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학교 고전문학교육의 위계성 검토 (1) -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 Educational Hierarchy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e Secondary School (1) - With focused on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94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hierarch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secondary school with focused on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status of classical literature in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investigates the selection, hierarchical arrangements and frequenc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not distinctive and for this reason, classical literatures have low frequency in textbooks and only particular genres and works are chosen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s have low frequency and high repetitive inclusion rate in <Korean Language Ⅰ>,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The inclusion tendency is diverse according to standards of accomplishment. In <Literature> textbooks, educational contents are usually focused on history of literature, so the adequacy of these contents must be verified in accordance with literary experiences of stu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hierarch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secondary school with focused on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status of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hierarch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secondary school with focused on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status of classical literature in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investigates the selection, hierarchical arrangements and frequenc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not distinctive and for this reason, classical literatures have low frequency in textbooks and only particular genres and works are chosen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classical literatures have low frequency and high repetitive inclusion rate in <Korean Language Ⅰ>,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The inclusion tendency is diverse according to standards of accomplishment. In <Literature> textbooks, educational contents are usually focused on history of literature, so the adequacy of these contents must be verified in accordance with literary experiences of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고전문학교육의 위계성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상의 고전문학교육의 위상을 점검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국어>, <국어Ⅰ>, <국어Ⅱ>, <문학>, <고전> 교과서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선정과 위계적 배열, 고전문학 작품의 수록 빈도 등을 점검하였다. 점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단계에서는 고전문학교육이 변별적 지위를 차지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빈도가 매우 낮았으며, 특정 장르나 특정 작품 위주의 수록 경향이 있었다. 고등학교 단계인 <국어Ⅰ>, <국어Ⅱ>에서 역시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빈도가 매우 낮았고, 고전산문의 경우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작품이 다시 수록되는 등 작품 수록의 반복 현상이 심했다. 또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교과서 구성 방식으로 인해 ‘갈래’냐 ‘문학적 전통’이냐에 따라 작품 수록 경향에 차이가 있었다. <문학>에서는 교과서 수록 고전문학 장르가 다양하고 수록 작품의 성격 역시 다양하였으나, 과목 수와 성취기준 수의 축소로 인해 고전문학 교육의 내용이 문학사교육으로 수렴되었다. 학생들의 고전문학 작품 읽기 경험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문학사교육 중심의 고전문학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하고 적정한지에 관한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고전문학교육의 위계성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상의 고전문학교육의 위상을 점검하였고, 2009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고전문학교육의 위계성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상의 고전문학교육의 위상을 점검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국어>, <국어Ⅰ>, <국어Ⅱ>, <문학>, <고전> 교과서에서 고전문학 작품의 선정과 위계적 배열, 고전문학 작품의 수록 빈도 등을 점검하였다. 점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단계에서는 고전문학교육이 변별적 지위를 차지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빈도가 매우 낮았으며, 특정 장르나 특정 작품 위주의 수록 경향이 있었다. 고등학교 단계인 <국어Ⅰ>, <국어Ⅱ>에서 역시 고전문학 작품의 교과서 수록 빈도가 매우 낮았고, 고전산문의 경우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작품이 다시 수록되는 등 작품 수록의 반복 현상이 심했다. 또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교과서 구성 방식으로 인해 ‘갈래’냐 ‘문학적 전통’이냐에 따라 작품 수록 경향에 차이가 있었다. <문학>에서는 교과서 수록 고전문학 장르가 다양하고 수록 작품의 성격 역시 다양하였으나, 과목 수와 성취기준 수의 축소로 인해 고전문학 교육의 내용이 문학사교육으로 수렴되었다. 학생들의 고전문학 작품 읽기 경험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문학사교육 중심의 고전문학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하고 적정한지에 관한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철, "중학교 국어 1~6" 천재교과서 2012

      2 김태철, "중학교 국어 1~6" 비상교육 2012

      3 한철우, "중학교 국어 1~6" 비상교육 2012

      4 전경원, "중학교 국어 1~6" 두산동아 2012

      5 장수익, "중학교 국어 1~6" 대교 2012

      6 이삼형, "중학교 국어 1~6" 두산동아 2012

      7 이도영, "중학교 국어 1~6" 창비 2012

      8 이관규, "중학교 국어 1~6" 비상교과서 2012

      9 남미영, "중학교 국어 1~6" ㈜교학사 2012

      10 노미숙, "중학교 국어 1~6" 천재교육 2012

      1 김종철, "중학교 국어 1~6" 천재교과서 2012

      2 김태철, "중학교 국어 1~6" 비상교육 2012

      3 한철우, "중학교 국어 1~6" 비상교육 2012

      4 전경원, "중학교 국어 1~6" 두산동아 2012

      5 장수익, "중학교 국어 1~6" 대교 2012

      6 이삼형, "중학교 국어 1~6" 두산동아 2012

      7 이도영, "중학교 국어 1~6" 창비 2012

      8 이관규, "중학교 국어 1~6" 비상교과서 2012

      9 남미영, "중학교 국어 1~6" ㈜교학사 2012

      10 노미숙, "중학교 국어 1~6" 천재교육 2012

      11 민현식, "중학교 국어 1~6" 신사고 2012

      12 박경신, "중학교 국어 1~6" ㈜금성출판사 2012

      13 박영목, "중학교 국어 1~6" 천재교육 2012

      14 방민호, "중학교 국어 1~6" ㈜지학사 2012

      15 우한용, "중학교 국어 1~6" 신사고 2012

      16 윤여탁, "중학교 국어 1~6" ㈜미래엔 2012

      17 염은열, "시조 교육의 위계화를 위한 방향 탐색 -시조 형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8) : 139-158, 2004

      18 고영화, "시조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9 조하연, "문학교육의 고려 속요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8) : 259-297, 2012

      20 김종철,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교육의 과제" 한국고전연구학회 (22) : 5-30, 2010

      21 김창원, "국어과 교육과정의 생태학(2):2011년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쟁점과 그 해소" 국어교육학회 (43) : 155-190, 2012

      22 김창원, "국어과 교육과정의 생태학(1): 2011년 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성찰" 한국어교육학회 (136) : 325-355, 2011

      23 천경록,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계열성 분석" 국어교육학회 (46) : 535-562, 2013

      24 조희정, "교과서 수록 고전 제재 변천 연구 -건국 과도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17) : 281-330, 2005

      25 김성룡, "고전 문학 작품 위계의 필요성과 가능성" 국어교육학회 (47) : 5-41, 2013

      26 조정래, "고등학교 문학" 해냄에듀 2013

      27 한철우,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육 2013

      28 윤여탁, "고등학교 문학" ㈜미래엔 2013

      29 이숭원, "고등학교 문학" 신사고 2013

      30 박종호, "고등학교 문학" 창비 2013

      31 김창원, "고등학교 문학" 두산동아 2013

      32 김윤식,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육 2013

      33 김대용, "고등학교 문학" 상문연구사 2013

      34 권영민, "고등학교 문학" ㈜지학사 2013

      35 정재찬,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과서 2013

      36 우한용,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과서 2013

      37 김종철, "고등학교 국어 Ⅱ" 천재교육 2013

      38 김중신, "고등학교 국어 Ⅱ" ㈜교학사 2013

      39 문영진, "고등학교 국어 Ⅱ" 창비 2013

      40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Ⅱ" 천재교육 2013

      41 신동흔, "고등학교 국어 Ⅱ" 두산동아 2013

      42 우한용, "고등학교 국어 Ⅱ" 비상교육 2013

      43 윤여탁, "고등학교 국어 Ⅱ" ㈜미래엔 2013

      44 이삼형, "고등학교 국어 Ⅱ" ㈜지학사 2013

      45 이숭원, "고등학교 국어 Ⅱ" 신사고 2013

      46 조현설, "고등학교 국어 Ⅱ" 해냄에듀 2013

      47 한철우, "고등학교 국어 Ⅱ" 비상교육 2013

      48 김종철, "고등학교 국어 Ⅰ" 천재교육 2013

      49 김중신, "고등학교 국어 Ⅰ" ㈜교학사 2013

      50 한철우, "고등학교 국어 Ⅰ" 비상교육 2013

      51 조현설, "고등학교 국어 Ⅰ" 해냄에듀 2013

      52 이숭원, "고등학교 국어 Ⅰ" 신사고 2013

      53 이삼형, "고등학교 국어 Ⅰ" ㈜지학사 2013

      54 윤여탁, "고등학교 국어 Ⅰ" ㈜미래엔 2013

      55 우한용, "고등학교 국어 Ⅰ" 비상교육 2013

      56 신동흔, "고등학교 국어 Ⅰ" 두산동아 2013

      57 문영진, "고등학교 국어 Ⅰ" 창비 2013

      58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Ⅰ" 천재교육 2013

      59 김종철, "고등학교 국어 ‘심화 선택’ 체제 개편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31) : 93-117, 2010

      60 한철우, "고등학교 고전" ㈜교학사 2013

      61 정민, "고등학교 고전" 해냄에듀 2013

      62 김종철, "고등학교 고전" 천재교육 2013

      63 최미숙, "개정판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13

      64 민현식, "2011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65 남민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66 김성진, "2009 개정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변화상과 이후의 과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0) : 103-126,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1.37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