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창현, "한일소설형성사-자본이 이상을 몰아내다" 책세상 17-46, 2002
2 김준오, "한국현대장르비평론" 문학과지성사 1990
3 김창현, "한국적 장르론과 장르 보편성" 지식산업사 84-159, 2005
4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271-454, 1977
5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지식산업사 55-242, 1992
6 김창현, "한국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공동체" 제이앤씨 251-262, 2004
7 김학성, "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278-286, 1997
8 Bakhtin, M.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8-61, 1988
9 정출헌, "심청전의 민중정서와 그 형상화 방식 in : 고소설연구1" 태학사 447-479, 1997
10 김창현, "미적범주에 대하여" 도남학회 17 : 23-42, 1998
1 김창현, "한일소설형성사-자본이 이상을 몰아내다" 책세상 17-46, 2002
2 김준오, "한국현대장르비평론" 문학과지성사 1990
3 김창현, "한국적 장르론과 장르 보편성" 지식산업사 84-159, 2005
4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271-454, 1977
5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지식산업사 55-242, 1992
6 김창현, "한국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공동체" 제이앤씨 251-262, 2004
7 김학성, "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278-286, 1997
8 Bakhtin, M.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8-61, 1988
9 정출헌, "심청전의 민중정서와 그 형상화 방식 in : 고소설연구1" 태학사 447-479, 1997
10 김창현, "미적범주에 대하여" 도남학회 17 : 23-42, 1998
11 김준오, "문학사와 장르" 문학과지성사 2000
12 李德懋, "靑莊館全書 卷5-6" 瓔處雜稿
13 一然, "三國遺事" 이회문화사 275-283, 2003
14 金富軾, "三國史記" 을유문화사 350-352, 1996
15 Stanzel, F. K., "Theorie des Erzählens(소설의 이론)" 문학과비평사 18-44, 1990
16 Lamping, Dieter, "Das lyrische Gedicht:Definitionen zu theorie und Geschichte der Gattund(서정시:이론과 역사)" 한길사 35-158, 1982
17 Frye, N., "Anatomy of Criticism(비평의 해부)" 한길사 49-53,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