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지역사 교육과정의 변화와 방향 모색 = Finding Changes and Directions for the Elementary Community History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6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history research has been expand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micro history, daily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instead of focusing on central history. Community history education is one of the alternatives. In this paper, I looked into the changes in the history and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here history education began in earnest, and how local history education is performed. Local history education requires the development of local history, curriculum, textbooks and various programs. In addition, local histor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history teache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and central history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integration and linkage between schools should be strengthened in history and curriculum.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evaluation method. And serious worries should be continued for education that is wary of the instrumentation of history and faithful to the original meaning of historical inquiry.
      번역하기

      Recently, history research has been expand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micro history, daily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instead of focusing on central history. Community history education is one of the alternatives. In this paper, I looked ...

      Recently, history research has been expand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micro history, daily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instead of focusing on central history. Community history education is one of the alternatives. In this paper, I looked into the changes in the history and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here history education began in earnest, and how local history education is performed. Local history education requires the development of local history, curriculum, textbooks and various programs. In addition, local histor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history teache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and central history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integration and linkage between schools should be strengthened in history and curriculum.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evaluation method. And serious worries should be continued for education that is wary of the instrumentation of history and faithful to the original meaning of historical inqui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역사연구는 중앙사 중심에서 벗어나 미시사, 일상사, 문화사 등 다양한 관점으로 확대되고 있다. 역사교육에서도 중앙사 중심의 획일화된 역사교육보다는 다각적 시각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지역사 교육은 그 대안 가운데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역사 교육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초등학교 역사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그 안에서 지역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지역사 교육을 위해서는 지역 단위의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지역사 교육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와 중앙사의 관계를 정립해야 하며,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학교급별 계열화와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평가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뿐 아니라 향후 역사의 도구화를 경계하고 역사 탐구라는 본래의 의미에 충실한 지역사 교육을 위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최근 역사연구는 중앙사 중심에서 벗어나 미시사, 일상사, 문화사 등 다양한 관점으로 확대되고 있다. 역사교육에서도 중앙사 중심의 획일화된 역사교육보다는 다각적 시각을 확보하려는 ...

      최근 역사연구는 중앙사 중심에서 벗어나 미시사, 일상사, 문화사 등 다양한 관점으로 확대되고 있다. 역사교육에서도 중앙사 중심의 획일화된 역사교육보다는 다각적 시각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지역사 교육은 그 대안 가운데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역사 교육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초등학교 역사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그 안에서 지역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지역사 교육을 위해서는 지역 단위의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지역사 교육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와 중앙사의 관계를 정립해야 하며,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학교급별 계열화와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평가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뿐 아니라 향후 역사의 도구화를 경계하고 역사 탐구라는 본래의 의미에 충실한 지역사 교육을 위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화정, "학습자의 삶을 담은 지역‧현대사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부산 충렬사를 주제로 한 P고등학교의 역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53 : 25-58, 2018

      2 강봉룡, "초등학교 향토사교육의 실제와 지향점" 역사교육연구회 (87) : 131-151, 2003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1992; 1997)"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7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사회" 교육부 2001

      8 경기도교육연구원, "초등역사교육 현황 및 교사인식 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9 양금주, "초등사회과 향토사 교육의 현황" 역사문화학회 5 (5): 7-28, 2002

      10 배진하, "중등학교 향토사 현장교육의 이론과 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30 : 833-877, 2006

      1 강화정, "학습자의 삶을 담은 지역‧현대사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부산 충렬사를 주제로 한 P고등학교의 역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53 : 25-58, 2018

      2 강봉룡, "초등학교 향토사교육의 실제와 지향점" 역사교육연구회 (87) : 131-151, 2003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1992; 1997)"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7 교육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사회" 교육부 2001

      8 경기도교육연구원, "초등역사교육 현황 및 교사인식 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9 양금주, "초등사회과 향토사 교육의 현황" 역사문화학회 5 (5): 7-28, 2002

      10 배진하, "중등학교 향토사 현장교육의 이론과 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효원사학회 30 : 833-877, 2006

      11 김희준, "중등학교 향토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역사문화학회 5 (5): 151-182, 2002

      12 최태정, "역사학습지도의 원리와 실제" 느티나무 1997

      13 박주현, "역사탐구체험으로서의 영국의지역사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14) : 7-36, 2011

      14 강선주,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2007

      15 유승광, "역사교육에서 지역사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구성 방안" 호서사학회 1 (1): 301-334, 2006

      16 양정현, "역사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 모색- 지역사·현대사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 효원사학회 53 : 1-24, 2018

      17 이윤갑, "생활세계로서의 지방사회와 지방사연구" 64 : 1-24, 2001

      18 문교부, "국민학교 교육과정(1946; 1955; 1963; 1973; 1982; 1987)"

      19 김만곤,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지역교과서의 편찬" 10 : 11-40, 1998

      20 신용균, "거창지역의 기록과 지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41) : 197-219, 2017

      21 허영훈,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대비한 초등학교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 연구-경기도 안성 지역을 사례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75-10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