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유럽과 미국의 역사학계에서 대립하는 두 접근법, 즉 새로운 지구사와 서발턴 연구를 결합시킨다. 새로운 지구사는 일국적 역사들이 아니라 “지구호”의 역사(브루스 매즐리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25934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1-161(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유럽과 미국의 역사학계에서 대립하는 두 접근법, 즉 새로운 지구사와 서발턴 연구를 결합시킨다. 새로운 지구사는 일국적 역사들이 아니라 “지구호”의 역사(브루스 매즐리쉬)...
이 논문은 유럽과 미국의 역사학계에서 대립하는 두 접근법, 즉 새로운 지구사와 서발턴 연구를 결합시킨다. 새로운 지구사는 일국적 역사들이 아니라 “지구호”의 역사(브루스 매즐리쉬)에 초점을 맞추어 유럽중심주의를 극복하고자 한다. 이런 제안과 서발턴 연구그룹, 특히 디페쉬 차크라바티와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의 비판을 대면시켜 봄으로써, 본고는 서구의 역사적 사고가 새로운 지구사에 심대하면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영향을 미쳤음을 지적한다. 새로운 지구사는 익명적인 전지구적 구조들에 집중한 나머지 개개의 경험들을 담지 못하여 유럽 중심주의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명확해지고 있다. 반대로, 서발턴 연구의 접근법은 전지구적 구조들을 파악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고는 결론적으로 ‘아래로부터의 지구사’를 제안한다. 이 ‘아래로부터의 지구사’는 서발턴 연구의 도전과 맥을 같이 하며, 그들의 비판을 지구사에 적용한다. 역사가들이 해야 할 것은 어떻게 로컬적인 것이 전지구적으로 형성되는지, 동시에 어떻게 전지구적인 것이 로컬적으로 구성되는지를 설명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역사가들은 자신의 서사가 내포한 “중심주의”를, 유럽, 아시아, 세계 그 어느 지역에 초점을 맞춘 것이든, 명시화하여 드러내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links together two conflicting approaches within the European and US-American academic discipline of history: New Global History and Subaltern Studies. New Global History aims to overcome Eurocentrism by focusing on the history of “Spac...
This article links together two conflicting approaches within the European and US-American academic discipline of history: New Global History and Subaltern Studies. New Global History aims to overcome Eurocentrism by focusing on the history of “Spaceship Earth” (Bruce Mazlish) instead of national histories. By confronting this suggestion with the criticism of the Subaltern Studies Group? mainly from Dipesh Chakrabarty and Gayatri Chakravorty Spivak?the article shows the profound but hidden influence of Western historical thinking on New Global History. It becomes obvious that New Global History has not succeeded in overcoming Eurocentrism due to its concentration on anonymous global structures and its failure to include individual experiences. The Subaltern Studies’ approach to history, on the other hand, fails to grasp global structures.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plea for a “global history from below”. This global history from below ties in with the challenge of Subaltern Studies and applies their criticism to global history. What historians have to do is show how the local is formed globally and, at the same time, how the global is put together locally. The article assumes that this is only possible when the historian discloses the “centrism” of his or her narration by making it explicit?be it a “centrism” focusing on Europe, Asia, or whatever region in the world.
목차 (Table of Contents)
[원문] New Global History and the Challenge of Subaltern Studies
로컬리티 연구를 위한 접근방식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한 문화연구
기억이라는 문제, 혹은 사회의 미결성(openness)에 관하여
[원문] 記憶という問題、あるいは社会の未決性(openness)につい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