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삼재배 해가림시설의 기상재해와 구조개선대책 =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Shading Structures against Meteorological Disasters in Ginseng Fiel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0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set up structural improvement strategy against meteorological disasters of the shading structures in ginseng fields, structural safety analyses as well as some case studies of structural damage pattern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ructural safety analysis, allowable safe snow depth for type B(wood frame with single span) was 25.9 cm, and those for type A(wood frame with multi span) and type C and D (steel frame with multi span) were 17.6 cm, 25.8 cm, and 20.0 cm respectively. So types of shading structure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design snow depth. An experiential example study on meteorological disasters indicated that a strong wind damage was experienced once every 20 years, and a heavy snow damage once every 9.5 years. The most serious disasters were caused by heavy snow and it was found that a half break and complete collapse of structures were experienced by about 70% of snow damage. In addition to maintenance, repair and reinforcement, it is also recommended that improved model of shading structures for ginseng cultivation should be developed as a long term countermeasures against meteorological disasters.
      번역하기

      In order to set up structural improvement strategy against meteorological disasters of the shading structures in ginseng fields, structural safety analyses as well as some case studies of structural damage pattern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

      In order to set up structural improvement strategy against meteorological disasters of the shading structures in ginseng fields, structural safety analyses as well as some case studies of structural damage pattern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ructural safety analysis, allowable safe snow depth for type B(wood frame with single span) was 25.9 cm, and those for type A(wood frame with multi span) and type C and D (steel frame with multi span) were 17.6 cm, 25.8 cm, and 20.0 cm respectively. So types of shading structures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design snow depth. An experiential example study on meteorological disasters indicated that a strong wind damage was experienced once every 20 years, and a heavy snow damage once every 9.5 years. The most serious disasters were caused by heavy snow and it was found that a half break and complete collapse of structures were experienced by about 70% of snow damage. In addition to maintenance, repair and reinforcement, it is also recommended that improved model of shading structures for ginseng cultivation should be developed as a long term countermeasures against meteorological disas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삼은 우리 나라의 농가 경제에 크게 기여하는 주요작물이며 수출 유망 종목으로써 발전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 인삼의 약리효능이나 재배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시설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여 재해로 인한 시설피해를 자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인삼재배시설의 구조실태를 조사하여 안전성을 검토하고,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사례를 분석하여 기상재해 대책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표적인 형태의 모델에 대한 구조해석과 안전성 검토 결과 목재시설의 안전적설심은 후주연결식(A형) 17.6 cm, 전후주연결식(B형)은 25.9 cm, 철재 개량시설 C형은 25.8 cm, D형은 20.0 cm로 각각 나타났다. 시설에 따라서는 지역의 설계적설심을 고려하여 선택하거나 보강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도리와 보조서까래를 사용하지 않은 코드사 방식의 경우 적설심 25 cm 정도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처짐을 8∼10 cm 정도로 제한해야 하며, 케이블은 4줄을 사용하고 2줄을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삼재배 농가의 기상재해 경험 사례는 폭설피해가 9.5년에 1회로 가장 높았고, 태풍과 홍수피해 20년, 고온피해는 70년에 1회의 빈도로 재해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피해내용도 폭설피해가 가장 심각하여 구조물이 완전히 붕괴되거나 반파 이상의 피해를 입은 경우가 70% 정도로 나타났다.4. 홍수나 고온에 의한 시설피해는 거의 없고 태풍피해도 심각한 구조적 손상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어 폭설에 대한 재해대책이 가장 중요한 구조개선 사항으로 판단되었으며, 대 농민 설문조사 결과 현재의 목재보다 강한 재료와 저렴한 시설비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5. 평상시 시설의 유지관리, 폭설에 대한 사전준비와 응급조치방법, 폭설 후의 점검과 보수 등 재해대책을 검토하였다. 유지관리와 보수·보강도 중요하지만 항구적인 대책으로는 설치비가 저렴하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인삼생육에도 적합한 인삼재배시설 구조모델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인삼은 우리 나라의 농가 경제에 크게 기여하는 주요작물이며 수출 유망 종목으로써 발전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 인삼의 약리효능이나 재배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시설에 관한 ...

      인삼은 우리 나라의 농가 경제에 크게 기여하는 주요작물이며 수출 유망 종목으로써 발전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 인삼의 약리효능이나 재배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시설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여 재해로 인한 시설피해를 자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인삼재배시설의 구조실태를 조사하여 안전성을 검토하고,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사례를 분석하여 기상재해 대책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표적인 형태의 모델에 대한 구조해석과 안전성 검토 결과 목재시설의 안전적설심은 후주연결식(A형) 17.6 cm, 전후주연결식(B형)은 25.9 cm, 철재 개량시설 C형은 25.8 cm, D형은 20.0 cm로 각각 나타났다. 시설에 따라서는 지역의 설계적설심을 고려하여 선택하거나 보강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도리와 보조서까래를 사용하지 않은 코드사 방식의 경우 적설심 25 cm 정도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처짐을 8∼10 cm 정도로 제한해야 하며, 케이블은 4줄을 사용하고 2줄을 사용해서는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삼재배 농가의 기상재해 경험 사례는 폭설피해가 9.5년에 1회로 가장 높았고, 태풍과 홍수피해 20년, 고온피해는 70년에 1회의 빈도로 재해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피해내용도 폭설피해가 가장 심각하여 구조물이 완전히 붕괴되거나 반파 이상의 피해를 입은 경우가 70% 정도로 나타났다.4. 홍수나 고온에 의한 시설피해는 거의 없고 태풍피해도 심각한 구조적 손상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어 폭설에 대한 재해대책이 가장 중요한 구조개선 사항으로 판단되었으며, 대 농민 설문조사 결과 현재의 목재보다 강한 재료와 저렴한 시설비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5. 평상시 시설의 유지관리, 폭설에 대한 사전준비와 응급조치방법, 폭설 후의 점검과 보수 등 재해대책을 검토하였다. 유지관리와 보수·보강도 중요하지만 항구적인 대책으로는 설치비가 저렴하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인삼생육에도 적합한 인삼재배시설 구조모델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공학회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52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