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년의 한국인에서 하루 칼슘 섭취와 비만 = Daily Calcium Intake and Obesity in Middle-aged Kore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9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칼슘 섭취와 비만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년 인구 및 노년 인구에 있어, 하루에 섭취하는 칼슘의 양이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2007년 3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40대에서 60대 사이의 건강한 일반인 836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하였다. 하루 칼슘 섭취량은 24시간 회상법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비만은 체질량지수 25 kg/㎡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칼슘 섭취량 차이에 따른 비만의 위험도는 다중 회귀 분석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50대 여성에 있어서 비만한 여성의 경우는 비만하지 않은 여성에 비하여 하루 칼슘 섭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비만한 여성 vs. 비만하지 않은 여성; 672.19 ± 240.64 mg vs 776.11 ± 213.59 mg, P = 0.016). 하루 칼슘 섭취량을 사분위수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가장 칼슘 섭취량이 낮은 군에서는 칼슘 섭취량이 많은 군에 비하여 나이와 하루 중 섭취한 총 열량을 보정한 비만의 위험도가 4.82 (95% CI 1.49-19.43, P = 0.016)였다. 한편 하루 칼슘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간에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남성의 경우는 비만과 대사증후군 모두 하루 칼슘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하루 칼슘 섭취량은 50대 중년 여성에서 비만의 유병률과 관계가 있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칼슘 섭취와 비만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년 인구 및 노년 인구에 있어, 하루에 섭취하는 칼슘의 양이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어떤 관계를 ...

      연구배경: 칼슘 섭취와 비만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년 인구 및 노년 인구에 있어, 하루에 섭취하는 칼슘의 양이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2007년 3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40대에서 60대 사이의 건강한 일반인 836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하였다. 하루 칼슘 섭취량은 24시간 회상법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비만은 체질량지수 25 kg/㎡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칼슘 섭취량 차이에 따른 비만의 위험도는 다중 회귀 분석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50대 여성에 있어서 비만한 여성의 경우는 비만하지 않은 여성에 비하여 하루 칼슘 섭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비만한 여성 vs. 비만하지 않은 여성; 672.19 ± 240.64 mg vs 776.11 ± 213.59 mg, P = 0.016). 하루 칼슘 섭취량을 사분위수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가장 칼슘 섭취량이 낮은 군에서는 칼슘 섭취량이 많은 군에 비하여 나이와 하루 중 섭취한 총 열량을 보정한 비만의 위험도가 4.82 (95% CI 1.49-19.43, P = 0.016)였다. 한편 하루 칼슘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간에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남성의 경우는 비만과 대사증후군 모두 하루 칼슘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하루 칼슘 섭취량은 50대 중년 여성에서 비만의 유병률과 관계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ones BH, "Upregulation of adipocyte metabolism by agouti protein: possible paracrine actions in yellow mouse obesity" 270 (270): E192-E196, 1996

      2 Zemel MB, "Regulation of adiposity by dietary calcium" 14 (14): 1132-1138, 2000

      3 Draznin B, "Possible role of cytosolic free calcium concentrations in mediating insulin resistance of obesity and hyperinsulinemia" 82 (82): 1848-1852, 1988

      4 Papakonstantinou E, "High dietary calcium reduces body fat content, digestibility of fat, and serum vitamin D in rats" 11 (11): 387-394, 2003

      5 Lally P, "Healthy habits: efficacy of simple advice on weight control based on a habit-formation model" 32 (32): 700-707, 2008

      6 Slentz CA, "Effects of the amount of exercise on body weight, body composition, and measures of central obesity: STRRIDE--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164 (164): 31-39, 2004

      7 Shah NP, "Effects of milk-derived bioactives: an overview" 84 (84): S3-S10, 2000

      8 Kirkwood L, "Effects of advice on dietary intake and/or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following a low-fat, sucrose-containing, high -carbohydrate, energy-restricted diet" 58 (58): 338-397, 2007

      9 Buchowski MS, "Dietary calcium intake in lactose maldigesting intolerant and tolerant African-American women" 21 (21): 47-54, 2002

      10 Pereira MA, "Dairy consumption, obesity, and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young adults: the CARDIA Study" 287 (287): 2081-2089, 2002

      1 Jones BH, "Upregulation of adipocyte metabolism by agouti protein: possible paracrine actions in yellow mouse obesity" 270 (270): E192-E196, 1996

      2 Zemel MB, "Regulation of adiposity by dietary calcium" 14 (14): 1132-1138, 2000

      3 Draznin B, "Possible role of cytosolic free calcium concentrations in mediating insulin resistance of obesity and hyperinsulinemia" 82 (82): 1848-1852, 1988

      4 Papakonstantinou E, "High dietary calcium reduces body fat content, digestibility of fat, and serum vitamin D in rats" 11 (11): 387-394, 2003

      5 Lally P, "Healthy habits: efficacy of simple advice on weight control based on a habit-formation model" 32 (32): 700-707, 2008

      6 Slentz CA, "Effects of the amount of exercise on body weight, body composition, and measures of central obesity: STRRIDE--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164 (164): 31-39, 2004

      7 Shah NP, "Effects of milk-derived bioactives: an overview" 84 (84): S3-S10, 2000

      8 Kirkwood L, "Effects of advice on dietary intake and/or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following a low-fat, sucrose-containing, high -carbohydrate, energy-restricted diet" 58 (58): 338-397, 2007

      9 Buchowski MS, "Dietary calcium intake in lactose maldigesting intolerant and tolerant African-American women" 21 (21): 47-54, 2002

      10 Pereira MA, "Dairy consumption, obesity, and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young adults: the CARDIA Study" 287 (287): 2081-2089, 2002

      11 Byyny RL, "Cytosolic calcium and insulin resistance in elderly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5 (5): 459-464, 1992

      12 Kwak JS,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ver 3.0 In Korean Nutrition Society 2006"

      13 Abrams SA, "Calcium turnover and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60 (60): 283-289, 2001

      14 Davies KM, "Calcium intake and body weight" 85 (85): 4635-4638, 2005

      15 Davies KM, "Calcium intake and body weight" 85 (85): 4635-4638, 2000

      16 Zemel MB, "Calcium and dairy acceleration of weight and fat loss during energy restriction in obese adults" 12 (12): 582-59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3-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비만학회지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2017-03-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7-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1.1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