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밖 생활과학교실 참여 학생에 대한 교육적 효과 = Explor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out-of-school Science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60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esent educational measures by quantitatively analyzing changes in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tific competency for 78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ograms operated by 32 life science classrooms nationwid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was improved through class activities in the life science classroom.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software (SW) education related programs was very high. In addition, interest and interest in fusion classes using drones and robots were high, and expectations for programs tha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ways using drones or robots were very high.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cience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science classroom were positively improved in all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science and core science competencies were further enhanced when participating in the life science classroom program for a long period of more than one y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operate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programs including cutting-edge technology, inquiry, education on social issues, and convergence education, where interest in science and core science competencies can be expande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provide an educational plan to have a quality education system that can be provided for a long time.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present educational measures by quantitatively analyzing changes in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tific competency for 78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ograms operated by 32 life science classrooms nationwide. As a result of this ...

      This study aimed to present educational measures by quantitatively analyzing changes in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tific competency for 781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rograms operated by 32 life science classrooms nationwid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was improved through class activities in the life science classroom.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software (SW) education related programs was very high. In addition, interest and interest in fusion classes using drones and robots were high, and expectations for programs tha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ways using drones or robots were very high.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cience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science classroom were positively improved in all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science and core science competencies were further enhanced when participating in the life science classroom program for a long period of more than one y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operate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programs including cutting-edge technology, inquiry, education on social issues, and convergence education, where interest in science and core science competencies can be expande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provide an educational plan to have a quality education system that can be provided for a long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국 32개 생활과학교실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78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역량의 변화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생들은 생활과학교실 수업 활동을 통해서 과학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었다. 특히, 소프트웨어(SW) 교육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드론이나 로봇 등을 활용한 융합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았으며, 드론이나 로봇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가 매우 높았다. 둘째, 생활과학교실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 역량은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모둠별로 함께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하면서 의사 소통 능력과 협업 능력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생활과학교실 프로그램에 1년 이상의 오랜 기간 참여한 경우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핵심 역량이 더욱 신장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핵심 역량이 골고루 신장시킬 수 있는 첨단 기술, 탐구, 사회 쟁점 교육, 융합 교육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환경 및 제반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며, 장기간 제공할 수 있는 질적인 교육 시스템을 갖출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전국 32개 생활과학교실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78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역량의 변화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

      본 연구는 전국 32개 생활과학교실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78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역량의 변화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생들은 생활과학교실 수업 활동을 통해서 과학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었다. 특히, 소프트웨어(SW) 교육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드론이나 로봇 등을 활용한 융합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았으며, 드론이나 로봇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가 매우 높았다. 둘째, 생활과학교실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 역량은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모둠별로 함께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하면서 의사 소통 능력과 협업 능력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생활과학교실 프로그램에 1년 이상의 오랜 기간 참여한 경우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핵심 역량이 더욱 신장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핵심 역량이 골고루 신장시킬 수 있는 첨단 기술, 탐구, 사회 쟁점 교육, 융합 교육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환경 및 제반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며, 장기간 제공할 수 있는 질적인 교육 시스템을 갖출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숙,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현장학습의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337-344, 2005

      2 권치순,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28, 2004

      3 최윤희,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부모ㆍ학교ㆍ학교 밖 교육 기관에서의 과학 경험의 유형과 그 의미"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580-1598, 2012

      4 송진웅, "국가 수준의 과학문화 실태 진단을 위한 지표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16-331, 2008

      5 김소희,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544-560, 2003

      6 R. Martin,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 Methods for Constructing Understanding" Allyn and Bacon 2002

      7 Janet Kelly, "Rethinking the elementary science methods course: a case for content, pedagogy, and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forma UK Limited 22 (22): 755-777, 2000

      8 H. Yoon, "Informal science education for school science-Science competition and certification awards" 27 : 55-79, 2004

      9 C. Coble,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1996

      10 OECD, "Defining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003

      1 장현숙,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현장학습의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337-344, 2005

      2 권치순,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28, 2004

      3 최윤희,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부모ㆍ학교ㆍ학교 밖 교육 기관에서의 과학 경험의 유형과 그 의미"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580-1598, 2012

      4 송진웅, "국가 수준의 과학문화 실태 진단을 위한 지표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16-331, 2008

      5 김소희,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544-560, 2003

      6 R. Martin,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 Methods for Constructing Understanding" Allyn and Bacon 2002

      7 Janet Kelly, "Rethinking the elementary science methods course: a case for content, pedagogy, and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forma UK Limited 22 (22): 755-777, 2000

      8 H. Yoon, "Informal science education for school science-Science competition and certification awards" 27 : 55-79, 2004

      9 C. Coble,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acmillan 1996

      10 OECD, "Defining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003

      11 하민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 핵심역량 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495-504, 2018

      12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