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mily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FilmsHagang Kim & Heesun K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mily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films that capture the emotions of Korean families. Bef...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25255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223-3238(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Family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FilmsHagang Kim & Heesun K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mily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films that capture the emotions of Korean families. Bef...
A Study on Family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FilmsHagang Kim & Heesun K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mily valu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films that capture the emotions of Korean families. Before the screening of the movie, a family valu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participants, and after the screening of the movie, they were asked to work on a personal activity sheet with structured questions, and a total of 218 cop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gree of view on marriage was the highest among factors related to family values, followed by parental support, children’s view, familyism, and gender role attitude. The higher the gender role attitude, the more important parenting consciousness, family-centered thinking, and the view of children were, and at the same time, the view of marriage was lowered. As a result of the film activity paper, the most impressive aspect of the daughter’s understanding and reconciliation with her mother in the plot of the film was the fact that many answered that they thought that they w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ir parents’ thoughts as a whole through the film. Therefore, I think this study will be a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a film therapy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o establish correct family values by using movies
Key Words: Female College Student, Family Values, Gender Role Attitude, View on Marriage, Movie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를 활용한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 고찰김 하 강**ㆍ강 희 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한국문화의 가족정서를 담은 영화를 활용하여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을 고찰하고 긍정적 가족가치관...
영화를 활용한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 고찰김 하 강**ㆍ강 희 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한국문화의 가족정서를 담은 영화를 활용하여 여대생의 가족 가치관을 고찰하고 긍정적 가족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는 영화치료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S시 소재 여대생 218명을 대상으로 영화 상영 전 가족가치관 설문조사와 영화 상영 후 구조화된 질문으로 개인 활동지 작업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영화 상영 전 설문을 통해 가족가치관 관련 요인인 성역할태도, 부모부양의식, 자녀관, 가족주의, 결혼관의 정도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영화 상영 후 개인 활동지 작업을 하게 하여 가족 가치관을 파악하였다.
결론 및 제언: 가족가치관 관련 요인에서 결혼관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부모부양의식, 자녀관, 가족주의, 성역할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평등의식이 높을수록 부모의 부양, 가족의 중요성, 부모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고, 결혼을 필수라는 생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 활동지 결과, 엄마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긍정적으로 변하는 딸의 모습이 가장 인상적이었고, 자식이 보는 부모님의 모습이 전부가 아니며 전체를 이해하고 싶다는 답변 등이 표현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를 활용하여 여대생들의 긍정적 가족 가치관 정립을 위한 영화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연구가 될 것이라 사료되며, 추후 연구에서는 성별을 고려한 연구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핵심어: 여대생, 가족가치관, 성역할태도, 결혼관, 영화
□ 접수일: 2022년 10월 5일, 수정일: 2022년 10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19년 목포가톡릭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 주저자,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First Author, Mokpo Catholic Univ., Email: khg9090@mcu.ac.kr)*** 교신저자, 순천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unchon National Univ., Email: kanghs@scnu.ac.kr)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율 ; 임성옥, "한국인의 가족가치관과 혈통적 국민정체성이 다문화 배제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 간 감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91-120, 2014
2 왕홍, "한·중 대학생의 가족가치관과 가족건강성의 비교" 646-, 2016
3 이혜경, "장르적 특성에 따른 문학 텍스트 재매개 연구 -소설, 뮤지컬, 영화의 표현방식을 중심으로-" 바른역사학술원 (11) : 59-109, 2022
4 박흥식, "인어공주, 나우필름 제작"
5 심영섭, "영화치료를 위한 영화수첩 50선" 심영출판사 2011
6 김준형 ; 이장희 ; 윤경희,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경찰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9 (9): 97-116, 2012
7 황예슬, "영화를 통한 문화예술교육 활용방안 기초연구 : 한국의 가족문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8 신보경,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32 (32): 99-143, 2021
9 차재호, "세계의 문화와 조직" 학지사 1995
10 민진아, "미혼 여대생의 결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이 미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 강성율 ; 임성옥, "한국인의 가족가치관과 혈통적 국민정체성이 다문화 배제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 간 감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91-120, 2014
2 왕홍, "한·중 대학생의 가족가치관과 가족건강성의 비교" 646-, 2016
3 이혜경, "장르적 특성에 따른 문학 텍스트 재매개 연구 -소설, 뮤지컬, 영화의 표현방식을 중심으로-" 바른역사학술원 (11) : 59-109, 2022
4 박흥식, "인어공주, 나우필름 제작"
5 심영섭, "영화치료를 위한 영화수첩 50선" 심영출판사 2011
6 김준형 ; 이장희 ; 윤경희,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경찰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9 (9): 97-116, 2012
7 황예슬, "영화를 통한 문화예술교육 활용방안 기초연구 : 한국의 가족문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8 신보경,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32 (32): 99-143, 2021
9 차재호, "세계의 문화와 조직" 학지사 1995
10 민진아, "미혼 여대생의 결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이 미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1 렝쳉돌람, "몽골과 한국 대학생의 가족가치관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6
12 김은진,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경험 변인과 결혼관 및 자녀간의 관계 : 성별에 따른차이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20
13 Dermer, S. B., "Utilizing movies in family therapy : Applications for individuals, couples, and families" 29 : 163-180, 2000
14 Wedding, D., "The clinical use of films in psychotherapy" 59 (59): 207-215, 2003
15 Solomon, G., "The Motion picture prescription : Watch this movies and call me in the morning" Aslan Publishing 1995
16 Hesley, J. W., "Rent two films and let’s talk in the morning : Using popular in psychotherapy" Wiley 2001
17 Winnicott, D., "Playing and reality" Routledge 1971
18 Marinai, M., "Patient opinions on The therapeutic factors of cinema therapy: a polot study" 40 (40): 347-352, 2005
19 Bowen, M.,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Jason Aronson 1978
20 Nicols, M. P., "Family therapy : Concepts and methods" Allyn and Bacon 1998
21 Gelhaar, T., "Adolescent coping with everyday stressors : A seven-nation study of youth from central, eastern, southern, and northern Europe" 4 (4): 129-156, 2007
22 이수진, "<블레이드 러너 2049>에 드러난 ‘약함(vulnerability)’의 영화 기표 연구" 한국기호학회 63 : 153-178, 2020
동물교감 집단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애착과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유능성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