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당시 ‘석양’ 의상과 조사 양상- 최경창과 이달 = A Study on The Expressing Aspect of Meaningful Images in Samdangsi ‘Sunset’- A Focus on Choi Gyeong Chang and Lee D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89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ek Gwang-Hun, Choi Gyeong-Chang and Lee Dal as Samdangsi poets in Mongnengsungseki did not use difficult rhetoric and authentic precedents but used easy words derived from their life.
      They implicated common poetic words for which emotion is combined into scenery in short phrases through aesthetic arrangements according to rhym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rhetoric expression in characteristics phrases of Samdangsi poets for which emotion is combined with scenery as their representative meaning image.
      Choi Gyeong-Chang investigated the images of sunset such as evening, Mo, setting sun, Man(night), sunset and twilight to express sad feeling such as idleness, loneliness, journey and separation. Lee Dal used Mo, evening, sunset, setting sun and twilight to calmly configure feelings of idleness, loneliness and melancholy. Choi Gyeong-Chang’s sunset image had a something in common with Paek Gwang-Hun’s Munae. All of the Samdangsi poets expressed idleness of rivers and mountains through images of sunset.
      번역하기

      Paek Gwang-Hun, Choi Gyeong-Chang and Lee Dal as Samdangsi poets in Mongnengsungseki did not use difficult rhetoric and authentic precedents but used easy words derived from their life. They implicated common poetic words for which emotion is combined...

      Paek Gwang-Hun, Choi Gyeong-Chang and Lee Dal as Samdangsi poets in Mongnengsungseki did not use difficult rhetoric and authentic precedents but used easy words derived from their life.
      They implicated common poetic words for which emotion is combined into scenery in short phrases through aesthetic arrangements according to rhym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rhetoric expression in characteristics phrases of Samdangsi poets for which emotion is combined with scenery as their representative meaning image.
      Choi Gyeong-Chang investigated the images of sunset such as evening, Mo, setting sun, Man(night), sunset and twilight to express sad feeling such as idleness, loneliness, journey and separation. Lee Dal used Mo, evening, sunset, setting sun and twilight to calmly configure feelings of idleness, loneliness and melancholy. Choi Gyeong-Chang’s sunset image had a something in common with Paek Gwang-Hun’s Munae. All of the Samdangsi poets expressed idleness of rivers and mountains through images of suns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릉성세기의 삼당시인 백광훈, 최경창, 이달은 까다로운 수사와 난해한 전고의 사용 등을 배제하고 자신들의 삶에서 우러나온 진솔한 정서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표현하였다.
      이들은 정과 경이 하나로 융합된 평범한 의상의 시어를 찾아 압운(rhyme)에 따른 미적 배치[措辭]를 통해 짧은 절구에 함축(implication)시켜 자신의 청징한 정서를 한껏 담아내었다. 이 글에서는 그 대표적 의상(意象)인 ‘석양’의 정·경 융합이 당대의 다른 시인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삼당시인들만의 특성인바 이의 절구에서의 수사학적(rhetoric) 조사 양상을 살펴 그 특징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최경창은 日夕, 暮, 落日, 晩, 夕陽, 黃昏 등의 ‘석양’ 이미지를 조사하여 閑情, 외로움, 여정, 이별 등의 정서를 서글프게 그려냈고, 이달은 暮, 日夕, 夕陽, 落日, 黃昏, 夕暉 등을 조사하여 閑情, 외로움, 여수 등의 느낌을 덤덤하게 형상화하였다.최경창의 ‘석양’ 의상은 백광훈의 ‘석양’ 의상 無奈의 서글픔과 상통하고 삼당시인 모두 ‘석양’ 의상으로 산수전원의 閑情을 그려냈다.
      번역하기

      목릉성세기의 삼당시인 백광훈, 최경창, 이달은 까다로운 수사와 난해한 전고의 사용 등을 배제하고 자신들의 삶에서 우러나온 진솔한 정서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표현하였다. 이들은 정...

      목릉성세기의 삼당시인 백광훈, 최경창, 이달은 까다로운 수사와 난해한 전고의 사용 등을 배제하고 자신들의 삶에서 우러나온 진솔한 정서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표현하였다.
      이들은 정과 경이 하나로 융합된 평범한 의상의 시어를 찾아 압운(rhyme)에 따른 미적 배치[措辭]를 통해 짧은 절구에 함축(implication)시켜 자신의 청징한 정서를 한껏 담아내었다. 이 글에서는 그 대표적 의상(意象)인 ‘석양’의 정·경 융합이 당대의 다른 시인들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삼당시인들만의 특성인바 이의 절구에서의 수사학적(rhetoric) 조사 양상을 살펴 그 특징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최경창은 日夕, 暮, 落日, 晩, 夕陽, 黃昏 등의 ‘석양’ 이미지를 조사하여 閑情, 외로움, 여정, 이별 등의 정서를 서글프게 그려냈고, 이달은 暮, 日夕, 夕陽, 落日, 黃昏, 夕暉 등을 조사하여 閑情, 외로움, 여수 등의 느낌을 덤덤하게 형상화하였다.최경창의 ‘석양’ 의상은 백광훈의 ‘석양’ 의상 無奈의 서글픔과 상통하고 삼당시인 모두 ‘석양’ 의상으로 산수전원의 閑情을 그려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영섭, "한시작법의 정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2 이가원, "한국한문학사" 보성문화사 1979

      3 선지영, "최경창(崔慶昌)의 시세계와 특성" 한국시가문화학회 (48) : 77-110, 2021

      4 김영국, "중국의 산수전원시" 계백 2002

      5 王力, "중국시율학 1" 소명출판 2007

      6 김규선, "역대시화1 - 시품, 시식, 이십사시품" 소명출판 2013

      7 李鍾虎, "손곡 李達과 三唐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1

      8 최미란, "손곡 이달의 영회시에 대한 일고"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17 : 2019

      9 유현숙, "손곡 이달의 시 연구" 동국대 1987

      10 조영임, "삼당시인의 시세계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4

      1 하영섭, "한시작법의 정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9

      2 이가원, "한국한문학사" 보성문화사 1979

      3 선지영, "최경창(崔慶昌)의 시세계와 특성" 한국시가문화학회 (48) : 77-110, 2021

      4 김영국, "중국의 산수전원시" 계백 2002

      5 王力, "중국시율학 1" 소명출판 2007

      6 김규선, "역대시화1 - 시품, 시식, 이십사시품" 소명출판 2013

      7 李鍾虎, "손곡 李達과 三唐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1

      8 최미란, "손곡 이달의 영회시에 대한 일고"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17 : 2019

      9 유현숙, "손곡 이달의 시 연구" 동국대 1987

      10 조영임, "삼당시인의 시세계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4

      11 김영국, "백광훈 시 ‘석양’ 이미지의 시어 구성 양상" 한국시가문화학회 (42) : 257-278, 2018

      12 김진욱, "孤竹 崔慶昌 漢詩 風格 硏究" 한국시가문화학회 (44) : 57-82, 2019

      13 "三唐集" 해동문화사 1985

      14 김금숙, "三唐詩人의 詩에 나타난 世界 認識 硏究 - ‘길’에서의 시적 자아의 움직임을 中心으로" 한국한문고전학회 32 (32): 163-196, 2016

      15 조달순, "三唐詩" 태학사 1999

      16 강석중, "『國朝詩刪』의 평어 연구-三唐詩人의 한시를 중심으로" 한국한시학회 (24) : 87-122, 2016

      17 윤재환, "『三唐集』을 통해 본 조선 중기 문인들의 이별 그리고 그리움의 변주-삼당 사이의 교유시를 중심으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7 : 7-35, 2009

      18 嶽秋菊, "“三唐詩人”詩歌藝術特色論析" 山東大學威海分校 (10) :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9-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 한국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ociety of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9-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 한국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 The Studies in Korean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시가문학회 -> 한국고시가문화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4-07-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시가연구 -> 한국고시가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ociety Korean Classic Poetry -> The Studies in Korean Classic Poetr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12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