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대의 개념과 사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90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concepts of ‘solidarity’ and elucidates the histories of the idea of ‘solidarity’ in Western and Korean society. The modern idea of solidarity which succeeded the idea of fraternity, was developed by socialists and sociologists in the 19th century.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Catholic church also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idea of solidarity and developed its religious and ethical tradition. In Korea, the spirit of solidarity was formed during modernization, but was suppress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Korean authoritarian regimes. In this turbulent period of Korea’s history, ideas of solidarity were introduced, spread, and developed through social science, social movements, and religion.
      번역하기

      This article introduce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concepts of ‘solidarity’ and elucidates the histories of the idea of ‘solidarity’ in Western and Korean society. The modern idea of solidarity which succeeded the idea of fraternity, was de...

      This article introduce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concepts of ‘solidarity’ and elucidates the histories of the idea of ‘solidarity’ in Western and Korean society. The modern idea of solidarity which succeeded the idea of fraternity, was developed by socialists and sociologists in the 19th century.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Catholic church also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idea of solidarity and developed its religious and ethical tradition. In Korea, the spirit of solidarity was formed during modernization, but was suppress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Korean authoritarian regimes. In this turbulent period of Korea’s history, ideas of solidarity were introduced, spread, and developed through social science, social movements, and relig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글
      • 2. 연대의 개념
      • 3. 서구 연대사상의 세 전통
      • 4. 한국의 연대정신과 관념
      • 5. 마무리하며
      • 1. 들어가는 글
      • 2. 연대의 개념
      • 3. 서구 연대사상의 세 전통
      • 4. 한국의 연대정신과 관념
      • 5. 마무리하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수, "한국헌법사" 학문사 2001

      2 강수택, "한국사회의 이념경계의 변화와 경계 넘기, In 우리사회의 경계 어떻게 긋고 지울 것인가"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8

      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단연구자료 제1집 : 정당의 기구 기능과 정강·정책·당헌 등"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65

      4 최성환, "오늘날 연대란 무엇인가" 한울 아카데미 2008

      5 강수택, "연대주의" 한길사 2012

      6 박명림, "시민적 공화주의를 위하여"

      7 강수택, "시민연대사회" 아르케 2007

      8 브라운, "사회연대의 이론과 실천" EM 커뮤니티 2006

      9 하구천, "사조개설" 세문사 1955

      10 방귀희, "불교복지의 기본사상" 21 : 1987

      1 김영수, "한국헌법사" 학문사 2001

      2 강수택, "한국사회의 이념경계의 변화와 경계 넘기, In 우리사회의 경계 어떻게 긋고 지울 것인가"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8

      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단연구자료 제1집 : 정당의 기구 기능과 정강·정책·당헌 등"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65

      4 최성환, "오늘날 연대란 무엇인가" 한울 아카데미 2008

      5 강수택, "연대주의" 한길사 2012

      6 박명림, "시민적 공화주의를 위하여"

      7 강수택, "시민연대사회" 아르케 2007

      8 브라운, "사회연대의 이론과 실천" EM 커뮤니티 2006

      9 하구천, "사조개설" 세문사 1955

      10 방귀희, "불교복지의 기본사상" 21 : 1987

      11 김윤환, "복지국가의 이념과 체제"

      12 김윤환, "복지국가의 기본이념" 경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산업관계연구소 (5) : 1980

      13 크로포트킨, "만물은 서로 돕는다" 르네상스 2005

      14 임중재, "동학사상의 근대적 개체성 논리와 인간관에 관한 고찰" (4) : 2002

      15 오문환, "동학사상에서의 자율성과 공공성" 한국정치학회 36 (36): 7-24, 2002

      16 오문환, "동학(천도교)의 인권사상: 인권의 보편성과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동학학회 (17) : 127-153, 2009

      17 신용하, "독립협회의 민족주의와 의회민주주의" 23 : 1990

      18 신룡진, "독립협회론" (7) : 1897

      19 안병진, "대한민국 ‘레짐 체인지’" (135) : 2007

      20 박세일, "공동체자유주의 : 이념과 정책"

      21 기독교사상 편집부, "WCC 제6차 총회의 논제" 1983

      22 Scheler, M., "Vom Umsturz der Werte" Francke Verlag 1972

      23 Durkheim, E.,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The Free Press 1984

      24 Pesch, H., "Lehrbuch der Nationalökonomie" Herdersche Velagshandlung 1905

      25 Ozouf, M., "Fraternity, In A Critical Dictionary of the French Revolution"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26 풍년사 편집부, "(최신)일반상식문제집" 풍년사 196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