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화정, "학습자의 삶을 담은 지역‧현대사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부산 충렬사를 주제로 한 P고등학교의 역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53 : 25-58, 2018
2 강봉룡, "초등학교 향토사교육의 실제와 지향점" 역사교육연구회 (87) : 131-151, 2003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1992; 1997)"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7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사회" 교육부 2001
8 경기도교육연구원, "초등역사교육 현황 및 교사인식 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9 양금주, "초등사회과 향토사 교육의 현황" 역사문화학회 5 (5): 7-28, 2002
10 배진하, "중등학교 향토사 현장교육의 이론과 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30 : 833-877, 2006
1 강화정, "학습자의 삶을 담은 지역‧현대사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부산 충렬사를 주제로 한 P고등학교의 역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53 : 25-58, 2018
2 강봉룡, "초등학교 향토사교육의 실제와 지향점" 역사교육연구회 (87) : 131-151, 2003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1992; 1997)"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7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사회" 교육부 2001
8 경기도교육연구원, "초등역사교육 현황 및 교사인식 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9 양금주, "초등사회과 향토사 교육의 현황" 역사문화학회 5 (5): 7-28, 2002
10 배진하, "중등학교 향토사 현장교육의 이론과 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30 : 833-877, 2006
11 김희준, "중등학교 향토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역사문화학회 5 (5): 151-182, 2002
12 최태정, "역사학습지도의 원리와 실제" 느티나무 1997
13 박주현, "역사탐구체험으로서의 영국의지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7-36, 2011
14 강선주,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2007
15 유승광, "역사교육에서 지역사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구성 방안" 호서사학회 1 (1): 301-334, 2006
16 양정현, "역사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 모색- 지역사·현대사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 효원사학회 53 : 1-24, 2018
17 이윤갑, "생활세계로서의 지방사회와 지방사연구" 64 : 1-24, 2001
18 문교부, "국민학교 교육과정(1946; 1955; 1963; 1973; 1982; 1987)"
19 김만곤,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지역교과서의 편찬" 10 : 11-40, 1998
20 신용균, "거창지역의 기록과 지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41) : 197-219, 2017
21 허영훈,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대비한 초등학교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 연구-경기도 안성 지역을 사례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75-102,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