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자의 매체 텍스트 제작 경험에 대한 연구 - 고등학생의 UCC 제작 경험을 중심으로 - = A Case Study on Leaners’ Experiences of MediaText Production -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in making UCC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9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learners’ experience of media text production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What do they experience during each stage of media text production, and what important educational experiences do they gain through the whole project? To determine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wo group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produced UCC in the Korean clas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students’ experience during each stage of media text production, and the meaning of media text making practice as a Korean educational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rough each stage of media text production, leaners experienc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and problem solving. Additionally, they need the teacher’s assistance in learning how media language works and in supervising each stage of a long-term project. The students in this study reported that through the whole project, they facilitated the active communication of multimodal media: they learned new ways of expression using multimedia, experienced differences of opinions, and participated in social communi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deals with learners’ experience of media text production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What do they experience during each stage of media text production, and what important educational experiences do they gain through the whole project? ...

      This study deals with learners’ experience of media text production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What do they experience during each stage of media text production, and what important educational experiences do they gain through the whole project? To determine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wo group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produced UCC in the Korean clas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students’ experience during each stage of media text production, and the meaning of media text making practice as a Korean educational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rough each stage of media text production, leaners experienc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and problem solving. Additionally, they need the teacher’s assistance in learning how media language works and in supervising each stage of a long-term project. The students in this study reported that through the whole project, they facilitated the active communication of multimodal media: they learned new ways of expression using multimedia, experienced differences of opinions, and participated in social commun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매체언어 생산 교육 실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학습자의 매체 텍스트 제작 경험 양상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학습자 주도적인 과정에서 그들은 어떠한 과정을 경험하였고, 그 활동을 통해 얻게 된 유의미한 교육적 경험은 무엇인가? 이러한 경험 양상을 탐색하기 위해 UCC를 제작한 고등학교 학습자 2모둠,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의 경험은 매체 텍스트 제작 과정에 대한 경험과 매체 텍스트 제작 활동을 통해 얻게 된 유의미한 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학습자들에게 매체 텍스트 제작 경험은 시간적, 기술적 부담이 큰 경험이면서도 한편으로 재미있고,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 매체 텍스트 제작 과정과 관련하여 주제의 선택, 주제의 형상화, 매체적 장면화, 매체언어의 의미 작용에 대한 학습, 적극적 의미 구성 과정으로서의 편집의 의미 인식과,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각 단계별 교사의 점검과 진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매체 텍스트 제작 활동을 통해 얻은 유의미한 교육적 경험으로 학습자들은 그들이 복합 양식 매체를 통한 적극적인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한 경험을 진술했다. 학습자들은 자기평가를 통해 다매체를 이용한 새로운 표현 방법을 터득할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는 민주적 의사결정의 과정과 협력을 경험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큰 사회적 의사소통에 참여할 수 있었다는 것을 유의미하게 생각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매체언어 생산 교육 실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학습자의 매체 텍스트 제작 경험 양상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학습자 주도적인 과정에서 그들은 어떠한 과정을 경험하였고,...

      이 연구는 매체언어 생산 교육 실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학습자의 매체 텍스트 제작 경험 양상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학습자 주도적인 과정에서 그들은 어떠한 과정을 경험하였고, 그 활동을 통해 얻게 된 유의미한 교육적 경험은 무엇인가? 이러한 경험 양상을 탐색하기 위해 UCC를 제작한 고등학교 학습자 2모둠,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의 경험은 매체 텍스트 제작 과정에 대한 경험과 매체 텍스트 제작 활동을 통해 얻게 된 유의미한 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학습자들에게 매체 텍스트 제작 경험은 시간적, 기술적 부담이 큰 경험이면서도 한편으로 재미있고,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 매체 텍스트 제작 과정과 관련하여 주제의 선택, 주제의 형상화, 매체적 장면화, 매체언어의 의미 작용에 대한 학습, 적극적 의미 구성 과정으로서의 편집의 의미 인식과,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각 단계별 교사의 점검과 진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매체 텍스트 제작 활동을 통해 얻은 유의미한 교육적 경험으로 학습자들은 그들이 복합 양식 매체를 통한 적극적인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한 경험을 진술했다. 학습자들은 자기평가를 통해 다매체를 이용한 새로운 표현 방법을 터득할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는 민주적 의사결정의 과정과 협력을 경험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큰 사회적 의사소통에 참여할 수 있었다는 것을 유의미하게 생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예희,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매체언어 교사의 존재상"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193-218, 2009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연구의 방법과 과정" 한국교육학회 35 : 135-170, 1997

      3 Flick, U., "질적 연구방법" 한울 2009

      4 김대희, "중등 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매체 언어 교육" 국어교육학회 (37) : 105-131, 2010

      5 강현옥, "영상텍스트 서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249-258, 2012

      6 김동환, "소설과 매체 서사 교육의 상호작용적 방법의 모색" 국어교육학회 (37) : 75-101, 2010

      7 Buckingham, D., "미디어 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4

      8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 출판부 2008

      9 서유경, "매체언어교육의 실행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8) : 73-102, 2009

      10 이채연, "매체언어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국어교육학회 (28) : 103-142, 2007

      1 손예희,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매체언어 교사의 존재상"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193-218, 2009

      2 김영천, "학교 교육현상 탐구를 위한 질적연구의 방법과 과정" 한국교육학회 35 : 135-170, 1997

      3 Flick, U., "질적 연구방법" 한울 2009

      4 김대희, "중등 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매체 언어 교육" 국어교육학회 (37) : 105-131, 2010

      5 강현옥, "영상텍스트 서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249-258, 2012

      6 김동환, "소설과 매체 서사 교육의 상호작용적 방법의 모색" 국어교육학회 (37) : 75-101, 2010

      7 Buckingham, D., "미디어 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4

      8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 출판부 2008

      9 서유경, "매체언어교육의 실행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8) : 73-102, 2009

      10 이채연, "매체언어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국어교육학회 (28) : 103-142, 2007

      11 최지현,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탐구" 국어교육학회 (28) : 143-182, 2007

      12 이상우, "매체교육을 위한 동영상UCC 제작 전략" 한국국어교육학회 (86) : 257-278, 2010

      13 최미숙, "매체 텍스트 표현 교육의 실제: 인터넷 백과사전 제작 수업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연구소 1-17, 2006

      14 김대희,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8) : 5-28, 2008

      15 정현선, "다매체 시대의 국어교육과 문화교육" 역락 2004

      16 정현선,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소 (19) : 99-140, 2007

      17 전국국어교사모임 매체연구부, "국어시간에 매체읽기" 나라말 2005

      18 이삼형, "국어교육학과 사고" 역락 2007

      19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1.37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