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추모행동에서 나타난 집합적 감정을 이해하고 참여자들의 경험을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건 이후 2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 많은 여성들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28362
2018
Korean
강남역 살인사건 ; 집합행동 ; 여성살해 ; 젠더폭력 ; 페미니스트 입장론 ; 주체화 ; ‘Gangnam Station 10< ; SUB> ; th< ; /SUB> ; Exit’ ; Femicide ; Collective Resistance ; Feminist Standpoint ; Subjectification ; Gender Violence
KCI등재
학술저널
181-228(48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추모행동에서 나타난 집합적 감정을 이해하고 참여자들의 경험을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건 이후 2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 많은 여성들은 ‘...
이 글은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추모행동에서 나타난 집합적 감정을 이해하고 참여자들의 경험을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건 이후 2년여의 시간이 흐른 지금, 많은 여성들은 ‘그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 고백하고 있다. 이 글은 추모현장에서 수거된 포스트잇 아카이빙 자료 분석과 추모행동 참여자들에 대한 심층 면접을 통해 구체적인 경험과 해석의 방식을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일상 속 젠더화된 폭력의 위협과 두려움 속에 추모행동에 참여한 이들은, 이 사건을 낯선 타자의 개별적 죽음이 아니라 성차별적 구조 속에 위치한 ‘여성됨’의 집합적 경험 및 삶의 조건과 연결시켰다. 이들은 남성중심적이고 이성애중심적인 사회 속에서 ‘평범한 20대 여성’이라는 규범적 생애 서사가 모순적일 뿐 아니라 획득 불가능한 언설임을 깨닫고, 부정의한 사회 속에 지속되는 성차별, 성폭력에 문제 제기한다. 추모의 장에서 접속한 타자들은 혼자가 아니라는 공통의 감각으로 연결되고, 두려움과 공포, 슬픔과 좌절감, 부끄러움과 분노 등은 단순한 개인적 감정을 넘어 정치적 삶을 재구성하는 비판적 동력이 된다. 이들이 강남역을 통해 경험한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성차별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식은 페미니스트라는 대항적 주체 형성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dynamics of collective emotions and the participant experience in the memorial action of the ‘Gangnam Femicide’. Since the incident, many women have confessed that they can not go back. Then, what did they experience in t...
This article examines the dynamics of collective emotions and the participant experience in the memorial action of the ‘Gangnam Femicide’. Since the incident, many women have confessed that they can not go back. Then, what did they experience in the space? What has changed since the incident and what has not changed? Based on analysis of the archived post-its texts and participant experiences from a feminist view, we explore the common messages of post-its and possibilities of resistant subject formation. In the fear of gendered violence to cause women’s social and existential death,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action realized the impossibility of the normative narrative of twenties women’s life through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 victimized woman. Their recognition of common experiences as women caused by systematic gender discrimination led to reconstructing fear, sorrow, frustration, shame, and anger as critical forces to reconstruct political life. Thus, socially otherized women interconnected each other in the memorial place could have constructed as resistant and collective subjects of feminists, producing counter-discourses against gender injusti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콜린스, 페트리샤 힐, "흑인 페미니즘 사상" 여이연 2009
2 이후민, "화장실서 女살해한 이유? “평소 여성에게 무시당했다”(종합2보)" 뉴스 1
3 이미경, "화장실법 개정이 아니라 차별금지법을 제정해야 - 우리 여성들은 ‘두려움’을 넘어 ‘연대’하며 힘을 낼 것"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 2016
4 윤지영,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철학연구회 (115) : 197-243, 2016
5 박미선, "행복을 통한 규율과 “정서적 변환”의 정치 비판 - 사라 아메드의 <행복의 약속>" 도시인문학연구소 8 (8): 53-78, 2016
6 이나영, "한국의 젠더폭력과 신자유주의 젠더질서: 담론과 실천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 한국가족학회 26 (26): 58-90, 2014
7 이나영, "한국사회의 중층적 젠더 불평등: ‘평등 신화’와 불/변하는 여성들의 위치성" 한국여성학회 30 (30): 1-45, 2014
8 최순양, "한국사회에 만연한 여성인식의 왜곡, 그 정점의 강남역살인사건" 83 : 14-26, 2016
9 신광영,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후마니타스 2013
10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 한국 영화를 통해 보는 포스트-페미니즘, 그리고 그 이후" 83 : 14-47, 2015
1 콜린스, 페트리샤 힐, "흑인 페미니즘 사상" 여이연 2009
2 이후민, "화장실서 女살해한 이유? “평소 여성에게 무시당했다”(종합2보)" 뉴스 1
3 이미경, "화장실법 개정이 아니라 차별금지법을 제정해야 - 우리 여성들은 ‘두려움’을 넘어 ‘연대’하며 힘을 낼 것"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 2016
4 윤지영,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철학연구회 (115) : 197-243, 2016
5 박미선, "행복을 통한 규율과 “정서적 변환”의 정치 비판 - 사라 아메드의 <행복의 약속>" 도시인문학연구소 8 (8): 53-78, 2016
6 이나영, "한국의 젠더폭력과 신자유주의 젠더질서: 담론과 실천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 한국가족학회 26 (26): 58-90, 2014
7 이나영, "한국사회의 중층적 젠더 불평등: ‘평등 신화’와 불/변하는 여성들의 위치성" 한국여성학회 30 (30): 1-45, 2014
8 최순양, "한국사회에 만연한 여성인식의 왜곡, 그 정점의 강남역살인사건" 83 : 14-26, 2016
9 신광영,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후마니타스 2013
10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 한국 영화를 통해 보는 포스트-페미니즘, 그리고 그 이후" 83 : 14-47, 2015
11 이나영, "페미니스트 질적 연구의 원리: 입장 인식론과 페미니스트 정치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2 (32): 71-100, 2017
12 YTN, "추모 문화의 변천사...‘포스트잇’에 담긴 의미는?"
13 이혜원, "촛불→노란리본→포스트잇…공감의 추모 도구 변천사" 뉴시스
14 류정민, "촛불·노란리본, 다음엔 왜 ‘포스트잇’ 추모일까" 아시아경제
15 홍지아, "젠더화된 폭력에 대한 뉴스 보도: 4개 언론사(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의 강남역 여성살인사건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3 (83): 186-218, 2017
16 허민숙, "젠더폭력과 혐오범죄: 여성에 대한 폭력은 혐오범죄인가?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3 (33): 77-105, 2017
17 성별이분법에 저항하는 사람들의 모임, 여행자, "젠더 관련용어 정리상세 ver 1.0"
18 영, 아이리스 M, "정치적 책임에 관하여" 이후 2013
19 아메드, 사라, "정동 이론" 갈무리 2015
20 그레그, 멜리사, "정동 이론" 갈무리 2015
21 마수미, 브라이언, "정동 이론" 갈무리 2015
22 프로빈, 엘스페스, "정동 이론" 갈무리 2015
23 문형준, "재난 시대의 정동: 애도의 가능성과 불가능성" 한국여성문학학회 (35) : 41-67, 2015
24 해러웨이, 다나,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2002
25 이지원, "우리의 두려움은 용기가 되어 돌아왔다" 서울여성플라자 2017
26 이민경,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 입이 트이는 페미니즘" 봄알람 2016
27 휘티어, 낸시, "열정적 정치" 한울아카데미 2012
28 굿윈, 제프, "열정적 정치" 한울아카데미 2012
29 칼훈, 크레이그, "열정적 정치" 한울아카데미 2012
30 이나영, "여성혐오와 젠더차별, 페미니즘: ‘강남역 10번 출구’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22 : 147-186, 2016
31 백지연, "여성혐오를 둘러싼 의미투쟁: 5대 일간지의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32 정희진, "여성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 2015
33 정민경, "언론, 정신이상자로 여성혐오를 지우다" 미디어오늘
34 미류, "억압받는 자들의 존엄/위엄, 불가능성의 가능성을 사유하기"
35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성평등을 향한 198일 간의 기록과 기억 -‘강남역 여성살해사건’을 중심으로-" 2017
36 백승욱, "생각하는 마르크스" 북콤마 2017
37 조혜영, "상호매개적 페미니즘 - 메갈리아에서 강남역 10번 출구까지" 문학동네 1-12, 2016
38 정연보, "상대주의를 넘어서는 ‘상황적 지식들’의 재구성을 위하여: 파편화된 부분성에서 연대의 부분성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9 : 59-83, 2013
39 신진욱, "사회운동의 연대 형성과 프레이밍에서 도덕감정의 역할" 비판사회학회 (73) : 203-245, 2007
40 손지은, "사람들은 왜 ‘여성혐오’보다 ‘메갈리아’에 끌렸나" 오마이뉴스
41 권명아, "비교 역사적 연구를 통해 본 정동 연구의 사회정치적 의제: ‘여자 떼’ 공포와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의 힘" 한국여성문학학회 (39) : 7-38, 2016
42 버틀러, 주디스, "불확실한 삶" 경성대학교출판부 2008
43 YTN, "불붙은 ‘미투 운동’...문화계 성추행 일파만파"
44 이나영,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연구방법론" 휴머니스트 2018
45 하딩, 샌드라,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 나남 2005
46 에콜스, 앨리스, "나쁜 여자들의 전성시대" 이매진 2017
47 신진욱, "광주항쟁과 애국적 민주공화주의의 탄생 : 저항적 시민사회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구조해석학적 분석" 한국사회학회 45 (45): 58-90, 2011
48 모한티, 찬드라 탈파드, "경계없는 페미니즘-이론의 탈식민화와 연대를 위한 실천" 여이연 2005
49 박형신, "거시적 감정사회학을 위하여" 한국이론사회학회 (15) : 195-234, 2009
50 고등어, "거리에 선 페미니즘: 여성 혐오를 멈추기 위한 8시간, 28800초의 기록" 궁리 2016
51 김민준, "강남역 사건 그 이후 1년, 언론도 가해자였다" 오마이뉴스
52 경향신문 사회부 사건팀, "강남역 10번 출구, 1004개의 포스트잇 어떤 애도와 싸움의 기록" 나무연필 2016
53 연합뉴스, "강남역 10번 출구 ‘핑크 코끼리’ 폭행 논란, 경찰 수사"
54 바바렛, 잭, "감정의 거시사회학" 일신사 2007
55 민희, "감정과 정치참여" 한국정치학회 50 (50): 271-294, 2016
56 바바렛, 잭, "감정과 사회학" 이학사 2009
57 정원식, "‘응답하라’ 20대 여성들, 페미니즘 도서 열풍 이끈다" 경향신문
58 장다혜, "‘여성혐오범죄’라는 명명이 드러내는 ‘여성안심’ 대책의 빈 공간" 10 : 1-104, 2016
59 이나영, "‘살아남은’ 우리는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 - 혐오, Misogyny, 젠더 폭력"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 2016
60 김민정, "‘묻지마 범죄’가 묻지 않은 것: 지식권력의 혐오 생산" 한국여성학회 33 (33): 33-65, 2017
61 배은경, "‘경제 위기’와 한국 여성 - 여성의 생애전망과 젠더/계급의 교차 -" 한국여성연구소 9 (9): 39-82, 2009
62 황춘화, "[전문] 서지현 검사가 올린 안태근 성추행 폭로 글" 한겨레
63 임태훈, "[보도자료] 장준규 육참총장, 동성애자 군인 색출 및 처벌 지시 관련 긴급 기자회견" 군인권센터
64 Kemper, T, "Toward a Sociology of Emotions: Some Problems and Some Solutions" 13 : 30-41, 1978
65 Mohanty, C. T, "Third World Women and the Politics of Feminism"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66 Hochschild, A.,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67 Jasper, J, "The Emotions of Protest: Affective and Reactive Emotions in and around Social Movements" 13 (13): 397-424, 1998
68 Ahmed, S,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s" Routledge 2004
69 MacCarthy, J. D, "Resource Mobilization and Social Movements: A Partial Theory" 83 (83): 1212-1241, 1977
70 Collins, R, "Research Agendas in the Sociology of Emotions" SUNY Press 1990
71 McAdam, D, "Political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Black Insurgency, 1930-197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72 Anzaldúa, G, "Multicultural Literacy: Opening the American Mind" Graywolf Press 1988
73 Anzaldúa, G, "Marginalization and Contemporary Cultures" N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90
74 Anzaldúa, G, "Making Face, Making Soul Hacienda Caras: Creative and Critical Perspectives by Feminists of Color" Aunt Lute Books 1990
75 Downs, L, "If 'Woman' Is Just an Empty Category, Then Why Am I Afraid to Walk Alone at Night? Identity Politics Meets the Postmodern Subject" 35 (35): 414-437, 1993
76 Hartsock, N, "Feminist Theory: Local and Global Perspectives" Routledge 316-331, 1983
77 Scott, J, "Feminist Approaches to Theory and Method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78 Stone-Mediatore, S, "Chandra Mohanty and the Revaluing of 'Experience'" 13 (13): 116-133, 1998
79 Ahmed, S, "Affective Economies" 22 (22): 117-139, 2004
80 정원옥, "4·16 이후, ‘애도의 정치’의 새로운 양상들 – 누가 죽은 이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가" 93 : 283-299, 2016
여성학/주의 교육을 위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전략 탐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2 | 1.42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5 | 1.764 | 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