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영천지역 사림과 임고서원 = Neo-Confucian Literati in Yeongcheon Area and Imgo Seowon in Late J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12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포은 정몽주의 주향처로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사액된 임고서원을 문화사적 시각에서 살펴 본 것이다. 임고서원은 이황의 서원보급운동에 힘입어 출현했다는 점에서 창건 과정은 퇴계학의 적용으로 해석할 수 있고, 임진왜란 이후 중건 과정에서는 장현광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여헌학의 확산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여느 서원과 마찬가지로 임고서원은 존현과 위도의 공간으로서 경향 각처 명사들의 내방이 끊이지 않은 사림의 명소로 기능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루어진 관인층의 경제적 지원은 서원의 관리.운영에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또한 임고서원은 17세기 초반까지는 한강.지산.여헌학의 절충지대를 이루면서 지역의 학술과 문화적 분위기를 고조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했다. 특히, 두 차례에 걸친 『포은집』의 간행은 임고서원이 정몽주의 주향처로서의 역할에 매우 충실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 한편 임고서원은 개성의 숭양서원, 용인의 충렬서원, 재경 정몽주 후손들과 소통하는 한편으로 정치.경제.사회적인 연대를 모색하였다. 이런 소통과 연대는 경제적인 지원과 협조는 물론 정치사회적인 어려움을 타개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포은 정몽주의 주향처로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사액된 임고서원을 문화사적 시각에서 살펴 본 것이다. 임고서원은 이황의 서원보급운동에 힘입어 출현했다는 점에서 창건 과정...

      이 글은 포은 정몽주의 주향처로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사액된 임고서원을 문화사적 시각에서 살펴 본 것이다. 임고서원은 이황의 서원보급운동에 힘입어 출현했다는 점에서 창건 과정은 퇴계학의 적용으로 해석할 수 있고, 임진왜란 이후 중건 과정에서는 장현광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는 점에서 여헌학의 확산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여느 서원과 마찬가지로 임고서원은 존현과 위도의 공간으로서 경향 각처 명사들의 내방이 끊이지 않은 사림의 명소로 기능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루어진 관인층의 경제적 지원은 서원의 관리.운영에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또한 임고서원은 17세기 초반까지는 한강.지산.여헌학의 절충지대를 이루면서 지역의 학술과 문화적 분위기를 고조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했다. 특히, 두 차례에 걸친 『포은집』의 간행은 임고서원이 정몽주의 주향처로서의 역할에 매우 충실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 한편 임고서원은 개성의 숭양서원, 용인의 충렬서원, 재경 정몽주 후손들과 소통하는 한편으로 정치.경제.사회적인 연대를 모색하였다. 이런 소통과 연대는 경제적인 지원과 협조는 물론 정치사회적인 어려움을 타개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 of this paper tried to overview the meaning of the Imgo Seowon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viewpoint. Imgo Seowon was built as a main shrine for Jeong Mongju, Neo-Confucian from late Koryeo kingdom and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royal court of early Joseon dynasty following the Sosu Seowon . But when you think about the process and the beginning of the seowon it can be regarded as the adaption of the school of Yi Hwang but when it comes to the rebuilding after 1592's Japan's attack to Korea, it also can be considered as the spreading of idea of the school of Jang Hyeongwang; because the school of Jang had influence on its rebuilding process. As like other seowons, the Imgo functioned as a community center of literati of the local; it attracted local literati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to practice the memorial service of the deceased Neo-Confucians who could be their ideal model in learning the way (tao) and to improve their morality. This human resources and connection was a kind of channel of financial support and management. Until 17th century had the Imgo Seowon contributed to the spreading and establishment of many schools of the Neo-Confucianism such as Hankang, Jisan and Yeohyeon in Gyeongsang area and promoted the cultural and academic atmosphere.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Jeong Mongju showed that it was the main shrine of Jeong both in name and reality. Furthermore, students of the seowon did not forget to communicate with other academic communities like Sungyang, Chungryeol, and even with Jeong's descendents and continued to keep the solid relationship with them financially and politically as well.
      번역하기

      The author of this paper tried to overview the meaning of the Imgo Seowon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viewpoint. Imgo Seowon was built as a main shrine for Jeong Mongju, Neo-Confucian from late Koryeo kingdom and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roya...

      The author of this paper tried to overview the meaning of the Imgo Seowon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viewpoint. Imgo Seowon was built as a main shrine for Jeong Mongju, Neo-Confucian from late Koryeo kingdom and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royal court of early Joseon dynasty following the Sosu Seowon . But when you think about the process and the beginning of the seowon it can be regarded as the adaption of the school of Yi Hwang but when it comes to the rebuilding after 1592's Japan's attack to Korea, it also can be considered as the spreading of idea of the school of Jang Hyeongwang; because the school of Jang had influence on its rebuilding process. As like other seowons, the Imgo functioned as a community center of literati of the local; it attracted local literati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to practice the memorial service of the deceased Neo-Confucians who could be their ideal model in learning the way (tao) and to improve their morality. This human resources and connection was a kind of channel of financial support and management. Until 17th century had the Imgo Seowon contributed to the spreading and establishment of many schools of the Neo-Confucianism such as Hankang, Jisan and Yeohyeon in Gyeongsang area and promoted the cultural and academic atmosphere.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Jeong Mongju showed that it was the main shrine of Jeong both in name and reality. Furthermore, students of the seowon did not forget to communicate with other academic communities like Sungyang, Chungryeol, and even with Jeong's descendents and continued to keep the solid relationship with them financially and politically as wel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창원과 중창의 문화사
      • 3. 임고서원의 사회문화적 구실
      • 4. 맺음말
      • 1. 머리말
      • 2. 창원과 중창의 문화사
      • 3. 임고서원의 사회문화적 구실
      • 4.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樹健,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一潮閣 1998

      2 김학수, "여헌학파의 형성과 전개, in: 여헌 장현광 연구" 태학사 2009

      3 鄭萬祚, "朝鮮時代 書院硏究" 集文堂 1997

      4 李樹煥, "朝鮮後期書院硏究" 一潮閣 2001

      5 김문택, "朝鮮後期 永川地方의 士族動向과 臨皐書院" 조선사회연구회 1998

      6 金圻彬, "『圃隱集』 解題" 民族文化推進會

      7 김학수, "17세기 초반 永川儒林의 學脈과 張顯光의 臨皐書院 祭享論爭" 조선시대사학회 (35) : 47-96, 2005

      1 李樹健,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一潮閣 1998

      2 김학수, "여헌학파의 형성과 전개, in: 여헌 장현광 연구" 태학사 2009

      3 鄭萬祚, "朝鮮時代 書院硏究" 集文堂 1997

      4 李樹煥, "朝鮮後期書院硏究" 一潮閣 2001

      5 김문택, "朝鮮後期 永川地方의 士族動向과 臨皐書院" 조선사회연구회 1998

      6 金圻彬, "『圃隱集』 解題" 民族文化推進會

      7 김학수, "17세기 초반 永川儒林의 學脈과 張顯光의 臨皐書院 祭享論爭" 조선시대사학회 (35) : 47-9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7 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