활용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지방공무원의 정부3.0에 대한 참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중앙정부의 정책추진력으로 중앙정부의 의지와 추진력이 강할수록 지방공무원들의 정부3.0에 대한 참여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정개혁에 대한 필요성, 정부3.0에 대한 동의정도, 정부3.0의 기대효과 등과 같은 행정개혁에 대한 주관적 판단도 참여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앙정부의 정책추진력에 공무원 개개인의 주관적 인지가 매개변수로 작용할 경우 참여의 적극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우호적으로 갖추어질 수 있어야 개혁추진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o the interim evaluation of the reform of local public participation which has been carried out actually in administration reform. In order to examine how much the local civil servants participate in administration reform positivel...

      This study aims to do the interim evaluation of the reform of local public participation which has been carried out actually in administration reform. In order to examine how much the local civil servants participate in administration reform positively at field administration, or why they are willing to participate,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administration reform in the medium or the late stage. This study surveyed 1,201 local public servants in order to examine the positiveness and thereupon its influential factors of Gov.3.0 Policy which is encompassed in the administration reform under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rough path analysis, this paper concludes as followings. Firstly, the factor most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of local civil servants in Gov.3.0 is the policy th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reupon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of local civil servants in Gov.3.0. Secondly, the subjective judgments such as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reform, the agreement level about Gov.3.0 and its expected effec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irdly, if taking the subjective cognition of civil servants about the policy th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parameter, the positiveness of particip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Namely, only when person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well-found can positive participation present during the process of reform enforc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를 위한 이론의 검토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를 위한 이론의 검토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석,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23 (23): 89-113, 1999

      2 김태형,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의 발현에 관한 연구" 361-375, 2006

      3 정주용, "행정개혁의 집행과정 연구: 정부 3.0의 집행 수용성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0 (20): 279-314, 2014

      4 김태룡, "행정개혁의 연구경향" 서울행정학회 24 (24): 367-390, 2013

      5 김영평,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 점진적 개혁의 지혜" 나남출판사 1993

      6 한승주, "행정개혁에 대한 공무원의 정서적 대응: Q방법론의 적용" 한국행정연구소 48 (48): 25-57, 2010

      7 Skarzynski, P., "핵심에 이르는 혁신" 영신사 2009

      8 최성욱, "한국행정조직의 문화적 프로필에 관한 연구: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회 39 (39): 41-62, 2005

      9 송병식, "카리스마 리더십과 도전적 직무동기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와 리더신롸와 혁신분위기의 조절효과" 한국경영사학회 (41) : 187-210, 2006

      10 정주용, "중앙의 정책추진과 지방공무원의 반응 - 지역 일자리 사업 통합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111-137, 2014

      1 이인석,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23 (23): 89-113, 1999

      2 김태형,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의 발현에 관한 연구" 361-375, 2006

      3 정주용, "행정개혁의 집행과정 연구: 정부 3.0의 집행 수용성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0 (20): 279-314, 2014

      4 김태룡, "행정개혁의 연구경향" 서울행정학회 24 (24): 367-390, 2013

      5 김영평,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 점진적 개혁의 지혜" 나남출판사 1993

      6 한승주, "행정개혁에 대한 공무원의 정서적 대응: Q방법론의 적용" 한국행정연구소 48 (48): 25-57, 2010

      7 Skarzynski, P., "핵심에 이르는 혁신" 영신사 2009

      8 최성욱, "한국행정조직의 문화적 프로필에 관한 연구: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회 39 (39): 41-62, 2005

      9 송병식, "카리스마 리더십과 도전적 직무동기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와 리더신롸와 혁신분위기의 조절효과" 한국경영사학회 (41) : 187-210, 2006

      10 정주용, "중앙의 정책추진과 지방공무원의 반응 - 지역 일자리 사업 통합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111-137, 2014

      11 손예진, "조직지원, 상사지원, 동료지원이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서비스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4

      12 김갑식, "조직 구성원들의 혁신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K-water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13 채원호, "정부조직문화 쇄신을 위한 정책방안 모색: 중앙부처 대상 AHP 분석" 서울행정학회 15 (15): 73-96, 2004

      14 박재완, "정부개혁의 논리와 전략: 신공공관리의 가교" 25-50, 2000

      15 정주용, "정부3.0과 지역혁신정책" 2014

      16 행정자치부, "정부3. 0 표준교육교재"

      17 행정자치부, "정부3. 0 백서" 행정자치부 2014

      18 이지우,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지원이 종합병원 직원들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행정학회 13 (13): 46-68, 2003

      19 조성한, "수사적 행정개혁과 문화적 갈등" 서울행정학회 15 (15): 2005

      20 김두섭, "사회과학을 위한 회귀분석" 법문사 2004

      21 이석환, "변화・혁신에 대한 긍정적 사고와 영향요인에 대한 경험적 연구: 조직성과향상을 위한 성과관리 관점에서의 제언" 서울행정학회 19 (19): 1-23, 2008

      22 백영미, "문제해결스타일, 리더와 멤버간의 교환관계, 태도 및 경쟁압력에 대한지각과 혁신적인 행동간의 관계" 8 (8): 105-163, 2000

      23 박천오, "김대중 정부의 행정개혁에 대한 공무원 반응 : 개혁의 장기적 정착가능성과 보완과제 진단을 위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1 (11): 111-139, 2002

      24 白瑛美, "개인 혁신 행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25 Vroom, V. H, "Work and motivation" Jossey-Bass 1964

      26 Marquis, D, "Ways of Organizing Project" 5 : 26-33, 1969

      27 Venkatraman, M. P, "The impact of Innovativeness and Innovation Type on Adoption" 67 (67): 51-67, 1991

      28 Kanter, R. M, "The change masters" Simon & Schuster 1983

      29 Holak, S. L., "The Role of Expectations in the Adoption of Innovative Consumer Durables : Some Preliminary Evidence" 63 (63): 243-259, 1987

      30 Kahn, S, "The Key to Being a Leader Company: Empowerment" 20 (20): 44-50, 1997

      31 Pascale, R. T., "The Art of Japanese Management" 24 (24): 83-85, 1981

      32 Bohmstedt, G. W., "Statistics for social data analysis" F. E. Peacock 1994

      33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34 Ellen, P. S., "Resistance to Technological Innovations: An Examination of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19 (19): 297-307, 1991

      35 Sheth, J. N, "Research in Marketing 4" Jai Press Inc 273-282, 1981

      36 Ingraham, P. W., "Public Management Reform and Innovation" Th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11-219, 1999

      37 Damanpour, F, "Organizational Innovation: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34 : 555-590, 1991

      38 Amabile, T. M, "Motivating Creativity in Organizations: On Doing What You Love and Loving What You Do" 40 (40): 39-58, 1997

      39 Janssen, O, "Innovative behavior and job involvement at the price of conflict and less satisfactory relations with co-workers" 76 (76): 347-364, 2003

      40 Ettlie, "Innovative Attitudes, Values, And Intention In Organizations" 19 (19): 163-182, 1982

      41 Damanpour, F,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Practise and Principles" Heineman 1991

      42 West, M. A, "Innovation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4 : 173-184, 1989

      43 Nam, Taewoo, "Government 3.0 in Korea: Fad or Fashion?" 2013

      44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 Free Press 1995

      45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 Free Press 1983

      46 Cameron, K. S.,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Addison-Wesley 1999

      47 Scott, S. G.,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u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37 (37): 580-607, 1994

      48 Zaltman, G., "Consumer Behavior: Basic finding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John wiley & Son 1983

      49 Fishbein, M., "Beliefs,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ddison-Wesley 1975

      50 Mun, S. B,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ng model" Hakjisa Publishing Co 2009

      51 Rokeach, M, "Attitude change and behavioral change" 30 : 529-550, 1967

      52 Kenyon, G, "Aspects of contemporary sport sociology" The Athletic Institute 77-87, 1969

      53 Ettlie, E, "An Evaluation of training for technological change" 35 : 22-26, 1979

      54 Quah, J. S. T, "Administrative Reform: A Conceptual Analysis" 20 (20): 50-67, 1975

      55 Gatignon, H., "A Propositional Inventory for New diffusion Research" 1 : 849-867, 1985

      56 Ram, S,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14 : 208-212, 1987

      57 행정자치부, "2005년 진단, 혁신관리메뉴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행정학회 -> 한국공공관리학회
      영문명 : Chung-Ang Academy Of Public Administr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3 1.25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