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이해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understanding of key competency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7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핵심역량을 둘러싼 정책적 논의와 틀을 살펴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이...

      본고는 핵심역량을 둘러싼 정책적 논의와 틀을 살펴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틀을 구안하여 핵심역량 교 육과정의 기본 구상과 골격, 반성적․비판적 견해를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의 골격은 「교과 역량-기능-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행능력으로 표현되는 ‘기능’은 내용 요소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성취기준에 반영되었으 며, 기능과 활동을 바탕으로 역량 수업과 역량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구도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지식의 배제가 아니라 지식을 습득하는 데 머물지않고 학생의 생활 및 삶과 연결하여 지식을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오히려 교과의 본질을 더 잘 드러나게 함과 동시에 교과를 더 잘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접근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한다.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이 보다 발전적으로 제고되기 위해 교과의 틀이나 경계를 흔드는 것보다는 교과 교육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총론의 핵심역량을 범교과 학습과 결합시켜 일반적․범용적 역량으로서의 총론 핵심역량의 기능이 보다 적극적으로 발휘되도록 모색할 필요가 있 음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ing discussions on key competencies and to explore how key competency curriculum of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understood and what possibilities can be found. To this end, the study devised a the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ing discussions on key competencies and to explore how key competency curriculum of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understood and what possibilities can be found. To this end, the study devised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2015 revised curriculum, while reviewing the reflective and critical views on the design of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designed to reflect key competencies on the existing subject curriculum framework. The key competency curriculum consists of ‘subject competencies –skill –activities in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identified wh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and skill and activiti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In addition, the key competencies of General Guideline and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interrelated, but these two are not hierarchical relationships, or one is not included in the other.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Guideline, but it is meaningful in itself.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possibilities of competency curriculum in Korea can be found in the subject curriculum and in cross-curricular them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접근 Ⅲ.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 실제 Ⅳ.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비판적 견해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접근 Ⅲ.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 실제 Ⅳ.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비판적 견해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우,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교실 수업에서의 학생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 정영근, "한국의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SBCD) 유형특징의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3-75, 2002

      3 최승현,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과 교사교육 방안 :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교육혁신위원회,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 2007

      5 김춘일,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의의와 개발·운영을 위한 과제" 12 : 17-38, 1993

      6 최호성,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과제와 전망" 한국교육과정학회 14 (14): 78-105, 1996

      7 황규호, "학교단위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13 : 1-26, 1995

      8 소경희,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05-128, 2007

      9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15-80호[별책2]"

      10 정영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주제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 이정우,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교실 수업에서의 학생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 정영근, "한국의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SBCD) 유형특징의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3-75, 2002

      3 최승현,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과 교사교육 방안 :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4 교육혁신위원회,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 2007

      5 김춘일,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의의와 개발·운영을 위한 과제" 12 : 17-38, 1993

      6 최호성,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과제와 전망" 한국교육과정학회 14 (14): 78-105, 1996

      7 황규호, "학교단위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13 : 1-26, 1995

      8 소경희,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05-128, 2007

      9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15-80호[별책2]"

      10 정영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주제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1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고시 제2015-80호[별책1]"

      12 박순경,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개혁 방안 연구(Ⅰ) : 총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13 황규호, "일반역량 교육 논의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47-271, 2017

      14 홍원표,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5 윤지영, "역량의 총체성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9-45, 2016

      16 홍원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67-86, 2011

      17 한혜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 분석 및 쟁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4, 2018

      18 이주연,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원의 경험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0, 2018

      19 백남진,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7-46, 2014

      20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형 교육과정 구상(안)"

      21 이근호,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2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Ⅱ):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3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총괄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4 윤현진,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5 이근호,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6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 2000 연구 개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구조안" 1996

      27 한혜정, "교육 목적으로서 ‘일반 능력’ 설정에 대한 논의 고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에 주는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18, 2016

      28 이광우,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9 文部科学省, "中学校学習指導要領"

      30 ACARA, "The Australian Curriculum: History"

      31 정영근, "SBCD(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18 (18): 297-322, 2000

      32 홍원표, "Revisi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Korea: Focu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llenges"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39-254, 2017

      33 임유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의 관계성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49-771, 2016

      34 한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초·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35 임유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제시 방식 검토와 스코틀랜드 ‘Curriculum for Excellence’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43-167, 2016

      36 임유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 양상과 실천 요인에 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의 의견 분석 및 논의" 안암교육학회 23 (23): 5-33, 2017

      37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정책연구진 5차 합동 워크숍"

      38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정책연구진 3차 합동 워크숍(Ⅱ)"

      39 이광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이슈 고찰: 인간상, 교육 목표, 교과 역량과의 관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67-94, 2017

      40 한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1 김경자,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 [최종안] 개발 연구" 교육부·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2015

      42 강이화,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역량의 타당성 분석 -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815-835, 2015

      43 권점례,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I) :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4 이광우,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국가교육과정 각론 조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45 이광우,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Ⅰ: 국가교육과정 각론 조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