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화외교의 시각에서 한국의 해외문화예술행사가 국가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해외문화예술행사에 대한 참가자들의 평가에 따라 한국문화에 대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85542
2013
Korean
국가이미지 ; 국제교류재단 ; 문화외교 ; 브라질 ; 해외문화예술행사 ; Brazil ; Country Image ; Cultural Diplomacy ; Korea Foundation ; Public Diplomacy
KCI등재
학술저널
1159-118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외교의 시각에서 한국의 해외문화예술행사가 국가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해외문화예술행사에 대한 참가자들의 평가에 따라 한국문화에 대한 ...
본 연구는 문화외교의 시각에서 한국의 해외문화예술행사가 국가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해외문화예술행사에 대한 참가자들의 평가에 따라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다시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이론적 모형을 구성하고, 한국국제교류재단의 <2012 브라질페스티벌>을 사례로 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해외문화예술행사의 품질요인에 대한 평가가 좋을수록 한국문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제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기에는 품질요인의 하위요소로서 프로그램요인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행사품질요인은 문화인식 변화를 매개로 하여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매력있는 한국의 문화요소를 소재로 잘 기획된 해외문화예술행사는 국가이미지를 제고하는 효과적인 문화외교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s overseas cultural event on promoting country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plomacy. In order to conduct the analysis, a theoretical model was established that change in cultural cognition occ...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s overseas cultural event on promoting country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plomacy. In order to conduct the analysis, a theoretical model was established that change in cultural cognition occurs following the evaluation of the audience on the overseas cultural event, and that change in cultural cognition would affect country image. The studied case is Korea Foundation`s 2012 Korean Festival in Brazil and the analysis shows that higher the evaluation on the quality factor of the overseas cultural event is, the more positive cognition toward Korean culture is boosted. In particular, it i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on the program factor is significant. Also, the study has proved that quality of programme mediated by cultural cognition improves image of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upports that overseas cultural event with attractive cultural contents and by organized planning could serve as an effective tool of cultural diplomacy.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also presents a number of suggestions to enhance the positive outcome of the future overseas cultural event.
종교계 병원의 조직특성과 조직몰입·조직성과의 영향관계 분석
공기업에서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 간구조적 관계 분석
농촌지역에서 공시지가와 실거래가격 차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