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오현 규암 송인수의 수기치인 공부론과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 = Xiujizhiren(修己治人)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 of Jeju Ohyun Kyuam Song Ins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1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오현 중 한 사람인 규암 송인수의 공부론과 교육실천의 내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송인수는 수기치인의 공부론을 바탕으로 평생 도학적 삶을 살았던 인물...

      본 연구는 제주오현 중 한 사람인 규암 송인수의 공부론과 교육실천의 내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송인수는 수기치인의 공부론을 바탕으로 평생 도학적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그는 교육내용으로 『소학』과 『대학』을 중시하였으며, 존덕성(尊德性) 측면의 수양보다는 도문학(道問學) 측면의 학문을 통한 배움을 강조하였다. 성균관 대사성 재임 때에는 유생들에게 도학(道學)과 의리(義理)를 강론하였다. 전라도 관찰사 재임시 『소학』을 적극적으로 보급하고, 정려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지방의 풍습 교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규암은 백성들의 고단한 삶을 아파하는 애민정신의 모습으로 과도한 세금과 궁중의 사치를 개선할 것을 강하게 요청하였다. 그 역시 의(義)와 이(利)를 분별해 이록(利祿)을 탐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송인수의 공부론과 교육실천의 구체적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송인수가 왜 귤림서원에 배향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工夫) and educational practice of Kyuam Song Insu, one of Jeju Ohyeon. Song Insu lived a moral life, following the Xiujizhiren(修己治人) theory of self-cultivation during his l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工夫) and educational practice of Kyuam Song Insu, one of Jeju Ohyeon. Song Insu lived a moral life, following the Xiujizhiren(修己治人) theory of self-cultivation during his lifetime. He emphasized 『Sohak』and 『Daehak』as educational content and emphasized learning through studying Tao literature rather than cultivation in terms of dignity and virtue. During his service as an ambassador at Sungkyunkwan, he lectured in Dohak(道學) and Uiri(義理). During his service as a governor of Jeolla-do, he actively disseminated 『Sohak』and strived to edify local customs,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policy of Jeongryeo. Kyuam strongly claimed adjustment of excessive taxes and royal extravagances for ameliorating the lives of people suffering from poverty. He also distinguished between justice and private interests and did not pursue private interests. This study helped confirm the specific aspects of Song Insu's self-cultivation philosophy and educational practice and understand the reason why Song Insu was enshrined in Gyulim Seow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황금중, "한국유학사상대계 Ⅴ-敎育思想編" 한국국학진흥원 353-452, 2006

      3 오석원,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4 강동호, "충암 김정의 교육사상과 제주교육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철학학회 42 (42): 1-32, 2020

      5 이종태, "조선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60-89, 1996

      6 송인수, "역주 규암선생문집" 제주교육박물관 2014

      7 이영권, "새로 쓰는 제주사" 휴머니스트 2005

      8 "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강문종, "귤림서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9

      10 안동교, "규암 송인수의 학문과 의리정신의 구현" 유학연구소 45 : 1-28, 2018

      1 "論語"

      2 황금중, "한국유학사상대계 Ⅴ-敎育思想編" 한국국학진흥원 353-452, 2006

      3 오석원,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4 강동호, "충암 김정의 교육사상과 제주교육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철학학회 42 (42): 1-32, 2020

      5 이종태, "조선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60-89, 1996

      6 송인수, "역주 규암선생문집" 제주교육박물관 2014

      7 이영권, "새로 쓰는 제주사" 휴머니스트 2005

      8 "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강문종, "귤림서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9

      10 안동교, "규암 송인수의 학문과 의리정신의 구현" 유학연구소 45 : 1-28, 2018

      11 허권수, "규암 송인수의 선비정신과 시세계"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13 : 109-127, 2006

      12 윤종빈, "규암 송인수의 생애와 경세사상"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13 : 129-171, 2006

      13 이해준, "규암 송인수의 사후 평가와 추숭활동"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16 : 111-139, 2007

      14 양진건, "齊州五賢의 敎學活動硏究"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7 : 229-250, 1988

      15 "高峯集"

      16 "經國大典"

      17 "河西集"

      18 "朝鮮王朝實錄"

      19 양진건, "朝鮮時代濟州敎育思想史硏究" 단국대학교 1991

      20 "書經"

      21 윤인현, "晦齋 李彦迪을 통해본 16세기 전기조선의 思想的 특징"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47 (47): 203-241, 2016

      22 "宋子大全"

      23 "孟子"

      24 "圭菴集"

      25 오석원, "圭菴 宋麟壽의 의리사상" 한국유교학회 (29) : 337-362, 2007

      26 "南冥集"

      27 송희준, "『心經』「尊德性齋銘」장의 尊德性과 道問學에 대한 시비" 영남퇴계학연구원 (13) : 61-8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KCI등재
      2011-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8 1.2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