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의 쓰기 윤리 교육의 위계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Sequencing the Contents for Writing Ethics Education in Primary, Secondary School and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9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quenc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writing ethics in primary, secondary school and university.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middle school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university textbooks and focuses on ‘quotation’ because it is a typical method for preventing plagiarism.
      The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consider student’s multifarious identities and distinguish between ‘research ethics’ and ‘learning ethics’ when we teach academic writing. Sequencing educational contents is based on intellectual inquiry that is the core of academic writing. In secondary education we focus on teaching the basic knowledge and competences required for academic writing and communicating the product of the quest of truth. And in university education we help students begin and continue with intellectual inquiry as well as academic writing. Sequencing educational contents about quotation is presented according to curriculum of secondary and university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quenc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writing ethics in primary, secondary school and university.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middle school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2009 revised 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quenc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writing ethics in primary, secondary school and university.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middle school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university textbooks and focuses on ‘quotation’ because it is a typical method for preventing plagiarism.
      The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consider student’s multifarious identities and distinguish between ‘research ethics’ and ‘learning ethics’ when we teach academic writing. Sequencing educational contents is based on intellectual inquiry that is the core of academic writing. In secondary education we focus on teaching the basic knowledge and competences required for academic writing and communicating the product of the quest of truth. And in university education we help students begin and continue with intellectual inquiry as well as academic writing. Sequencing educational contents about quotation is presented according to curriculum of secondary and universit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쓰기 윤리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교육 내용을 위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위계성과 질적 수월성에 대한 논의는 해당 영역에 대한 학습이 고등학교에서 마무리되는 것이 아니라 대학에서도 이루어진다는 연계성과 더불어, 대학교육에서 추구하는 글쓰기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초․중등교육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을 요구한다. 본고에서는 대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학문적 글쓰기 능력을 중심으로 쓰기 윤리 교육 내용의 연계 및 위계화를 시도하였다.
      본고에서는 2012년에 고시된 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와 대학의 교양 국어 교재에서 쓰기 윤리와 관련된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비교․분석하였고, 특히 표절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인 ‘인용’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쓰기 윤리 교육의 위계화를 위해서는 먼저 학생이 쓰기 활동에서 다양한 정체성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 연구자로서 지켜야 할 ‘연구 윤리’와 학습자로서 지켜야 할 ‘학습 윤리’, 쓰기 과정에서 지켜야 할 ‘쓰기 윤리’를 구분하고 교수자들이 역할을 분담하여 지도해야 한다. 쓰기 윤리 교육 내용의 위계화는 학문적 글쓰기의 핵심인 지적 탐구 활동에 기반하였다. 중등교육에서는 대학에서의 학문적 글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과 지적 탐구 결과에 대한 소통을, 대학교육에서는 본격적인 지적 탐구 및 생산을 중심으로 하고, 이러한 지적 탐구 활동의 수준에 따라 ‘인용하기’의 교육 내용 요소를 구안하여 위계화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쓰기 윤리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교육 내용을 위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위계성과 질적 수월성...

      본고는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쓰기 윤리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교육 내용을 위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위계성과 질적 수월성에 대한 논의는 해당 영역에 대한 학습이 고등학교에서 마무리되는 것이 아니라 대학에서도 이루어진다는 연계성과 더불어, 대학교육에서 추구하는 글쓰기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초․중등교육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을 요구한다. 본고에서는 대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학문적 글쓰기 능력을 중심으로 쓰기 윤리 교육 내용의 연계 및 위계화를 시도하였다.
      본고에서는 2012년에 고시된 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와 대학의 교양 국어 교재에서 쓰기 윤리와 관련된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비교․분석하였고, 특히 표절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인 ‘인용’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쓰기 윤리 교육의 위계화를 위해서는 먼저 학생이 쓰기 활동에서 다양한 정체성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 연구자로서 지켜야 할 ‘연구 윤리’와 학습자로서 지켜야 할 ‘학습 윤리’, 쓰기 과정에서 지켜야 할 ‘쓰기 윤리’를 구분하고 교수자들이 역할을 분담하여 지도해야 한다. 쓰기 윤리 교육 내용의 위계화는 학문적 글쓰기의 핵심인 지적 탐구 활동에 기반하였다. 중등교육에서는 대학에서의 학문적 글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과 지적 탐구 결과에 대한 소통을, 대학교육에서는 본격적인 지적 탐구 및 생산을 중심으로 하고, 이러한 지적 탐구 활동의 수준에 따라 ‘인용하기’의 교육 내용 요소를 구안하여 위계화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태, "형식주의적 논문쓰기의 문제점과올바른 인용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회 34 (34): 65-92, 2008

      2 이창덕, "현대 국어 인용 체계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6 : 255-299, 1999

      3 김종철, "학문과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22) : 23-44, 2007

      4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편찬위원회, "인문학과 글쓰기"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5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편찬위원회, "우리말과 글쓰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6 강민경, "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7 서수현, "쓰기 수업 경험과 학생 필자의 정체성 구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4) : 141-172, 2010

      8 장인봉, "신문 텍스트에 나타난 직접인용 분석" 한국수사학회 (14) : 61-100, 2011

      9 김봉순, "신문 기사에 나타난 필자의 주관성" 한국텍스트언어학회 7 : 57-88, 1999

      10 김정남, "신문 기사 인용문의 특성에 대하여" 국어학회 (46) : 277-294, 2005

      1 김기태, "형식주의적 논문쓰기의 문제점과올바른 인용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회 34 (34): 65-92, 2008

      2 이창덕, "현대 국어 인용 체계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6 : 255-299, 1999

      3 김종철, "학문과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22) : 23-44, 2007

      4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편찬위원회, "인문학과 글쓰기"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5 이화여자대학교 교양국어 편찬위원회, "우리말과 글쓰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6 강민경, "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7 서수현, "쓰기 수업 경험과 학생 필자의 정체성 구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4) : 141-172, 2010

      8 장인봉, "신문 텍스트에 나타난 직접인용 분석" 한국수사학회 (14) : 61-100, 2011

      9 김봉순, "신문 기사에 나타난 필자의 주관성" 한국텍스트언어학회 7 : 57-88, 1999

      10 김정남, "신문 기사 인용문의 특성에 대하여" 국어학회 (46) : 277-294, 2005

      11 정병기, "사회과학 글쓰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12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편찬위원회, "사고와 표현Ⅰ"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13 박수자, "비문학 독서감상문의 인용 양상 고찰" 국어교육학회 (40) : 435-465, 2011

      14 이인재, "대학에서의 글쓰기 윤리 교육" 한국작문학회 (6) : 129-160, 2008

      15 이혜영, "대학생들의 인용 및 표절에 관한 인식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4 (44): 175-198, 2010

      16 정병기, "대학생 글쓰기의 부정행위와 윤리 교육 방안"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 (1): 267-294, 2008

      17 서울대학교 대학국어편찬위원회, "대학국어-글읽기와 글쓰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18 정희모, "대학 글쓰기" 삼인 2008

      19 김종철,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교육의 과제" 한국고전연구학회 (22) : 5-30, 2010

      20 정희모, "글쓰기 분야 표준 교육 과정 및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255-279, 2009

      21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22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23 노미숙, "국어①~⑥" (주)천재교육 2013

      24 박영목, "국어①~⑥" (주)천재교육 2013

      25 윤여탁, "국어①~⑥" (주)미래엔 2013

      26 김태철, "국어①~⑥" (주)비상교육 2013

      27 김종철, "국어①~③" (주)천재교육 2013

      28 이창덕, "국어 발화의 담화상 기능과 간접인용문"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 : 225-267, 1994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2011

      30 김정자, "교사의 필자 정체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44) : 111-140, 2012

      31 홍후조, "(알기 쉬운) 교육과정" 학지사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1.37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