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6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을 관계를 파악하고,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을 관계를 파악하고,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국내 12개 기업의 구성원 및 리더들을 대상으로 웹과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418부를 회수하여 유효하지 않은 설문을 제외하고 332부 샘플을 중심으로 구조방정식모델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내재적 동기와 개인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내재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개인 창의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긍정심리자본과 개인 창의성을 부분매개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개인 창의성을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 발휘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소 중 내재적 동기에 집중하여 이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심리적·정서 적 기제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각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조직 구성원의 개인 창의 성 발휘를 위해 조직 차원의 실무적 시사점을 얻었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에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syCap(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empowerment, personal creativity and verified the mediated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is relationship using the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syCap(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empowerment, personal creativity and verified the mediated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is relationship using the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on/off-line surveys of members and managers from 12 different enterprises. Among the 418 answers from voluntary participating employees, 332 answers were finally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syCa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al creativity. Second,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trinsic motivation, but psychological empowerment has no influence on creativity. Third, intrinsic motiva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by partially mediating PsyCap and personal creativity but completely mediated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ersonal creativity. This study focused on intrinsic motivation among the intern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s on showing personal creativity and has importance in the point that it has sugges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emotional mechanism to reinforce this intrinsic motivation in a positive way. Posi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suggests a theoretical meaning on providing a future direction for the study and practical meaning on providing ideas to reinforce the employees’ personal creativity. The details of this study are followed in the main tex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필석, "핵심자기평가가 조직변화몰입과 조직변화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8 (18): 233-250, 2011

      2 정민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직무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10 (10): 201-220, 2012

      3 오종철, "창의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및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기업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17 (17): 131-148, 2010

      4 최성우, "직무특성과 창의성 및 임파워먼트의 관계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10 (10): 21-58, 2008

      5 박권홍, "중소기업 근로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교육학회 14 (14): 115-132, 2012

      6 강호영,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동기부여가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한국회계정보학회 10 (10): 107-131, 2010

      7 한주희, "자율성, 과정피드백 및 결과피드백과 동기요인이 직무관련노력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51-272, 2002

      8 강호영, "임파워먼트와 보상 공정성이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조직구성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회계정보학회 29 (29): 249-274, 2011

      9 강수돌, "인적자원 개발과 학문의 식민화" 역사문제연구소 92 (92): 43-73, 2010

      10 송정수,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5 (15): 189-209, 2008

      1 양필석, "핵심자기평가가 조직변화몰입과 조직변화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8 (18): 233-250, 2011

      2 정민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직무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10 (10): 201-220, 2012

      3 오종철, "창의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및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기업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17 (17): 131-148, 2010

      4 최성우, "직무특성과 창의성 및 임파워먼트의 관계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10 (10): 21-58, 2008

      5 박권홍, "중소기업 근로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교육학회 14 (14): 115-132, 2012

      6 강호영,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동기부여가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한국회계정보학회 10 (10): 107-131, 2010

      7 한주희, "자율성, 과정피드백 및 결과피드백과 동기요인이 직무관련노력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51-272, 2002

      8 강호영, "임파워먼트와 보상 공정성이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조직구성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회계정보학회 29 (29): 249-274, 2011

      9 강수돌, "인적자원 개발과 학문의 식민화" 역사문제연구소 92 (92): 43-73, 2010

      10 송정수,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5 (15): 189-209, 2008

      11 한주희, "성과-보상 연계성, 스트레스 및 내재적 동기의 관계" 한국인사관리학회 30 (30): 26-45, 2006

      12 채주석,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4 (24): 2617-2640, 2011

      13 손무권,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생산성학회 26 (26): 97-126, 2012

      14 이동섭,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9 (39): 1-28, 2010

      15 이혜림, "긍정심리자본과 개인 창의성의 관계 - 정서와 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145-168, 2013

      16 Sweetman, David,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54-68, 2010

      17 Bruce J. Avolio, "Unlocking the mask: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Elsevier BV 15 (15): 801-823, 2004

      18 Rainey, Hal G., "Understanding and managing public organizations" John Wiley & Sons 2009

      19 Reeve, Johnmarshall,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John Wiley & Sons 2008

      20 Lale Gumusluoglu,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Elsevier BV 62 (62): 461-473, 2009

      21 Jay A. Conger, "Toward a Behavioral Theory of Charismatic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Settings" The Academy of Management 12 (12): 637-, 1987

      22 Osman M. Karatepe,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emotional exhaus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on job outcomes of front‐line employees" Emerald 24 (24): 173-193, 2006

      23 Teresa M. Amabile, "The creative environment scales: Work environment inventory" Informa UK Limited 2 (2): 231-253, 1989

      24 W. E. Baker, "The Synergistic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7 (27): 411-427, 1999

      25 Fred Luthans,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nese Workers: Exploring the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1 (1): 249-271, 2005

      26 Ho-young kang,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the Employee`s Performance through Empowerment and Fairness of the Rewards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2011

      27 Pintrich, Paul R., "Student perceptions in the classroom" 1992

      28 Robert Wood, "Social Cognitive Theory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Academy of Management 14 (14): 361-, 1989

      29 Robert L. Woolfolk, "Self-Complexity: An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Guilford Publications 23 (23): 463-474, 2004

      30 Yong min Kim, "Review on creative management research: focusing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7-59, 2010

      31 Connie R. Wanberg, "Predictors and outcomes of openness to changes in a reorganizing workpla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85 (85): 132-142, 2000

      32 G. M. Spreitzer,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The Academy of Management 38 (38): 1442-1465, 1995

      33 FRED LUTHA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ley-Blackwell 60 (60): 541-572, 2007

      34 Deci, Edward L., "Motivation and education: The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26 (26): 325-346, 1991

      35 Teresa M. Amabile, "Motivating Creativity in Organizations: On Doing What You Love and Loving What You D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40): 39-58, 1997

      36 Teresa M. Amabile, "Motivating Creativity in Organizations: On Doing What You Love and Loving What You D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40): 39-58, 1997

      37 Avey, JB,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 Attitudes, Behaviors, and Performance" 2011

      38 Jae Choon Park,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University Staff in Korea" 2012

      39 Zhang, XM,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cademy Of Man 2010

      40 Zhang, XM,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cademy Of Man 2010

      41 Zhang, XM,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cademy Of Man 2010

      42 Peter F. Drucker, "Knowledge-Worker Productivity: The Biggest Challen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41): 79-94, 1999

      43 Deci, E.L., "Intrinsic motivation" Plenum Press 1975

      44 Deci, E.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5

      45 West, M. A.,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Wiley 1990

      46 Csikszentmihalyi,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Perennial 1997

      47 Luthans, Fred, "Experimental analysis of a web-based training intervention to develo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7 :

      48 Michael D. Mumford, "Creativity syndrome: Integration, application, and innov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03 (103): 27-43, 1988

      49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Westview Press 1996

      50 Pamela Tierney, "Creative self-efficacy development and creative performance over tim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6 (96): 277-293, 2011

      51 Filipe Coelho, "Contextual Factors and the Creativity of Frontline Employees: The Mediating Effects of Role Stress and Intrinsic Motivation" Elsevier BV 87 (87): 31-45, 2011

      52 Netemeyer, RG, "Conflicts in Work-Family Interface: Links to Job Stress, Customer Service Employee Performance and Customer Purchase Intent" 2005

      53 Kenneth W. Thomas,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The Academy of Management 15 (15): 666-, 1990

      54 Jing Zhou, "Awakening employee creativity: The role of leader emotional intelligence" Elsevier BV 14 (14): 545-568, 2003

      55 Deci, E. L., "Achievement and motiation" Cambridge Univ 1992

      56 PAMELA TIERNEY, "AN EXAMINATION OF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RELEVANCE OF TRAITS AND RELATIONSHIPS" Wiley-Blackwell 52 (52): 591-620, 1999

      57 Seong-su Choi, "A study for the effects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creativity, trust, and group cohesiveness on the group effectiveness and innovation" 2012

      58 Deci, E. L., "A motivational approach to self: Integration in personality" 38 : 1991

      59 Amabile, T. M.,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10 : 123-167, 1988

      60 Cameron M. Ford, "A Theory of Individual Creative Action in Multiple Social Domains" The Academy of Management 21 (21): 1112-, 1996

      61 양종곤, "6시그마 챔피언의 변혁적 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내재적 동기와 프로젝트 학습과 성장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품질경영학회 39 (39): 256-270,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