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文敎科 散文敎育에 있어서美學 原理의 適用과 實踐 方案 硏究 = The study on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for educating the Classical Chinese prose : Its Rationale Implementation and the applying aesthetics princi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5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how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e feature of aesthetic in Chinese prose presents in a Classical Chinese subject. Also it discusses that whe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for educational purpose which plans and theories we are going to present. Al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education of prose is very important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it is not enough to be discussed on how we should organize, structuralize, reflect the Chinese prose in a lesson. For this issue we usually consider the realistic matter however, prior to the matter, this writer think we should find how we will identify and treat the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is the basic problem and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For this I will present the organized goal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is to set the different lesson goals based on the level from basic to advance. Also, I will provide alterations on structure of lesson plan like a multiple planned lessons for one work to help complete understanding which is not only limited by the old system of a period in one chapter.
      All in all, regarding the Classical Chinese prose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reflects the distinct feature, it is needed a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 distinguished from other sentences in Classical Chinese. In this sense, we need the detail processor about when and how the certain contents should be organized and what we should cover in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as well.
      번역하기

      This paper is about how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e feature of aesthetic in Chinese prose presents in a Classical Chinese subject. Also it discusses that whe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for educational purpose which pl...

      This paper is about how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e feature of aesthetic in Chinese prose presents in a Classical Chinese subject. Also it discusses that whe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for educational purpose which plans and theories we are going to present. Al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education of prose is very important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it is not enough to be discussed on how we should organize, structuralize, reflect the Chinese prose in a lesson. For this issue we usually consider the realistic matter however, prior to the matter, this writer think we should find how we will identify and treat the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is the basic problem and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For this I will present the organized goal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is to set the different lesson goals based on the level from basic to advance. Also, I will provide alterations on structure of lesson plan like a multiple planned lessons for one work to help complete understanding which is not only limited by the old system of a period in one chapter.
      All in all, regarding the Classical Chinese prose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reflects the distinct feature, it is needed a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 distinguished from other sentences in Classical Chinese. In this sense, we need the detail processor about when and how the certain contents should be organized and what we should cover in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as we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 중 ‘한문학’, 특히 한문 산문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특질이 한문 교과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으며 그 내용이 적절하게 구성되고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살피면서 향후 한문 교과에서 문학, 특히 한문 산문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고 조직할 때 어떤 계획과 방법론을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문 교과에서 산문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으나, 그것을 어떻게 구조화할 것이고 어떻게 위계화하며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그렇게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근본적인 이유로 우리는 현실적인 문제를 거론하지만, 실제 현실적인 문제에 앞서 필자는 한문 교과에서 문학을 어떻게 취급해야 할 것인가라는 기본적인 문제 인식과 그 해결을 위한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자는 한문 교과의 학습목표의 위계적 목표와, 즉, 초기 학습자로부터 고급 학습자까지 조금씩 다른 학습목표를 제시할 것과 교과서의 1차시 1소단원 학습이라는 암묵적 규율에서 벗어나 조금 더 하나의 작품을 올바르게 감상할 수 있도록 다차시 한 작품의 학습을 위한 구조적 변경을 제시하였다.
      결국 한문 교과에서 시행하는 한문 산문 교육은 문학적 특수성을 반영한 미학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한문 문장들과는 다른 교육적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한문 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 내용이 무엇이며, 어떤 내용을 어떤 시기에 선정하고 어떻게 조직화되어야 하는지 보다 치밀한 설계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고는 이 중 ‘한문학’, 특히 한문 산문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특질이 한문 교과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으며 그 내용이 적절하게 구성되고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살피면서 향후 한문 교과...

      본고는 이 중 ‘한문학’, 특히 한문 산문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특질이 한문 교과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으며 그 내용이 적절하게 구성되고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살피면서 향후 한문 교과에서 문학, 특히 한문 산문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고 조직할 때 어떤 계획과 방법론을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문 교과에서 산문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으나, 그것을 어떻게 구조화할 것이고 어떻게 위계화하며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그렇게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근본적인 이유로 우리는 현실적인 문제를 거론하지만, 실제 현실적인 문제에 앞서 필자는 한문 교과에서 문학을 어떻게 취급해야 할 것인가라는 기본적인 문제 인식과 그 해결을 위한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자는 한문 교과의 학습목표의 위계적 목표와, 즉, 초기 학습자로부터 고급 학습자까지 조금씩 다른 학습목표를 제시할 것과 교과서의 1차시 1소단원 학습이라는 암묵적 규율에서 벗어나 조금 더 하나의 작품을 올바르게 감상할 수 있도록 다차시 한 작품의 학습을 위한 구조적 변경을 제시하였다.
      결국 한문 교과에서 시행하는 한문 산문 교육은 문학적 특수성을 반영한 미학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한문 문장들과는 다른 교육적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한문 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 내용이 무엇이며, 어떤 내용을 어떤 시기에 선정하고 어떻게 조직화되어야 하는지 보다 치밀한 설계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2 노명완, "문식성 연구" 박이정 2002

      3 이병민,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와 미국의 리터러시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17) : 131-172, 2005

      4 "네이버 백과사전"

      5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5)- 외국어(영어), 한문, 정보, 환경, 생활외국어" 2008

      6 교육과학기술부, "(7차)중학교 국어(2)-1" 교육과학기술부

      7 이수철, "(7차)고등학교 한문" 정진출판사

      8 이희목, "(7차)고등학교 한문" (주)천재교육

      9 최상익, "(7차)고등학교 한문" (주)금성출판사

      10 이명학, "(7차)고등학교 한문" 두산동아(주)

      1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2 노명완, "문식성 연구" 박이정 2002

      3 이병민,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와 미국의 리터러시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17) : 131-172, 2005

      4 "네이버 백과사전"

      5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5)- 외국어(영어), 한문, 정보, 환경, 생활외국어" 2008

      6 교육과학기술부, "(7차)중학교 국어(2)-1" 교육과학기술부

      7 이수철, "(7차)고등학교 한문" 정진출판사

      8 이희목, "(7차)고등학교 한문" (주)천재교육

      9 최상익, "(7차)고등학교 한문" (주)금성출판사

      10 이명학, "(7차)고등학교 한문" 두산동아(주)

      11 유성준, "(7차)고등학교 한문" 새한교과서(주)

      12 안재철, "(7차)고등학교 한문" (주)미래엔

      13 신표섭, "(7차)고등학교 한문" 도서출판 대학서림

      14 박갑수, "(7차)고등학교 한문" (주)지학사

      15 김상홍, "(7차)고등학교 한문"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16 김경수, "(7차)고등학교 한문" (주)교학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