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 신입생의 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 경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6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원격수업 경험과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간호대학 신입생 9명이 참여한 본 연구는 개인면담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이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총 172개의 진술이 유의미하게 추출되었고, 5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5개의 상위범주는 기회상실, 적응지연, 위기감, 상황인식, 수용과 대처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을 위한 원격수업 운영과 관련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프로그램, 교육정책, 재정지원 등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원격수업 경험과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간호대학 신입생 9명이 참여한 본 연구는 개인면담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원격수업 경험과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간호대학 신입생 9명이 참여한 본 연구는 개인면담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이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총 172개의 진술이 유의미하게 추출되었고, 5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5개의 상위범주는 기회상실, 적응지연, 위기감, 상황인식, 수용과 대처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을 위한 원격수업 운영과 관련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프로그램, 교육정책, 재정지원 등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and experiences of distance learning of nursing freshmen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this study, in which nine new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Nursing participated,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ir experiences. 172 statements were extracted significantly and analyzed into 5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The derived five components are loss of opportunity, delay in adaptation, sense of crisis, situational awareness, acceptance and coping.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al policies, and financial suppor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and experiences of distance learning of nursing freshmen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this study, in which nine new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Nursing participated, indi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and experiences of distance learning of nursing freshmen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this study, in which nine new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Nursing participated,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ir experiences. 172 statements were extracted significantly and analyzed into 5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The derived five components are loss of opportunity, delay in adaptation, sense of crisis, situational awareness, acceptance and coping.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al policies, and financial suppo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 5. 결론 및 제언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진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 신입생들의 비대면 강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397-408, 2020

      2 주용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주역 MZ세대 분석 및 제언" 1 (1): 2021

      3 안성미,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15-323, 2020

      4 홍성희,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학생의 일상생활의 변화와 대처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9 (39): 47-61, 2021

      5 최현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73-286, 2021

      6 임소희, "온택트 시대의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195-205, 2021

      7 최성철, "마음껏 상상해 보는 코로나 이후 수업이 변화" 27 (27): 14-19, 2020

      8 이정화, "간호학과 신입생의 체력에 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16 (16): 307-313, 2021

      9 정인숙, "간호학과 신입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37-749, 2021

      10 김경자, "간호사의 조직 의사소통 만족과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8 (18): 213-221, 2012

      1 강진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 신입생들의 비대면 강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397-408, 2020

      2 주용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주역 MZ세대 분석 및 제언" 1 (1): 2021

      3 안성미,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15-323, 2020

      4 홍성희,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학생의 일상생활의 변화와 대처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9 (39): 47-61, 2021

      5 최현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73-286, 2021

      6 임소희, "온택트 시대의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195-205, 2021

      7 최성철, "마음껏 상상해 보는 코로나 이후 수업이 변화" 27 (27): 14-19, 2020

      8 이정화, "간호학과 신입생의 체력에 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 16 (16): 307-313, 2021

      9 정인숙, "간호학과 신입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37-749, 2021

      10 김경자, "간호사의 조직 의사소통 만족과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8 (18): 213-221, 2012

      11 서영숙,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5 (5): 1040-1047, 2017

      12 오윤희,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감 능력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31-341, 2020

      13 M. Sandelowski,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8 (8): 27-37, 1986

      14 L. Caputi, "Innovations in Nursing Education: Building the Future of Nursing"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016

      15 R. S. Valle,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9992-, 1978

      16 임숙빈, "COVID-19를 맞이한 간호대학생의 적응 경험" 한국학교보건학회 33 (33): 213-221, 2020

      17 이하연, "COVID-19로 인한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만족도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34 (34): 231-251, 2021

      18 김윤민, "COVID-19 상황에서 전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사회심리적 건강, 회복탄력성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295-318,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